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주요국가 시장 정보

Canada Flag

캐나다

  • 인구40,509,958 명 [자료원 : 캐나다 통계청, 2023년 11월 기준]
  • 면적9,984,670㎢ [자료원 : 캐나다 통계청, 2023년 5월 기준]
  • 수도오타와(Ottawa)
  • 언어공용어(영어 58% 및 불어 21%), 기타(21%)
  • 화폐캐나다 달러

시장 및 소비자 특성

소비인구

  ㅇ 2022년 캐나다 가계실질최종소비지출(Household Actual Final Consumption, HAFC)은 C$ 1조 9,000억으로, 전년 대비 10.2%나 증가하며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훨씬 뛰어넘었다. 2022년 4분기 가정의 소비지출에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항목은 주거 25.2%, 교통 14.7% 음식 9.5%이며 교육, 세금 등이 그 뒤를 이었다. (2023년 11월 기준 확인 가능 최신 자료)

  ㅇ 유엔(UN) 통계 자료에 따르면 캐나다 전체 인구의 59.8%가 25~69세에 속해있으며, 전체 1,330여만 가구 중 27.6%가 1인 가구다. 캐나다 대부분의 소비자는 실용주의에 바탕을 둔 소비패턴을 보인다. 높은 소득수준을 자랑하는 만큼, 의류 품목보다는 연극, 오페라 관람 등의 문화생활이나 골프와 스키 등 각종 스포츠 및 여가 활동에 지출하는 비용이 더 많이 든다. 캐나다 인터넷 사용자의 84%가 온라인 쇼핑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은 여전히 구매 확정 전 제품을 확인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쇼핑(온라인 검색해 매점에서 픽업 또는 매장에서 확인 후 온라인에서 구매)을 선호하는 추세이다. 또한, 캐나다 소비자들은 코로나19로 인해 개인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2022년 소비자 월평균 지출 중 4.4%가 의료비로 지출되기도 했다. (2023년 11월 기준 확인 가능 최신 자료)<자료원: 캐나다 통계청, 캐나다 중앙은행, 유엔 통계국>

소비성향

  ㅇ 2023년 5월 리터당 C$ 1.588을 기록했던 기름값은 2023년 9월 리터당 C$ 1.683으로 상승했다. 식료품 가격은 최고치를 달성 후 하락하는 듯 하였으나 다시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데, 캐나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9월 식료품 가격은 전년 대비 3.8% 인상했다. 전문가들은 이상 기후, 여전히 높게 유지되는 운송 수단의 비용, 노동 문제와 이-팔 사태 등을 식료품 가격 인상의 이유로 꼽았다. 이로 인한 소비패턴의 변화도 포착되었는데, 대표적으로 소비자들은 저가 식료품점을 더 많이 찾는 성향이 생겼다.

  ㅇ 각기 다른 민족으로 구성된 이민사회인만큼 캐나다 내에서는 인종에 따라 다른 소비패턴을 쉽게 목격할 수 있다. 특히 최근 투자이민이 급증하고 있는 홍콩계 중국인들은 주택이나 사업체, 명품, 자동차 구매 등 고액의 투자를 요하는 부문에서 활발한 소비활동으로 캐나다 경제발전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ㅇ 캐나다의 연중 최대 소비 시즌은 크리스마스, 부활절(Easter Day, 4월 넷째 주), 추수감사절(Thanksgiving Day, 10월 셋째 주) 등이다. 이 기간에 많은 소비자가 가족과 지인들을 위한 선물을 마련하기 위해 상당한 소비를 한다. 계절 막바지에 소비재나 가구, 가전용품 등
의 할인 판매 기간에도 구매가 증가한다. 매년 9월 초 신학기가 시작되기 전인 'Back To School' 할인 판매 기간은 1년 중 학생용품의 판매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특히 크리스마스 다음 날인 12월 26일부터 12월 말(또는 1월 초)까지 'Boxing Week Sale'이 계속되는데 상당수의 도소매 기업이 구모델이나 재고상품 등을 처리하려는 목적으로 대규모의 할인 판매를 시행해 많은 소비자가 필요한 제품을 이 기간에 대량으로 구매하기도 한다. 소매업체의 경쟁 심화와 함께 미국 최대의 쇼핑 시즌인 Black Friday의 캐나다 유입으로 11월 말부터 세일 슬로건을 내걸고 할인 경쟁을 벌이기도 한다. 또한, 백화점이나 대형할인매장에서는 연중 내내 판촉세일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기회를 활용해 조금이라도 저렴한 가격으로 물건을 구매하려는 소비자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ㅇ 주요 바이어들은 주로 1년 중 판매시장이 가장 한산한 2월에 공급기업들과의 구매계약을 체결한다. 섬유류와 같은 계절의 변화에 민감한 제품은 계절별로 구매계약이 이뤄지지만, 소량 주문을 위주로 하는 기타 일반 소비재는 1년 치 구매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ㅇ 캐나다 소비자들은 저가 제품보다는 튼튼하고 기능이 좋은, 가성비가 좋은 제품을 선호하는 편이다. 자국에서 생산된 물건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편이며 또한 물건을 구매할 때 캐나다 소비자들은 정시 배달과 확실한 A/S를 중요하게 여긴다. 특히 대부분의 내구성 소비재에 대해서는 장기간의 품질보증을 당연한 것으로 여긴다.

  ㅇ 캐나다 유통 시장에 있어서 한 가지 주목해야 할 것은 대형마트의 영향력이다. 최근 몇 년간 유명 브랜드 제품이 아닌 대형 마트를 통해 유통되는 저가 상품들이 점차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다. 소비재의 유통은 식품류를 제외하고는 전통적으로 대형 백화점들이 주도했지만, 대형할인매장들과 "Big Box" 소매점들이 강세를 보이는 추세다. 특히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창고형 매장이나 대형할인매장의 인기는 더욱 증가했다. 또한, 대형 유통업체에서 직접 제작해 판매하는 PB 상품(자체 상품)은 높은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점점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한국 상품 이미지

1) 세련된 디자인으로 젊은 층의 큰 호응을 받는 가전제품

  ㅇ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캐나다의 가전제품 시장에서 판매되는 한국산 제품은 텔레비전이나 휴대전화에 불과했다. 그러나 캐나다 시장에서 삼성, LG 등 한국 브랜드의 인지도가 점차 상승하면서 냉장고는 물론 식기세척기, 세탁기, 전기밥솥, 로봇청소기 등 다양한 제품의 판매가 꾸준하게 증가하는 추세다.

  ㅇ 대형 가전제품 전문업체 Lowe's에서 판매 중인 삼성과 LG 냉장고의 경우, C$ 1,599부터 C$ 3,695까지 매우 다양한 모델을 선보이고 있고, 고급 사양의 제품은 다른 외국 기업 제품보다 높은 가격에 판매되고 있다. Whirlpool, GE, Maytag, Siemens 등 외국 브랜드 제품에 비해 한국산 제품은 다양하고 세련된 색상과 디자인으로 젊은 층으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LG와 삼성 냉장고 모두 현지 가전제품 베스트 셀러 브랜드 5위 안에 자리 잡고 있다.

