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문화 코드
사우디아라비아 콘텐츠 관련 문화 코드 및 심의규정
요약 정보 브라우저 보안정책에 따라 이미지가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Mixed Content)
사우디아라비아 콘텐츠 관련 문화 코드 및 심의규정 요약 정보
| 국가 |
사우디아라비아
|
구분 |
문화코드
|
상세 정보 브라우저 보안정책에 따라 이미지가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Mixed Content)
1. 사우디아라비아 콘텐츠 관련 문화 코드
- 모든 콘텐츠는 이슬람 가치와 보수적 사회규범에 기반을 두며 폭력, 성적 묘사, 동성애, 초자 연적 요소, 종교적 가치에 반하는 내용은 검열 및 금지되며 콘텐츠 제작 시 미디어 규제 일 반 당국 GAMR(General Authority of Media Regulation)와 통신,정보기술위원회 CST(Communications, Space and Technology Commission) 규정을 준수해야함.
2. 주요 심의규정
- 사우디아라비아에서 기술, 미디어 및 통신(TMT) 부문은 국가 안보를 보호하고 소비자 보호를 보장하는 동시에 급속한 기술 발전과 디지털 및 미디어 생태계의 진화하는 요구 사항을 해결 하는 것을 목표로 함.
- 소셜 미디어 인플루언서 라이선스 : 인플루언서는 미디어 규제 일반 당국 (GAMR)에 등록하고 라이선스를 취득해야 하고, 자국민과 외국인 거주자에 따라 요구 사항과 절차가 다름. 또한, 라이선스 취득 후 지속적인 규정과 준수 의무가 따름.
- 저작권 및 지적 재산권 : 사우디아라비아의 저작권법은 번역, 편집 및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파생 저작물을 포함하여 문학, 예술 및 과학 저작물에 대한 보호를 제공하고 세계저작권협약과 베른 협약을 포함한 국제 협약을 하여 국내 및 외국 저작물까지 모두 보호하고 있음.
-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 규정 : CST에서 담당하는 이 규정은 소셜 미디어를 포함한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 간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함. OTT 플랫폼 및 유사한 스트리밍 서비스 운영자의 경우 라이센스(위성 유료 TV 및 IPTV)를 취득하려면 사우디아라비아에 거주지가 있어야 하고 비디오 OTT 플랫폼, 주문형 오디오 서비스 및 인터넷 라디오 플랫폼은 CST에 등록해야함. CST는 이그나이트(Ignite) 전략을 통해 콘텐츠 시장 규모를 3배로 성장시키기 위해 플랫폼별 경쟁 규제 도입, 네트워크 중립성 규정, 로컬 콘텐츠 호스팅 및 접근 규제 강화, 사용 규모에 따른 차등화딘 규제 체계 설계, 디지털 세이프 하버 초안 마련 등다양한 규제 및 제도적 개선을 통해 노력하고 있음.
이 게시물의 내용은 콘텐츠 관련 해외 정보에 대한 국민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한 참고사항일 뿐 한국콘텐츠진흥원의 공식 견해가 아니며, 어떠한 법적 효력도 부여되지 않음을 알려드립니다. 또한 이 게시물에 수록된 자료는 2025년 10월 조사시점 기준이므로, 해외 국가의 정책 및 제도 등의 변화에 따라 업데이트가 필요할 수 있음을 알립니다.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