[언론분석] 지속가능한 케이팝 콘서트를 위해
2025-08-21주요내용
케이팝 가수 지드래곤(G-DRAGON)이 2017년 9월 '월드투어 액트 Ⅲ: 모태(ACT III, M.O.T.T.E)' 이후 약 8년 만에 말레이시아에서 단독 콘서트를 개최했다. 이번 공연은 전반적으로 현지 팬들의 큰 환호와 언론의 호평을 받았으나 입장권 판매와 관련된 관리 미흡 등 일부 아쉬움도 지적됐다. 말레이시아 대표 영어 일간지 《New Straits Times(뉴 스트레이츠 타임스)》는 7월 28일 보도를 통해 "입을 다물 수 없는 무대에서 완벽한 공연을 선보였다."며 이번 콘서트를 "단순한 공연을 넘어선 눈과 귀가 즐거운 경험"이라고 평가했다. '위버멘쉬(Übermensch) 지드래곤 2025 월드투어' 일환으로 열린 이번 콘서트는 7월 19일과 20일, 이틀에 걸쳐 말레이시아 수도 쿠알라룸푸르에서 진행됐다. 투어는 지난 5월 일본을 시작으로 말레이시아,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7개국 8개 도시를 순회하며 8월 10일까지 약 3개월간 이어진다. 지드래곤은, , 등 다채로운 무대를 선보이며 관객의 뜨거운 호응을 이끌어냈다. 특히 현지 팬들과의 소통에서 진심을 담은 노력이 현지 언론과 팬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이끌어냈다. 지드래곤은 "Saya gembira jumpa korang(만나서 반갑습니다)", "Terima kasih(감사합니다)", "Jumpa nanti(또 봐요)" 등 간단한 말레이어 인사를 무대 중간에 직접 전했다. 이에 팬들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감동적인 반응을 공유했다. 한 팬은 "지용 오빠(oppa)가 또 보자고 했으니까 다음엔 빅뱅 콘서트에서 만나요.(@nr_filza)"라는 글과 함께 공연 영상을 게시했으며, 케이팝 커버 댄스로 유명한 현지 인플루언서 알렉스 호(Alex Ho) 역시 지드래곤의 말레이어 인사에 대해 "귀엽다."며 영상과 함께 반응을 전했다.

< 지드래곤이 말레이어로 인사하는 장면을 공유한 팬들 - 출처: (좌)인스타그램 계정(@nr_filza), (우)알렉스 호 인스타그램 계정(@alex_hkf) >
현지 주요 언론들도 지드래곤의 말레이어 인사에 관한 뜨거운 관심을 잇따라 전했다. 21일 말레이시아 대표 언론사 《The Star(더 스타)》는 "지드래곤이 무대에서 '말레이시아 최고(Mantap)', '정말 행복합니다(Syok gila)'라고 말레이어로 소통하며 공연장의 열기를 더욱 고조시켰다."고 보도했다.


< 2025년 지드래곤 콘서트 '위버멘쉬(Übermensch)'에 대해 보도한 현지 언론 - 출처: (상)'New Straits Times', (하)'The Star' >
하지만 환호 속에서도 아쉬움은 분명히 존재했다. 공연 전부터 티켓 판매와 관련한 잡음이 불거졌고 일부 팬들은 공연 운영 전반에 불만을 제기했다. 현지 언론 《Sinar Daily(시나 데일리)》는 "암표상들이 대량으로 구매한 티켓이 온라인에서 최대 2만 8,000링깃(약 918만 원)까지 웃돈이 붙어 재판매됐다."며 지드래곤 콘서트를 기획 및 홍보한 스타플래닛이 팬들의 신뢰를 저버렸다고 비판했다. 현지 팬들은 공연 당일 무대에 가까운 주요 좌석에 사재기가 의심되는 외국인 관객이 많았다는 불만을 제기했다. 한 팬(@nody_meow)은 소셜미디어에 "VVIP, VIP, CAT 1 구역이 모두 중국인으로 가득하다."고 전했고, 다른 팬들도 "스타플래닛이 외국인에게 더 많은 표를 판매했다.(@mairanazrii__)"는 의견을 남기며 이에 공감했다.

