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대표 글로벌 음악 산업의 허브’
콘진원,‘뮤콘 2025(MU:CON 2025)’개최
- 9월 10~13일, 이태원·한남동 일대서 대한민국 대표 글로벌 뮤직 마켓 개최
- 이승윤·시온부터 대만·덴마크 아티스트까지, 글로벌 쇼케이스 46팀 무대 선봬
- 지드래곤과 파트너십 맺은 가지 샤미·K팝 히트메이커 로빈 옌슨 등 글로벌 전문가 총출동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최휘영)와 한국콘텐츠진흥원(원장직무대행 유현석, 이하 콘진원)은
한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뮤직 마켓 ‘2025년 뮤직‧엔터테인먼트 페어(MU:CON 2025, 이하 뮤콘)’를 오는 9월 10일부터 13일까지 나흘간 서울 이태원과 한남동 일대에서 개최한다.
-
올해로 14회째를 맞이한 뮤콘은 한국 대중음악과 글로벌 음악 산업을 연결하는 허브로 자리매김했다. 올해는‘Music PRISM’이라는 슬로건을 내세우고
▲키노트(기조강연) ▲콘퍼런스 ▲비즈니스 미팅 등산업 관계자들을 위한 기업 간 거래(B2B) 프로그램과 ▲글로벌 뮤직 쇼케이스등 일반 관람객이 함께 즐길 수 있는 행사를
통해 한국 대중음악의 다채로운 모습과 가능성을 선보인다
◆ 이승윤, 그리즐리, 시온부터 대만·일본·덴마크 실력파 뮤지션까지, 46팀 총집합
-
다양한 뮤지션들이 무대를 꾸미는 ‘쇼케이스’는 9월 12일과 13일 양일간 한남동과 이태원 일대 ▲‘블루스퀘어 SOL 트레블 홀’ ▲‘블루스퀘어 NEMO’
▲‘케이브하우스’에서 열린다. 이번 무대는 국내를 넘어 해외 진출을 노리는 뮤콘 쇼케이스 참가 뮤지션 33팀과 게스트 뮤지션 9팀, 해외 뮤지션 4팀 등 총 46팀이 참여한다.
-
12일에는 ▲이승윤 ▲그리즐리 ▲잠비나이 ▲쿤디판다 ▲단편선과 순간들 ▲이랑 ▲기수(KISU) 등 17팀이, 13일에는 ▲시온 ▲호아 ▲불고기디스코 ▲주영 ▲재키 등 16팀이무대에 오른다.
특히, 콘진원의 신인 뮤지션 발굴 프로젝트 ‘뮤즈온’ 출신 뮤지션 ▲W24 ▲김뜻돌 ▲팔칠댄스 ▲김승주 ▲오티스림 5팀이 참가해 의미를 더한다.
-
게스트 뮤지션으로 ▲홍다빈 ▲자이언티 ▲비트펠라하우스 ▲십센치(10cm) ▲쎄이(SAAY) ▲오존 ▲드래곤포니 ▲슈퍼비 ▲언에듀케이티드 키드 등 9팀이 출연한다.
또한, 글로벌 음악 문화 교류 및 한국 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해외 뮤지션을 위한 ‘익스체인지 스테이지(Exchange Stage)’
프로그램을 통해 ▲대만 인디팝 신예 아임디피컬트(I’mdifficult) ▲일본 인디락 밴드 데이글로(DYGL) ▲싱어송라이터 리제이(REJAY) ▲덴마크 인디밴드 미자(Meejah)가 무대를 선보인다.
-
쇼케이스는 ‘NOL 티켓’에서 사전 무료 예매가 가능하며, 잔여석이 있을 경우 현장 예매도 가능하다. 공연은 코카뮤직 공식 유튜브 채널(@KOCCAMUSIC)을 통해 생중계된다.
◆ 키노트, 오픈 세션, 워크숍 프로그램으로 글로벌 음악 산업계 인사이트 공유
-
글로벌 음악 산업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이번 콘퍼런스는 9월 10일부터 12일까지 사흘간 한남동 그랜드 하얏트 서울에서 열린다.