2) 품질과 가성비로 소비자의 신뢰성을 얻은 한국산 자동차

  ㅇ 자동차 산업 통계기관인 Marklines에 따르면, 캐나다의 2023년 9월 누적 신차 판매량은 125만 8,898대로 전년 대비 10.1% 증가했다. 캐나다 내에서는 제너럴 모터스(GM)가 19만 7,349대를 판매하며 2023년 자동차 판매량 1위에 올랐으며, 뒤이어 토요타, 스텔란티스(FCA)가 각각 14만 4,401대, 12만 9,183대로 2위와 3위에 올랐다.

  ㅇ 반면, 한국의 캐나다 승용차 수출액은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였다. 한국 자동차 기업은 2023년 9월 누적 판매실적에서 강세를 보였는데, 현대는 8만 7,720대로 5위를 차지했고 기아는 6만 6,339대로 6위를 기록했다. 일부 소비자들은 한국 자동차 브랜드가 타 브랜드 대비 품질과 가성비가 좋고 의지할 수(reliable) 있어서 구매한다고 밝혔다. 더불어, 한국 자동차 산업은 강력한 공급망과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으며 다양한 핵심 부품들이 캐나다 현지에서 생산될 수 있도록 양국 간 파트너십이 잘 맺어져 있어 많은 소비자에게 선호되고 있다.

3) 시장의 25%가량 점유하고 있는 삼성 스마트폰

  ㅇ 캐나다 내에서는 애플의 아이폰이 60.7%로 압도적인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캐나다를 비롯한 북미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아이폰을 선호하는 이유로 철저한 보안관리 시스템과 심플하지만 특색있는 디자인으로 꼽았다.

  ㅇ 한국 스마트폰 브랜드의 캐나다 시장점유율은 삼성이 24.8%로 가장 높았으며, LG는 1.3%를 기록했다. 2021년, LG가 스마트폰 사업을 철수하면서 점유율은 점차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현지 소비자들은 타 브랜드 대비 저렴한 가격, 오픈소스(Open Source)로 편리한 시스템 디자인 변경, 좋은 카메라 화질, 그리고 뛰어난 호환성을 장점으로 꼽았다.

4) 특유의 맛과 콘텐츠 노출로 인기를 끌고 있는 인스턴트 라면

  ㅇ 아시아계 이민 인구 증가와 함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특유의 매운맛과 더불어 아시아인을 중심으로 한류 드라마와 인터넷 방송, 매운 라면 먹방 챌린지 등이 인기를 끌면서 한국산 라면의 인기가 보다 높아지고 있다.

  ㅇ 한국산 인스턴트 라면은 봉지 포장과 플라스틱 용기 포장 두 종류로 출시되고 있다. 한국산 인스턴트 라면은 월마트(Walmart), 로블로(Loblaws), 노 프릴(No Frills)와 같이 현지인에게 인기가 높은 저가형 유통매장에서도 쉽게 찾을 수 있다. 한편, 유통소매 산업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유통기업들은 경쟁력 강화를 위해 다양한 제품군을 구비하고 있어 기존 인기 라면과 함께 신제품의 수출 가능성이 커질 전망이다.

5) 한류 동향

  ㅇ K-POP, K-Beauty, K-Food 등 한류 콘텐츠가 캐나다에서도 큰 인기를 얻고 있다. K-POP 아티스트들은 토론토, 밴쿠버 등에서 콘서트를 개최하고 있으며, 2022년에는 가수 블랙핑크와 세븐틴 등이 캐나다에서 콘서트를 개최했는데, 오픈과 동시에 전석 매진되며 흥행에 성공했다. 일부 연예계 전문가들은 한국 가수들이 캐나다에서 인기를 얻는 데에는 한국의 그룹 방식이 한몫한다고 말한다. 북미에서는 솔로 가수들이 많은 반면, 한국은 적게는 4명부터 많게는 10명 이상까지 그룹형 가수 시스템을 운영한다. 이 때문에 현지 소비자들에게 한 그룹의 멤버들을 매체에 다양한 모습으로 노출해 솔로 가수보다 큰 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 현지에서 인기를 얻는 이유 중 하나라고 분석한다.

  ㅇ 2023년 9월, 세계 4대 영화제로 알려진 토론토 국제영화제(TIFF, Toronto International Film Festival)가 개최되었다. 엄태화 감독의 <콘크리트 유토피아>, 류승완 감독의 <밀수>, 허진호 감독의 <보통의 가족> 등 총 5개의 한국 영화가 토론토 국제영화제에 초청되어 영화 상영을 하고 관객과 만나는 시간을 가졌다. 다양한 OTT 플랫폼에서는 한국 제작 드라마나 영화뿐만 아니라 한국 요소를 가미한 시리즈가 증가하고 있다. 2023년, 한국계 감독이 제작한 <성난 사람들(Beef)>이 다양한 한국적 요소를 가미한 시리즈로 넷플릭스 월간 인기 시리즈 1위를 달성하며 흥행했다. 또한, 한국계 작가의 3부작 소설 원작인 영화 <내가 사랑했던 모든 남자들에게(To All the Boys)> 시리즈가 흥행 후, 한국을 배경으로 촬영한 <엑스오, 키티(XO, Kitty)>가 스핀오프 작품으로 공개되어 인기 영화 2위에 선정되기도 했다. 또한, <오징어 게임>과 <스위트홈>이 2023년 11월 시즌 2로 복귀를 알리며 많은 기대를 받고 있다.

  ㅇ 현재 캐나다에서 판매되고 있는 많은 한국 제품이 한류의 드라마, 영화, K-POP에서의 이미지 또는 광고모델로 인한 인기 효과를 보이고 있으며, 나아가 한국제품의 전반적인 국가 브랜드 고취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

최종수정 : 2023-12-28 17:57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 국가·지역정보

상거래 유의사항

상거래 시 유의사항

1) 바이어 접촉
  
  ㅇ 대부분의 한국기업은 바이어 접촉 시 팩스나 이메일로 간략한 회사 및 제품소개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데, 이런 경우에는 캐나다 기업들의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캐나다에서는 각종 광고물이나 스팸 메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중요한 서류 등은 직접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다. 또한, 유선접촉 시 직접 전화 응대를 하지 않고 리셉션을 통하거나, 자동 응답기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성명, 직함, 소속, 용건 등을 음성사서함에 간결하지만 정확히 남겨야 한다.

  ㅇ 바이어들을 처음 접촉할 때 필요한 것으로는 영문 카탈로그, 회사와 제품소개서, 가격표, 영문 홈페이지 주소, 담당자 정보, 제품 샘플 등이 있다. 기업의 첫인상을 긍정적으로 남기기 위해서는 큰 시차를 고려해 양자에 적절한 시간대에 화상상담 주선을 하는 것이 권고되며, 화상상담 시간은 꼭 엄수할 필요가 있다. Zoom이나 Google Meet을 이용한 바이어와의 화상상담 일정이 있을 경우, 최소 10분 전 미리 접속해 인터넷 연결, 로그인, 화면, 소리 상태 등을 확인해 미팅에 차질이 없도록 대비하는 것이 좋다.

