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 | 필리핀 | 구분 | 공휴일 |
|---|
♦ 필리핀의 공휴일 지정 체계
• 필리핀의 공휴일은 '행정법 제9492호 (RA 9492)' 및 '노동법 제94조'에 의해 규정
• 매년 대통령실 (Malacanang Palace)이 공표하는 행정명령 (Excutive Proclamation)을 통해 확정
• 공휴일은 크게 '정규 공휴일 (Regular Holidays)'과 '특별 근무 중지일 (Special Non-Working)'로 구분
♦ 필리핀의 공휴일읙 특징
• 정규 공휴일에는 노동절, 독립기념일, 성탄절, 영웅의 날 등 국가적 의미가 있는 날이 포함되며, 종교행사 (성금요일, 이드 알드하 등)도 다수 반영
• 특별 근무 중지일은 유동적이며, 대통령의 재량에 따라 유연하게 지정됨
• 특히, 총선일, 지역 축제일, 연휴 연장 목적의 '브리지 홀리데이'가 이에 해당됨
• 정규 공휴일에는 200% 임금, 특별 휴일에는 130% 임금 또는 무급 조건의 휴모 보장이 적용됨
• 필리핀은 카톨릭 중심 국가로서 성주간, 성탄절 전후에 장기 휴무가 빈번하며, 명절 전후의 비공식 연휴도 있어 업무 일정에 참고해야 함
♦ 필리핀의 공휴일 목록
• 1월 1일 : 새해 (New Year's Day) 새해 첫날로 전국 공휴일
• 1월 29일 (2025년 기준) : 중국 설 (Chinese New Year) 음력 설로 중국계 커뮤니티 중심으로 대규모 행사가 열리며, 날짜는 매년 변동됨
• 4월 1일 (2025년 기준) : 이드 알 피드로 (Eid al Fitr) 라마단 종료 명절로 대통령 포고로 결정되는 공휴일이며, 날짜는 매년 변동됨
• 4월 9일 : 용사의 날 (Araw ng Kagitingan) 제2차 세계대전의 바탄 전투 등 희생을 기리는 공휴일
• 4월 17일 (2025년 기준) : 성목요일 (Maundy Thursday) 부활절 3일 시작을 기념하는 날로 카톨릭 신자 중심의 예식이며, 날짜는 매년 변동됨
• 4월 18일 (2025년 기준) : 성금요일 (Good Firday) 예수 수난을 기념하는 날로, 날짜는 매년 변동됨
• 4월 19일 (2025년 기준) : 성토요일 (Black Saturday) 예수 부활 전야이며, 전통적으로 비근무 일로 지정되고, 날짜는 매년 변동됨
• 5월 1일 : 노동절 (Labor Day) 노동자의 권리/기여를 기념하는 날
• 6월 6일 (2025년 기준) : 이드 알 아드하 (Eid al Adha) 이슬람의 희생제 명절로, 날짜는 매년 변동됨
• 6월 12일 : 독립기념일 (Independence Day) 1898년 독립선언 (필리핀 공화정 수립)을 기념하는 날
• 8월 21일 : 니노이 아키노의 날 (Ninoy Aquino Day) 전 상원의원 B.N. 아키노 Jr. 피살을 추모하는 날로 특수 비근무의 날로 지정
• 8월 25일 (2025년 기준) : 영웅들의 날 (National Heroes Day) 무명/각계 독립 영웅 추모의 날로 매년 8월 마지막 월요일로 지정
• 10월 31일 : 만성절 전날 (All Saints' Day Eve) 가족 성묘/이동을 고려한 연휴 전야 추가 휴일로 추가 특수 비근무의 날로 지정
• 11월 1일 : 만성절 (All Saints' Day) 성인/선조 추모의 날로 전국적 귀향의 날
• 11월 30일 : 보니파시오의 날 (Bonifacio Day) 혁명가 A.보니파시오 탄생을 기념하는 날
• 12월 8일 : 원죄 없으신 마리아 대축익 (Feast of the Immaculate Conception of Mary) 2017년 법률로 지정된 전국 특수 비근무의 날
• 12월 24일 : 크리스마스 이브 (Christmas Eve) 성탄절 전날로 추가 특수 비근무의 날
• 12월 25일 : 크리스마스 (Christmas) 예수 성탄을 기념하는 날
• 12월 30일 : 리살의 날 (Rizal DAy) 국부 호세 리살 순국을 기념하는 날
• 12월 31일 : 연말연시 전날 (Last Day of the Year) 송년/가족 모임/귀향 수요를 반영하여 지정된 특수 비근무의 날
이 게시물의 내용은 콘텐츠 관련 해외 정보에 대한 국민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한 참고사항일 뿐 한국콘텐츠진흥원의 공식 견해가 아니며, 어떠한 법적 효력도 부여되지 않음을 알려드립니다. 또한 이 게시물에 수록된 자료는 2025년 9월 조사시점 기준이므로, 해외 국가의 정책 및 제도 등의 변화에 따라 업데이트가 필요할 수 있음을 알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