-
10일 오전 11시에는 ‘새로운 음악 비즈니스 패러다임’과 ‘경계를 넘는 창작과 유통의 미래’를 주제로 키노트 발표가 진행된다. 해외 연사는 ‘엠파이어 퍼블리싱(EMPIRE Publishing)’
대표인 가지 샤미(Ghazi Shami)로, 지드래곤과의 파트너십 체결을 사례로 데이터 기반의 아티스트 친화적 비즈니스 모델 발굴 등 글로벌 음악산업계 재편 전략을 제시한다. 국내 연사는 에스엠(SM)엔터테인먼트
산하 퍼블리싱 기업‘크리에이션뮤직라이츠(KMR)의 최진석 이사로, K팝의 글로벌 협업의 역사와 향후 창작·유통 방향을 조망한다.
-
이외에도 글로벌 음악 산업 전문가들이 현 산업계 흐름과 성공 사례를 전달하는 패널 토크 ▲오픈 세션과 현업 실무자들에게 필요한 ‘케이스스터디’ 중심의 ▲워크숍 ▲딥다이브 프로그램으로 구성했다.
-
▲애플티비 시리즈 <파친코(Pachinko)> 음악 감독 제임스 마츠키(James Matsuki) ▲<브레이킹 베드>, <워킹 데드> 등 TV시리즈 슈퍼바이저 토마스 고르빅(Thomas Golubic)등 글로벌 뮤직 싱크·라이선싱 전문가를 비롯해
▲스페인 대형 페스티벌 프리마베라 사운드의 부킹 에이전트 이보네 레산(Ivone Lesan) ▲에스파·엔시티·르세라핌 등 K팝 대표 곡을 만든 작곡가로, 빌보드 차트에 160곡 이상을 올린 로빈 옌센(Robin Jenssen) 등도 참여한다.
◆ ‘피칭’·글로벌 파트너스 매칭·자유 네트워킹 등, 실질적 비즈니스 성과 창출
- 올해 뮤콘은 참가사 모두에게 교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피칭 프로그램’을 신설했다. 기업 간 미팅뿐 아니라 자유 네트워킹을 통해 실질적인 비즈니스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마련됐다.
- 또한, <참가 뮤지션·기업의 글로벌 역량 강화를 위해 사전 교육을 운영했으며, 주요 해외 산업 관계자와의 비즈니스 기회를 마련한 ‘글로벌 파트너스 매칭’과 누구나 참여 가능한 ‘오픈 비즈니스 미팅’도 진행된다.
-
콘진원 콘텐츠IP진흥본부 이현주 본부장은 “뮤콘은 지난 14년간 베테랑부터 신인 뮤지션, 음악·엔터테인먼트 기업의 국내외 비즈니스를 지원하며, 아시아를 넘어 글로벌 비즈니스의 장으로서 성장했다”라며,
“콘진원은 앞으로도 유망한 뮤지션과 음악 기업의 해외 진출·글로벌 문화 교류를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 드라마·영화 제작자, 생성형 인공지능(AI) 전문가가 전하는 신기술 콘텐츠 인사이트
-
21일 오후 2시에는 콘텐츠산업 현장의 흐름을 공유하는 토크콘서트가 열린다. 디즈니플러스 오리지널 드라마 <파인: 촌뜨기들>을 제작한 와이웍스엔터테인먼트 선영 대표와,
-
22일 오후 2시에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생성형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뤼튼(Wrtn)의 김태호 공동창업자 겸 이사가 ‘생성형 인공지능 시장의 변화와 콘텐츠'를 주제로 강연을 진행한다.
이번 강연은 사전 질의를 바탕으로 궁금했던 내용을 직접 듣는 질의응답 시간도 함께 마련되어, 관람객과의 소통을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
-
콘진원 인재양성팀 전우영 팀장은 “이번 쇼케이스는 기술과 콘텐츠가 결합한 차세대 창작물의 현주소를 보여주는 자리이자, 산업 현장 중심 교육의 성과를 대중과 공유하는 장”이라며,
“기술과 창의성을 겸비한 인재들이 주도하는 차세대 콘텐츠를 현장에서 직접 경험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