2) 신속한 회신

  ㅇ 캐나다 바이어들이 한국기업에 대해 가장 많이 가지는 불만 사항 중 하나가 답신 지연이다. 수차례 이메일 또는 팩스를 발송했음에도 불구하고 회신이 없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바이어가 원하는 제품이 한국기업과 관련이 없을 때에도 편지에 감사하다는 답장을 보내는 것이 향후 비즈니스 관계 수립에서 매우 유리하다. 화상상담을 진행한 경우, 진행한 당일 혹은 익일 상담 중 요청 사항 등에 대응하며 교신을 이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3) 품목 설명

  ㅇ 품목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함께 우수성 및 주요 기업 납품사례 등을 설명하는 것이 좋으며, 정중하고 신중한 대화 자세가 필요하다. 바이어에게 향후 비즈니스 파트너로서의 신뢰를 줄 수 있도록 통역원의 도움을 받기보다는 가급적 직접 대화를 나누는 것이 좋다.

  ㅇ 설령 품목이 맞지 않더라도, 향후 잠재바이어가 될 가능성이 있음을 감안하여 상세하게 바이어와의 상담내용을 기록해 향후 비즈니스 관계 설정에 기초자료로 활용한다.

4) 최소 주문

  ㅇ 한국기업과 캐나다 바이어가 거래를 시작할 때 부딪히는 사항 중 하나가 한국기업이 요구하는 ‘최소 주문량’이다. 캐나다 바이어들은 재고 축적의 가능성을 부담스러워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캐나다 수입업자 중에는 소규모 영세업체도 많아 처음부터 최소 주문량을 맞추기 힘든 경우가 많고, 제품의 시장성 유무를 먼저 확인하고자 하기에 소량주문을 선호한다. 종종 한국기업이 처음부터 많은 물량을 수출하기를 주장할 경우 협상이 진행되다가 틀어지는 경우가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바이어가 소량 주문을 요청할 경우에는 자사의 최소주문량 기준을 제시하기보다는 자사의 생산계획에 맞추어 납기일을 조정하는 등 유연하게 대처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5) 계약서 작성

  ㅇ 모든 계약서는 표준계약서와 첨가계약서가 있는데, 특히 첨가계약서는 일반적으로 정해진 양식 없이 당사자 간의 협의로 작성되는 내용으로 사항으로서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계약서는 본격적인 거래에 앞서 양사의 합의점을 확인하는 비즈니스의 ‘출발점’이라는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또한, 캐나다 내 사이버 해킹으로 인한 무역 사기가 증가하고 있어 계약서에 대금 송금 절차 등의 프로토콜을 명문화하여 무역 사기 예방을 위한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6) 면담 시 유의사항

  ㅇ 바이어와의 면담에서는 창고(보관소)의 유무, 배송방법이나 통관절차, 지급조건 등에 대한 정확한 대응방안이 있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바이어를 접촉하면 대부분의 기업이 가격정보 외에도 위의 사항들을 함께 문의하는 경우가 많은데 친절한 답변과 고객응대를 통해 좋은 인상을 주는 것이 거래를 연결하는 핵심요소이다. 또한, 캐나다 바이어의 경우 캐나다 또는 미국에 위치한 기업의 추천(Reference)을 굉장히 중요하게 여기므로 회사 소개 시 선진국 시장에 수출경력과 전문제조 기술 보유 등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회사규모, 설립연도, 연간 매출액 등이 명기된 회사소개서를 사전에 준비해 바이어에게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7) 조급함은 금물

  ㅇ 캐나다 바이어들은 보수적인 성향이 있어 첫 거래를 성사시키기 위해서는 막대한 노력이 요구된다. 특별한 불만이나 이유가 있지 않은 한 기존 거래선을 쉽게 교체하려 하지 않으며 위험성이 덜한 거래를 선호하기 때문이다. 특히, 기존 거래처와의 관계를 중요시하기 때문에 가격 조건만을 보고 거래처를 바꾸는 경우는 드문 편이다. 캐나다 바이어들이 통상적으로 거래를 결정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미국 바이어들에 비해 2배 이상 걸리기 때문에, 캐나다 바이어들과의 첫 거래를 성사시키기 위해서는 인내심을 가지고 제품과 회사 홍보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8) 구매자-판매자 관계보다는 파트너십 강조

  ㅇ 캐나다 바이어들이 대체로 보수성이 강한 것은 사실이지만, 의외로 적절한 공략방법을 사용해 거래가 성사되는 경우도 있다. 특히 캐나다와 같은 선진국에서는 ‘우리 물건을 수입해 팔아라’는 식의 무조건적인 마케팅 방법은 환영받지 못하며, 파트너십(Partnership) 관계를 강조하면 많은 도움이 된다. 간혹, 일부 한국기업이 수출에만 몰두해서 여러 바이어를 통해 수출만 마치고 그 이후의 상황은 신경 쓰지 않는 사례가 있다. 이런 경우, 같은 물건을 받은 현지 바이어들은 의도치 않게 서로 가격 경쟁을 하게 되어 장기적으로는 큰 손해를 입는다. 따라서, 단순히 물건만 수출하고 판매는 바이어가 알아서 하도록 두는 것이 아니라, 양자가 윈-윈 할 수 있도록 제품 판매 공략 수립 등 공동 사업자로서의 면모를 보여주면 관련 품목을 취급하지 않는 기업에서도 관심을 갖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9) 대금 결제 관행

  ㅇ 국제무역에 익숙한 많은 캐나다 바이어들은 대부분의 공급업자가 계약 체결 시 L/C나 T/T를 원하는 것을 알고 있기는 하나 외상거래를 요구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특히, 몇 차례 거래실적이 있는 경우에는 신용을 바탕으로 외상 거래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몇 차례 거래가 성사된 사실만을 근거로 수입기업의 외상거래 요청을 들어줄 수는 없으므로 미리 바이어에 대한 신용조사를 한 후 상황에 따른 적절한 대처가 필요하다.

  ㅇ 캐나다 바이어가 종종 대금 결제를 미루거나 법적 구속력을 가진 명확한 계약서가 없음을 근거로 대금 지급을 회피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바이어와 양자 대화를 통한 해결하는 것이 우선이지만, 제3자 개입이 불가피할 경우에는 중재기관 또는 캐나다 현지의 법률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더불어 수출보험서비스를 이용 피해를 미연에 최소화하는 것도 비용 대비 효과 측면에서 고려해보아야 한다.

  ㅇ 사이버 해킹으로 인한 무역사기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대금 결제를 포함한 모든 중요한 내용 관련해서는 이메일 교신 외에도 반드시 유선으로 재확인하는 것이 권장된다.