< 콘서트 운영 방식에 불만을 제기한 현지 팬 - 출처: 틱톡 계정(@nody_meow) >
한편 지드래곤이 말레이시아 패럴림픽 국가대표 선수 8명을 콘서트에 초청해 잊지 못할 순간을 선사한 사실은 현지에서는 크게 조명되지 못했다. 이 감동적인 장면은 7월 21일 말레이시아 패럴림픽위원회가 소셜미디어를 통해 공개하면서 알려졌다. 위원회는 "음악이 의미를 만나는 순간이었다."며 지드래곤에게 감사의 뜻을 전했고, 팬들 역시 "지드래곤의 따뜻한 마음에 감동했다.(@lohchewping)", "고마워 지용 오빠.(@missieynna)"와 같은 반응을 남겼다.

< 지드래곤 콘서트에 초청된 말레이시아 패럴림픽 선수단 - 출처: 말레이시아 패럴림픽위원회 틱톡 계정(@paralympicmalaysia) >
하지만 이 같은 의미 있는 행보는 국내 언론을 통해 집중 조명됐을 뿐 정작 말레이시아 현지 언론에서는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했다. 말레이어 인사말이나 무대 연출 등은 현지 매체에서 다뤄졌지만 말레이시아 사회에도 감동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장면들이 언론 보도의 초점에서 벗어나 있었다는 점은 아쉬운 대목이다. 대신 현지 언론의 관심은 콘서트 운영상의 문제에 집중됐다. 티켓 사재기, 암표 거래, 좌석 배정의 불공정 등은 수년 전부터 케이팝 공연에서 반복적으로 지적돼 온 구조적인 문제로 이번에도 예외 없이 현지 팬들의 실망감을 키우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러한 상황은 두 가지 측면에서 개선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첫째, 티켓 유통과 좌석 배정에서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는 운영 체계를 현지 공연 기획사와 협력하여 마련해야 한다. 팬들의 신뢰 회복을 위해서는 기술적 시스템의 개선뿐만 아니라 공식 유통 채널을 통한 적극적인 아내와 관리도 필요하다. 둘째, 아티스트의 사회적 기여가 현지 사회에서도 조명될 수 있도록 현지 언론과의 소통 체계가 강화돼야 한다. 현지 팬들과의 정서적 교감을 넘어 지역 사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활동이 외면받지 않도록 전략적인 홍보와 커뮤니케이션의 병행이 요구된다. 한류가 단순한 문화 콘텐츠를 넘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지속가능한 흐름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구조적 기반이 더 견고해져야 한다. 이번 지드래곤 콘서트는 케이팝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새로운 고민을 던져주었다. 공연의 의미가 '무대 위'에 그치지 않기 위해서 이제 케이팝은 '무대 밖'의 구조와 과정에도 보다 깊은 관심을 기울여야 할 시점을 맞이했다.
사진출처 및 참고자료 - 《Sinar Daily》 (2025. 6. 4). RM28,000 for a G-Dragon ticket? Outraged fans slam scalpers, question organiser's role, https://www.sinardaily.my/article/727735/focus/national/rm28000-for-a-g-dragon-ticket-outraged-fans-slam-scalpers-question-organisers-role - 《The Star》 (2025. 7. 21). K-pop superstar G-Dragon declares Malaysia 'mantap (superb)' at his two-day sold-out concerts in Bukit Jalil, https://www.thestar.com.my/aseanplus/aseanplus-news/2025/07/21/k-pop-superstar-g-dragon-declares-malaysia-039mantap-superb039-at-his-two-day-sold-out-concerts-in-bukit-jalil - 《New Straits Times》 (2025. 7. 28). #SHOWBIZ: Magical moments with G-Dragon, https://www.nst.com.my/lifestyle/groove/2025/07/1251381/showbiz-magical-moments-g-dragon - 말레이시아 패럴림픽위원회 틱톡 계정(@paralympicmalaysia), https://www.tiktok.com/@paralympicmalaysia - 알렉스 호(Alex Ho) 인스타그램 계정(@alex_hkf), https://www.instagram.com/alex_hkf/ - 인스타그램 계정(@nr_filza), https://www.instagram.com/nr_filza/ - 인스타그램 계정(@missieynna), https://www.instagram.com/missieynna/ - 인스타그램 계정(@lohchewping), https://www.instagram.com/lohchewping/ - 틱톡 계정(@nody_meow), https://www.tiktok.com/@nody_meow - 틱톡 계정(@yushirolee888), https://www.tiktok.com/@yushirolee888 - 틱톡 계정(@mairanazrii__), https://www.tiktok.com/@mairanazrii__/
통신원 정보
성명 : 홍성아[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말레이시아/쿠알라룸푸르 통신원] 약력 : USM(Universiti Sains Malaysia) 전략적 인적자원관리(SHRM) 박사과정
- 해당장르 :
- 음악
- 해당국가 :
- Malay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