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N_USAGE
중국 게임 이용자들의 게임 플랫폼별 이용행태
요약 정보
국가 | China | 장르 | 게임 |
---|---|---|---|
구분 | 상세 | (-) |
상세 정보
중국 게임 이용자들의 게임 플랫폼별 이용행태
개요
- 국가: 중국
- 장르: 게임
- 출처: 한국콘텐츠진흥원, ‘2022 해외 시장의 한국 게임 이용자 조사 (동아시아)’
주요 내용
- 중국 게임 이용자를 대상으로 이용 중인 게임 플랫폼에 대해 조사한 결과, 2022년 기준 ‘모바일 게임’이 83%의 응답률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
- 30대와 40대의 경우 모바일 게임 이용률은 90%를 넘었으며, 50대 이상의 이용률은 66.7%로 타 연령대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을 보임
- 중국 게임 이용자들이 주로 이용하는 게임 플랫폼으로는 1순위 응답 기준, ‘PC/온라인 게임’이 48.4%로 가장 높았으나, 1~5순위 합산 시에는 모바일 게임 이용률이 가장 높았음
- 게임 스트리밍 플랫폼 이용 여부에 대한 조사 결과 남성의 ‘현재 이용 중임’ 비율은 61.2%로 여성(59.6%)보다 높았으며, 30대의 동일 응답에 대한 비율은 70.8%로 타 연령대에 비해 높았음
- 만 15~19세(71.4%)의 경우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이용률이 71.4%로 타 연령대와 큰 차이를 보임
- 모바일 게임 구독 서비스를 이용하는 여성 비중은 58.4%로 남성(54.8%)보다 약간 더 많았으며, 연령대별로는 30대가 69.2%로 유일하게 60%대를 기록
- 콘솔 게임 구독 서비스의 경우 ‘현재 이용 중임’이라는 응답에 대해 여성의 비율(44%)이 남성(43.2%)보다 높았으며, 만 15~19세(61.4%)기 타 연령대에 비해 더 많이 이용 중이었음
- 온라인 게임 구독 서비스의 경우 여성의 ‘현재 이용 중임’ 비율은 54%로 남성(53.6%)보다 높았으며, 만15~19세의 동일 응답에 대한 비율은 67.1%로 타 연령대에 비해 높은 것으로 파악됨
- 온라인 게임 유통 플랫폼에 대해 여성(55.2%)이 남성(52.8%)보다 ‘현재 이용 중임’에 대한 응답률이 높았으며, 30대 이하와 40대 초과 연령대의 격차는 매우 크게 나타남
- 모바일 게임 유통 플랫폼을 ‘현재 이용 중임’이라는 응답은 남성(56.8%)이 여성(55.6%)보다 소폭 높았으며, 20대가 67.5%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임
- 콘솔 게임 유통 플랫폼의 경우 남성(45.6%)이 여성(42.8%)보다 ‘현재 이용 중임’에 대한 응답률이 높았으며, 만 15~19세의 응답률이 57.1%로 타 연령대에 비해 높게 나타남
※ 자세한 내용은 첨부(PDF)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