10) 제품 라벨링

  ㅇ 캐나다로 수출 및 유통되는 제품 대부분은 캐나다 공식 언어인 영어와 프랑스어 2개 언어 라벨링(Labelling)이 요구된다. 제품 성분이 다양하고 변경이 잦은 식품과 화장품 제조업체는 특히 라벨링에 신경써야 한다. 라벨링 시에는 영어와 불어를 각각 양 옆 또는 상하단에 바로 기입해 혼란이 없도록 하며 제조업체나 유통업체 등 세부 정보도 2개국어로 기입되도록 해야한다.

최종수정 : 2024-02-26 16:10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 국가·지역정보

상담 유의사항

상담 및 문화적 유의사항

1) 비즈니스 에티켓

  ㅇ 캐나다의 사업 에티켓은 다른 선진국들에서 통용되는 에티켓과 유사하다. 사업가들 간에는 서로의 시간을 존중하며 약속 시간을 엄수하는 것이 철칙이다. 피치 못할 사정으로 약속에 늦을 경우에는 정중하게 사과를 하고 양해를 구하는 것이 바른 매너로 통용된다. 만약 20분 이상 늦을 경우에는 최대한 신속하게 전화로 설명하고 약속 시간을 재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나다 사람들은 외국인에게 비교적 친절한 것으로 알려져 있기는 하지만 개인 신상에 관한 질문(나이, 결혼 여부, 소득 수준 등)을 자세히 묻는 것은 큰 결례로 여기기 때문에 이를 염두에 두어야 한다.

  ㅇ 캐나다 바이어를 만날 때 통역을 동반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Hi. How are you? I’m good. Thanks.’ 정도의 인사와 기본적인 인사와 자기소개는 영어로 해주는 것이 좋다. 인사 방식으로 남성은 눈을 마주치고 악수를 교환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여성의 경우 친하다면 가벼운 포옹도 가능하다. 보통 악수할 때 캐나다인은 손을 힘주어 잡는 경향이 있는데 이를 도전적인 의미로 받아들이기보다 친근함 혹은 만나서 반갑다는 표현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좋다.

  ㅇ 처음 만난 경우, 악수를 하며 인사한 후 명함을 교환하게 된다. 이때 공손하게 두 손으로 명함을 건네는 한국인들과 달리 캐나다인은 명함을 던지듯이 상대방 앞에 내려놓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나쁜 뜻이 담겨있는 것이 아니라 문화적인 차이일 뿐이므로 이에 대해 기분 나빠할 필요가 없다.

  ㅇ 캐나다에서는 남녀노소 불문하고 상대방이 이야기할 때 두 눈을 쳐다보고 반응을 보이며 경청하는 것이 예의이다. 상사나 나이가 많은 어르신들과의 대화에서도 너무 딱딱한 모습보다는 부드러운 어투로 자연스럽게 대화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화 시 고개를 숙이고 있거나 다른 곳을 쳐다보는 행동은 예의에 어긋나는 행동이므로 주의해야 한다.

  ㅇ 비즈니스 미팅에서 한국 기업 관계자들이 가장 많이 하는 실수 중 하나는 바로 사물을 가리킬 때 가운뎃손가락을 사용하는 것이다. 사람을 향해 가운데 손가락만을 펴는 행위는 서양에서 매우 상스러운 욕이라는 사실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하지만 일부 업체 관계자들은 이를 망각하고 사물을 가리키거나 책자의 내용물을 설명할 때 무의식적으로 가운데 손가락을 이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예의에 어긋난 행동이므로 삼가야 한다.

  ㅇ 한편 캐나다 관계자와의 비즈니스 미팅에서 종종 상대방이 공중에서 양손의 검지와 중지를 펴고 V자를 만든 상태에서 아래위로 토끼 귀처럼 까딱까딱하는 제스처를 볼 수 있는데 이는 ‘Air Quotes’ 또는 ‘Bunny Quotes’라는 제스처로 두 손가락을 인용부호인 따옴표 모양을 만들어 강조하고 싶은 말을 할 때 사용한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빈정대거나 풍자할 때도 많이 쓰이는 표현이므로 주의해야 한다.

  ㅇ 캐나다에서는 사업 상대가 자신의 집으로 초대하는 것이 개인적인 친분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만약 초대를 받았을 경우에는 정중하게 수락 여부를 답해야 한다. 방문 시 선물이 꼭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선물을 고민하고 있다면 꽃, 와인, 자국 기념품 등이 좋다. 방문 후에는 초대해준 상대방에게 감사의 서신 또는 이메일을 보내는 것이 관례이다.

  ㅇ 비즈니스 미팅에 참석 시 상대방의 복장에 맞추어 입는 것이 기본적인 예의이기 때문에 어떤 업종에 종사하는 상대를 만나느냐에 따라 복장이 달라질 수 있다. 법조계, 금융계, 정부기관에 종사하는 사람을 만날 때에는 정장을 완벽하게 갖추어 입어야 하며 남성의 경우 넥타이까지 착용하는 것이 예의이다. 미팅 상대방이 유통 산업 종사자라면 세미 정장 정도 입는 것이 보통이며, 식품업계나 자동차 등 제조업계의 경우 간혹 바이어가 청바지를 입고 나오는 경우가 있을 정도로 복장에 있어서 다른 산업보다 자유로운 편이다. 그러나 같은 산업에 종사하는 경우라도 바이어들의 성향에 따라 복장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또한 처음으로 만나는 미팅의 경우 어느 업종이나 격식을 차려입는 것이 안전한 선택이다.

  ㅇ 식사 메뉴를 정할 때는 먼저 상대방에게 선택을 권하는 것이 예의나, 만약 본인이 메뉴를 정하게 된다면 상대방의 문화적 배경이나 기호 등을 고려해 결정하는 것이 좋다. 다문화 국가인 캐나다에서는 각 종교, 민족의 특성에 따라 먹지 않는 음식이 있고 채식주의자도 상당히 많은 편이어서 이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식사 자리가 매우 불편해질 수 있다. 식사 메뉴를 정하기 전에는 상대에게 먹지 않는 음식이 있는지 혹은 알레르기가 있는지 등 미리 물어볼 필요가 있다. 특히, 여느 서구 문화권에서와 마찬가지로 캐나다 바이어들에게는 한국처럼 한 가지 음식을 주문해 나누어 먹는 개념이 생소하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한국 음식을 먹게 될 경우 함께 시켜서 나누어 먹는 것이 괜찮을지 상대방에게 먼저 물어보는 것이 예의이며, 식사할 때는 개인 접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방문 시기 고려

  ㅇ 캐나다 방문에 가장 적합하지 않은 시기로 3월 봄방학(March Break), 여름휴가 기간, 연말연시 등을 꼽을 수 있다. 또한, 캐나다의 겨울은 우리나라와는 다르게 강추위와 폭설을 동반하므로 겨울철 캐나다 출장은 기후 적응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ㅇ 12~1월 초에는 성탄절과 연말연시를 맞아 대부분의 기업체가 장기 휴무에 들어가므로 최대한 피해야 한다. 여름휴가 시즌인 6~8월에는 대부분의 정부기관, 민간기업, 경제 관련 단체 관련자 등이 2~4주간 휴가를 떠나므로 출장 전 확인이 요구된다. 3월에는 1주일간의 학교 봄방학(March Break)을 맞아 가족을 동반한 휴가여행을 떠나는 사람들이 많으니 사전 확인이 필요하다.

3) 문화적 금기사항

  ㅇ 다민족으로 이루어진 이민사회인 만큼 캐나다 내에서는 인종, 민족, 종교 등에 대한 차별이나 농담은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캐나다는 동성 간의 연애와 결혼에 법적으로 문제가 없는 국가로, 실제 생활에서 동성연애자를 흔히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편견과 비하가 섞인 발언은 자제하는 것이 좋다.

4) 영어자료는 필수, 퀘벡주 소재 바이어는 프랑스어 자료 선호

  ㅇ 구매 의사를 타진하기 위해 바이어들에게 회사와 제품을 설명하는 자료를 제공할 때는 영어로 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또한, 영어와 프랑스어를 모두 공식 언어로 채택하고 있는 캐나다에서는 지역에 따라 프랑스어 자료가 더 효과적인 경우도 있다. 몬트리올이 있는 퀘벡 주는 대표적인 불어 사용 지역으로 이 지역 바이어들을 접촉할 때는 프랑스어로 된 자료가 더 효과적이다. 참고로 캐나다에서 판매되고 있는 제품의 포장에는 영어와 프랑스어를 함께 표기하는 것이 표준 원칙이다.

5) 변화된 업무 환경

  ㅇ 사기업, 공기업을 불문하고, 캐나다에서는 코로나19로 시작된 재택근무와 완화기에 시행되었던 하이브리드(재택·대면 혼합) 근무가 업무 환경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사기업은 전면 재택근무 또는 하이브리드 근무를 시행하고 있으며, 공기업 또한 일부 필수 공공서비스를 제외하고는 하이브리드 근무를 시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면 근무 직원 수가 줄고, 이에 따라 공관에 직접 방문해 처리해야 하는 업무가 일부 지연되는 경향이 있다. 우리 기업은 이 점에 유의하여 미리 근무 일정을 파악해 캐나다 사기업 또는 공기업과 면담하는 것이 권고된다.

최종수정 : 2024-02-26 16:10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 국가·지역정보

비자

종류 및 발급 절차

종류 및 발급 절차

  ㅇ 한국과 캐나다의 비자면제협정 체결로 한국 국민은 캐나다에 비자 없이 입국해 최대 6개월까지 체류할 수 있으며 1회에 한해 6개월 연장할 수 있다.
    - 캐나다는, 2016년 11월 10일부터 항공편으로 캐나다에 입국하는 한국 등의 비자면제국 국적자에게 입국 승인(eTA) 사전 취득을 요청하고 있다.
    - 관광 또는 단기 출장 방문의 경우 eTA 취득 시 별도 비자를 취득하지 않아도 입국할 수 있으며, 입국 심사에서는 체류 기간 중 거주할 곳의 주소를 물어보기 때문에 사전에 호텔, 민박 등의 정확한 주소를 알아둘 필요가 있다.
    - 한편, 코로나19로 인해 캐나다에 입국하는 모든 여행객에 대해 필수로 요청하던 백신 접종증과 자가격리를 비롯한 국경 조치는 2022년 10월 1일부로 모두 해제되었으며, 캐나다 입국 어플인 ArriveCAN의 사용은 필수는 아니나 입국 및 세관 신고 절차 간소화를 위해 사용은 권장된다.

  ㅇ eTA 개요
    - 인터넷으로 여권 정보 등을 입력 후 수수료(C$ 7) 납부
    - 결제방식: 신용카드, 직불카드, 신용(기프트)카드
    - 소요기간: 10분 내외(대부분의 경우 결과는 즉시 확인 가능)
    - 유효기간: 5년 또는 여권 만료 일자 중 이른 날짜까지
    - 활용: 입국 심사 시 eTA 신청에 사용한 여권 제시
    - 홈페이지: https://www.canada.ca/en/immigration-refugees-citizenship/services/visit-canada/eta/apply.html

최종수정 : 2023-12-28 18:07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 국가·지역정보

통관제도

통관 유형별 절차

1) 개요
  ㅇ 캐나다 국경관리청(Canada Border Services Agency, CBSA)에서는 모든 수입품에 대해 검사하지 않는다. 이는 수입 제품의 신속한 통관을 위한 것으로 주기적으로 수입되고 있는 제품, 안전 문제와 국민 건강 등에 밀접한 관련이 없는 제품, 과거 수입 규정 위반 사례가 없었던 수출입업자의 제품에 대해서는 대체로 물품검사를 면제한다.

  ㅇ 초기 수출되는 제품이나 농수산물, 식료품, 의약품, 의료기기 또는 수출입허가법, 수입규제 조치법 등에 적용되는 제품 등에 대해서는 불규칙 선택검사(Random Sampling)를 통해 수입 서류와 제품의 부합 여부, 제품 안정성, 위생 상태 등을 확인해 수입 적격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서류상의 오류나 제품의 안정성을 입증할 수 있는 추가 서류가 필요한 경우 시정 조치를 내릴 수 있다.

  ㅇ 농수산물에 대한 검사는 점차 강화되는 추세이다. 과거에는 한국산 배, 감 등의 과실류에 대한 수입 불허된 적이 있으며, 주로 어류(젓갈 등) 및 액젓에 대한 수입 불허가 늘어나는 추세다.

  ㅇ 캐나다 국경관리청은 코로나19가 여전히 공공 건강 문제로 다뤄지는 만큼 국가 안보와 공공 안전 보호를 위해 국경 관리를 철저히 유지하고 있다. 캐나다 보건부가 마스크, 장갑, 고글과 같은 개인 보호 장비(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PE), 의약품, 백신, 의료기기의 신속한 수급을 위해 임시명령 승인 신청(Interim Order Authorization)을 발동하기도 했다. 동 임시명령은 2023년 2월 22일 개정되어 임시명령 아래 수입되었던 코로나19 관련 의료기기들이 계속해서 수입·판매될 수 있도록 변경되었다.
     * 승인법령 참조: https://laws-lois.justice.gc.ca/eng/regulations/SOR-98-282/

2) 수입규제품목
  ㅇ 일반 상품과 달리 수출입허가법(Export&Import Permit Act)과 특별 수입규제 조치법(Special Import Measures Act; SIMA)에서 명시한 품목이나 농수산물,의료기기 등 국민건강과 안전에 직결되는 품목은 사전에 수입허가를 받고 안전 인증 등 별도의 서류를 제출해야 수입이 가능하다. 수입허가를 받아야 하는 품목은 매년 캐나다 법무부에서 '수입규제품목(Import Control List)' 에 업데이트 하고 있다.
     * Import Control List: https://laws-lois.justice.gc.ca/eng/regulations/C.R.C.,_c._604/page-1.html

3) 통관의 종류
  ㅇ 최소서류통관제도 (Release on Minimum Documentation; RMD)
    - 최소의 서류로 진행되는 약식 통관절차를 완료해 관세 납부 이전에 물품을 통관하는 제도이다.
    - 현재까지 통관 관련 위반사항이 없고 향후 문제 발생이 예상되지 않는 업체에서 물품이 별도의 검사가 요구되지 않는 품목일 경우에만 이용할 수 있다.
    - 전년도 월평균 관세납부액에 해당하는 수준의 보증금을 사전에 예치해야 하며, 최소 금액은 C$ 250, 최고 금액은 C$ 2만 5,000으로 필요 서류는 아래와 같다.
    - 화물 관리서류(Cargo Control Document) 2부, Invoice 2부, Form B3(canada customs coding form)2부, 수입 허가서(Import Permit), Health Certificate, 연방정부가 요구한 다른 서류 그리고 Form A(Certificates of Origin(필요시) 1부
     * 자료원: https://www.cbsa-asfc.gc.ca/import/acc-resp-eng.html

  ㅇ 문의사항은 CBSA Service Standards를 이용할 수 있다.
     * RMD 관련 링크: https://www.cbsa-asfc.gc.ca/services/serving-servir/standards-normes-2022-2023-eng.html (2022~2023 회계 연도)

  ㅇ 일반서류통관제도(Release on Full Documentation;RFD)
    - 관세납부와 통관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정식 통관절차 제도로 앞서 소개된 최소서류 통관제도와 달리 특별한 자격 요건은 없으며 필요 서류는 아래와 같다.
    - 화물관리서류 (Cargo Control Document) 2부, Invoice 2부, Canada Customs Coding Form 2, Import Permit 또는 Health Certificate 1부, Certificate of Origin 1부(필요시)
     * CBSA 홈페이지에 통관과 관련된 'Release of Your Shipment' 페이지 참조 (https://www.cbsa-asfc.gc.ca/import/release-dedouanement-eng.html) 주소 업데이트

  ㅇ 우편통관
    - 우편으로 C$20를 초과하는 물품을 수입할 경우, 국경관리청(Canada Border Services Agency, CBSA)의 Form E14(CBSA portal import form)를 우편물에 부착해 배달해야 한다.
    - 수취인이 수령과 동시에 관세 및 세금(HST 또는 GST와 PST)을 납부해야 하며, 캐나다 우체국(Canada Post)에서 부과하는 C$9.95의 취급비용(handling fee) 도 함께 납부해야 한다.
    - 우편 통관의 경우 국경관리청(CBSA)에서 우편물에 Form E14를 부착한 후 캐나다 우체국이 수취인에게 발송하기 때문에 수취인이 별도로 서류를 작성할 필요가 없다.
     * 국경관리청 홈페이지의 우편통관과 관련된 자료 Importing by mail 페이지 참조: https://www.cbsa-asfc.gc.ca/import/personal-personnel/postal-postale-eng.html

  ㅇ 통관본드 (Custom Bond)
    - 수입자가 관세 및 세금 등 각종 의무를 지킬 것이라는 약속과 함께 세관에 제공하는 담보 역할을 하며, 주로 보다 빠른 통관을 위해 이용된다.
    - 통관 본드 예치 시에는 현금, 수표, 또는 캐나다 연방정부 국채를 이용할 수 있으며, 금융기관에서 발급한 통관본드 양식(D120)도 이용이 가능하다.
    - 통관 본드는 보험 회사를 통해 직접 구입할 수도 있고 세관 중개 회사를 통해서도 가능하다(수수료 있음).

통관시 유의사항

1) 물품검사 및 보류 및 압류
  ㅇ 캐나다 국경관리청(Canada Border Services Agency; CBSA)은 일반적으로 선택적 샘플 조사를 통해 물품 검사를 실시한다. 일반적으로 물품검사 빈도와 강도는 과거 검사 기록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세관이 요구하는 신고 서류에 오류가 없도록 작성에 만전을 기하는 한편, 신고 내용과 실제 통관물품이 일치하도록 유의해야 한다. 검사 대상은 초기에 수출되는 제품, 동식물, 사료, 동식물 가공품 및 관련 제품 등이 있다. 검사 방법은 X-ray검사(Vacis Exam), Dock Side Exam(항구 도착 후 컨테이너를 열어보는 검사), Wooden Package Exam(세관이 컨테이너를 이동시켜 창고에서 확인), Random Exam(임의 검사), 그리고 Impact Exam(세관에서 실시하는 세부 검사)가 있다.(일반적으로 비용은 수출업자가 부담)
 캐나다 통관법(Canada Customs Act)은 국경관리청(CBSA)의 권한이 수입금지품목 외의 제품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정의해 국경관리청 재량에 따라 수입 물품을 검사, 보류, 압류, 폐기, 또는 재사용 할 수 있도록 규정했다.

  ㅇ 캐나다 식품검역청(Canada Food Inspection Agency; CFIA)은 동식물, 동식물 가공품, 사료 및 관련 제품에 대한 고유의 검역권한을 갖는다. 2003년 이후로 캐나다 식품검역청의 동식물 식품 관련 제품 검역의 실무적인 역할은 캐나다 국경관리청(CBSA)에서 위임받아 일반 상품 검역과 함께 수행하고 있다. 식품검역청의 검역 요건은 품목마다 상이하고 내용이 복잡하다. 이러한 어려움을 덜기 위해 식품검역청은 웹페이지에서 AIRS(Automated Import Reference System)를 통해 HS Code에 따른 통관 요건을 자세히 기술하고 있다.
또한 식품검역청의 검역이 필요한 식용 제품 수입의 검역 요건, 통관 절차 등에 대해 문의해볼 수 있는 National Import Service Center(NISC)를 운영하고 있다.

    - AIRS: https://inspection.canada.ca/importing-food-plants-or-animals/plant-and-plant-product-imports/airs/eng/1300127512994/1300127627409
    - NISC:
https://inspection.canada.ca/importing-food-plants-or-animals/food-imports/nisc/eng/1364059150360/1364059265637
1-800-835-4486(전화), 1-905-795-9658(팩스), cfia.nisc-csni.acia@inspection.gc.ca (이메일)

2) 방치된 화물
  ㅇ 국경관리청(Canada Border Services Agency; CBSA)의 통보 이후 수취인은 40일 내 관세 및 소비세 등을 지불하고 물품을 수령할 수 있다. 일정 금액의 보관료가 부과되기 때문에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국경관리청(CBSA)에 수령 의사를 신고하고 세관으로부터 물품을 수령해야 보관료 부담을 덜 수 있다. 40일이 지나서도 수취인이 세관에 보관 중인 물품을 수령하지 않을 경우 국경관리청(CBSA)의 창고에 보관하게 되며, 이후 30일이 지나서도 수령하지 않은 물품은 국경관리청(CBSA)의 판단에 따라 폐기될 수 있다.

3) 세관의 조사항목
  ㅇ 일반적으로 캐나다 세관에서는 비용절감 및 시간단축을 위해 표본조사를 실시한다. 그러나 세관 판단에 따라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경우에는 전수조사도 가능하며 이러한 불상사를 막기 위해서는 신고 서류를 사실대로 정확히 작성하고 깨끗한 통관 이력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세관에서 조사하는 항목은 다음과 같다.

  ㅇ 원산지 증명서(Certificate of Origin)
    - 한-캐나다 FTA 한국 특혜관세(KRT) 혜택을 받기 위해선 ‘캐나다와의 협정에 따른 원산지증명서의 서식(Certificate of Origin Korea-Canada Free Trade Agreement) ’을 첨부해야 하며, 양식은 하기 링크에서 확인 가능하다.
 * https://www.cbsa-asfc.gc.ca/publications/forms-formulaires/bsf760-eng.html

  ㅇ 상업송장(또는 Canada Custom Invoice)과 수입 물품의 비교
    - 상업송장에 기입된 내용과 실제 수입물품이 동일한지 검사하는 과정으로 상품의 화폐가치, 수출업자와 수입업자 정보, 최종 도착지 등에 관한 내용을 조사한다.

  ㅇ 기타
    - 캐나다 국경관리청의 일반적인 조사 외에도 동식물의 경우 위생기준, 검역증 등에 대한 조사를 실시한다.
    - 동식물 관련 검역 권한은 캐나다 식품검역청이 가지고 있으며 캐나다 국경관리청은 이를 위임해 수행하고 있다.
    - 품목별로 조사 대상 및 방법이 상이하며, 품목별 요구사항은 아래 식품검역청 AIRS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 https://inspection.canada.ca/importing-food-plants-or-animals/plant-and-plant-product-imports/airs/eng/1300127512994/1300127627409

4) 통관경비
  ㅇ 한국에서 캐나다로 수출 시 발생하는 통관경비는 상품에 따라 비용이 달리 부과될 수 있기 때문에 운송 전에 예상 경비를 파악해야 한다.
관세는 제품 가치에 부과되며 관세가 부과된 뒤에 판매세(GST 5%)가 부과되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C$100 가치의 A제품을 캐나다로 수입할 때의 관세가 10%인 경우, 관세는 C$10(C$100*10%)이며, 판매세(GST)는 C$5.50(C$100과 C$10를 합산한 금액의 5%)이다.

최종수정 : 2023-11-15 06:16

출처 : KOTRA 해외경제정보드림

관세제도

관세제도 개요

1) 개괄
캐나다는 GATT(General Agreement on Tariffs and Trade,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에 명시된 관세부과 규칙에 기초해 수입 관세를 부과하는데, 관세부과 규칙 중에는 특수한 경우 다른 부과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예외 조항도 있다. 캐나다는 관세법상 상품을 분류할 때 국제통일상품분류체계(HS Code)를 사용하며 이에 따른 관세의 부과 절차는 대부분의 주요 무역 대상국들과 유사하다.

2) 관세율 종류
  ㅇ 관세 코드 종류
  ① 한국 특혜관세(Korean Tariff; KRT)
    - 2015년 1월 1일부터 한-캐 FTA가 발효됨에 따라 한국산 제품에는 한-캐 FTA 양허안에 다른 별도의 관세(KRT)가 부과된다.
    - 한-캐 FTA에 따른 관세 양허안은 한국 관세청에서 한글로도 확인이 가능하다.
     * 한국 관세청: www.customs.go.kr/ftaportalkor/cm/cntnts/cntntsView.do?mi=3314&cntntsId=2430

  ② 최혜국관세(Most Favored Nation Tariff; MFN)
    - 캐나다와 상호 최혜국조치를 하는 세계무역기구(WTO)의 회원국을 원산지로 하는 수입물품에 적용되는 관세율을 의미한다.

  ③ 일반특혜관세(General Preferential Tariff; GPT)
   · 개발도상국의 수출증대 및 공업화의 촉진 등을 목적으로 하는 관세로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을 원산지로 하는 농수산품 , 공산품, 반제품에 대해 일반 관세율보다 낮은 관세율 혹은 무관세를 적용하는 관세 상의 특혜제도를 의미한다.
   · 2023년 하반기 기준, 캐나다는 일반특혜관세 대상국 106개 국가에 대해 관세 품목의 84%에 관세 면제 또는 관세 인하를 적용 중에 있음.

  ④ 최저개발국관세(Least Developed Country Tariff; LDCT)
   · 최저개발국가는 최빈국가라고도 하며 유엔 경제사회이사회(ECOSOC)에서 1인당 국내 총 생산이 US$ 900 미만에 속하는 나라들 중 중등교육 수준, 성인 문맹률, 평균 수명 등을 기준으로 3년 마다 명단을 작성하고 있다.
   · 아프리카, 아시아 및 카리브해와 태평양의 섬 국가들이 포함돼 있다.
   · 2023년 하반기 기준, 캐나다는 최저개발국관세 대상국 49개 국가에 대해 최빈국 할당량 초과 공급 제품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품목에 관세 면제를 적용 중에 있음.
  
     * 일반특혜관세 및 최저개발국관세 관련 캐나다 정부 안내 웹사이트: https://www.canada.ca/en/department-finance/programs/consultations/2022/public-consultation-renewal-canada-tariff-preference-programs-developing-countries.html

  ⑤ 미국, 멕시코 관세(UST, MT, MUST) (https://www.cbsa-asfc.gc.ca/publications/dm-md/d11/d11-4-19-eng.html)
    - 미국과 멕시코에서 수입되는 상품은 NAFTA 협정 기준의 적용을 받고 있으며 관세의 특혜를 요구하는 수입 상품에는 NAFTA 협정이 인증하는 원산지를 명시해야 한다.
    - 원산지의 인증은 그 상품이 NAFTA 협정을 준수하고 있으며 일정 수준의 품질을 유지하고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⑥ 호주, 뉴질랜드, 칠레, 이스라엘 관세(AUT, NZT, CT, CIAT)
    - 호주 및 뉴질랜드 , 칠레, 이스라엘에 대해서는 별도로 체결된 통상협정을 기반으로 최혜국 관세 보다 낮은 관세율을 적용한다.

  ⑦ 카리브해 영연방국가(Commonwealth Caribbean Countries; CCCT)
    - 카리브해에 위치한 영연방국가들의 상품에 대해서는 통상 관세를 부과하지 않고 있다.

  ⑧ 유럽연합 관세(Canada-European Union Tariff; CEUT)
    - 2017년 9월 21일 캐나다와 유럽연합(EU) 간 FTA인 CETA(Comprehensive Economic and Trade Agreement)가 잠정 발효됨에 따라 유럽연합 국가들로부터 수입되는 상품은 CEUT 관세가 적용된다.

  ⑨ 콜롬비아 관세(COLT)
    - 캐나다-콜롬비아 FTA가 발효됨(2011.8.15.)에 따라 콜롬비아산 상품에는 CCOFTA 양허안에 따른 별도의 관세(COLT)가 부과된다.

  ⑩ 코스타리카 관세(CRT)
    - 코스타리카에서 수입되는 상품은 캐나다-코스타리카 FTA인 CCRFTA 협정 기준이 적용된다.

  ⑪ 온두라스 관세(HNT)
    - 온두라스로부터 수입되는 상품에는 캐나다-온두라스 FTA(2014.10.1. 발효) 특혜관세가 적용된다.

  ⑫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리히텐슈타인, 스위스 관세(IT, NT, SLT)
    - 캐나다-유럽자유무역엽합(EFTA) 간 FTA가 2009년 7월 발효되면서, 아이슬란드 및 노르웨이, 리히텐슈타인, 스위스에서 수입되는 상품에는 별도의 관세가 부과된다.

⑬ 요르단 관세(JT)
    - 캐나다-요르단 FTA가 2012년 10월 1일 발효됨에 따라 해당 국가의 상품에는 JT 관세가 부과된다.

  ⑭ 파나마 관세(PAT)
    - 2013년 4월 1일 캐나다-파나마 FTA 협정기준에 따라 파나마산 상품에는 별도의 관세(PAT)가 부과된다.

  ⑮ 페루 관세(PT)
    - 캐나다-페루 FTA 발효로 2009년 8월 1일부터 페루산 제품에는 PT 특혜관세가 적용된다.

  ⑯ 우크라이나 관세(UAT)
    - 2017년 8월 1일 캐나다-우크라이나 FTA인 CUFTA가 발효되면서 우크라이나산 상품에는 UAT 특혜관세가 부과된다.

     * 나라별 관세 종류 나열된 캐나다 정부 웹사이트: https://laws-lois.justice.gc.ca/eng/acts/c-54.011/section-27-20200701.html

3) 관세평가제도
  ㅇ 캐나다 국경관리청은 1985년 1월 1일을 기해 GATT 7조의 관세평가 원칙을 도입한 이래로 동 평가 제도를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이 제도는 과세기준을 종전의 '공정시장가격(Fair Market Value)'에서 '거래가격(Transaction Value)'으로 대체해 관세평가 제도의 공정성, 합리성, 중립성을 보장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관세는 항상 캐나다 달러로 표시하며 캐나다 세관의 관세 평가에 불복할 경우 90일 이내에 캐나다 국제무역재판소(Canadian International Trade Tribunal; CITT)나 연방법원에 재평가를 요구해야 한다. 캐나다는 수입제품의 통관 시 Import Duty(관세) 외에 Excise Tax(가솔린, 보석, 시계, 자동차 등에 부과되며 우리의 특별소비세와 유사) 및 Excise Duty(담배 및 술 등에 부과) 등을 별도로 부과하는데 이때의 부과액은 상기 관세 평가액에 의한다. 이와는 별도로 연방 상품용역세(Goods and Services Tax; GST)도 부과하는데 연방 상품용역세는 평가액과 상기 세액을 기준으로 산출, 부과한다.

관세율 알아보는법

1) 관세율 조회를 위한 캐나다 기준 HS Code 확인 및 예시는 아래와 같다.
  ㅇ 캐나다는 10자리 HS Code 분류에 따라 관세율을 지정하고 있으며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첫 6자리는 한국과 캐나다의 분류 기준이 같다. 끝의 4자리는 한국과 캐나다의 분류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한국 기준 HS Code를 파악한 후 첫 6자리 숫자를 이용해 정확한 캐나다 기준 HS Code를 찾아야 관세율 조회가 가능하다. 한국 기준 HS Code는 코트라(KOTRA) 또는 관세청의 웹사이트를 통해 조회할 수 있으며 캐나다 기준 HS Code는 캐나다 국경관리청(CBSA)의 웹사이트를 통해 조회할 수 있다.

  ㅇ HS Code 조회가 가능한 한국과 캐나다 기관 홈페이지는 아래와 같다.
    - 한국 관세청: unipass.customs.go.kr/clip/index.do
    - 캐나다 국경관리청: https://www.cbsa-asfc.gc.ca/menu-eng.html

최종수정 : 2023-12-28 16:46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 국가·지역정보

투자진출형태

법인

1) 연방법인
  ㅇ 연방법인은 캐나다 내 모든 주에서 기업 활동이 가능하며 모든 주에서 동일한 상호 사용이 가능하다.
    - 연방법인 설립 시, 상호를 별도로 신청하지 않으면 전산 내 자동으로 상호를 대체하는 고유번호(Numbered name)가 정해지게 되는데, 부여받은 고유번호가(예: 123456 Canada Inc.) 상호로 인정된다.
    - 연방 법인 설립에 관한 더 자세한 사항은 아래 링크를 통해 캐나다 혁신과학경제개발부(Innovation, Science and Economic Development Canada)의 가이드라인을 따라 신청하거나 현지 변호사와의 상담을 추천한다.
    - 가이드라인: www.ic.gc.ca/eic/site/cd-dgc.nsf/eng/cs06642.html

  ㅇ 연방법인 및 주 법인 설립을 위한 서류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제출이 가능하며 온라인 서류접수는 Cyberbahn, ESC Corporate Services와 OnCorp Direct 등의 대행업체를 통해 가능하다.
    - ECore: https://www.oncorp.com/oncorphome/pages/index.aspx
    - ESC Corporate Services: www.eservicecorp.ca

  ㅇ 별도 특정 상호를 희망할 때에는 캐나다 연방정부 기업상호명 등록시스템인 NUANS에 희망 상호의 사용 가능 여부를 확인 후, 해당 상호 선택이 가능하다는 증명서를 발급받아 정관(Articles of Incorporation) 제출 시 함께 제출해야 한다.
    - 일련번호를 기업명으로 사용하다가 향후 NUANS 시스템을 통해 상호명을 별도 신청해 사업활동을 하는 것은 가능하나, 모든 법적 문서(계약서류, 소득세 신고 서류, 법정제출서류 등)에는 일련번호를 사용해야 한다.
    - 또한 연방법인은 기업활동을 희망하는 주마다 등록 절차를 거쳐야 하며, 온타리오, 앨버타, 노바스코샤, 서스캐처원,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주에서는 Extra-Provincial License를 취득해야 한다.
    - 그 외의 주에서의 법인 등록 절차 등은 산업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정확성을 위해서 각 주 정부에 연락을 취하거나 법인설립 대행기관을 통해 알아보는 것을 권장한다.

  ㅇ 관련 양식 및 웹사이트 안내
    - 2020년 1월 15일 이후, 온라인을 통해 연방 법인등록 신청이 가능하며 온라인 신청 시 C$200이 소요된다. 웹사이트: https://ised-isde.canada.ca/site/corporations-canada/en/register-federal-corporation-province-or-territory
    - Article of Incorporation(정관): https://forms.mgcs.gov.on.ca/en/dataset/5351
    - Initial Registered Office Address and First Board of Directors(법인등록주소 및 최초임원 선정 양식) CBSA Form 2: https://www.ic.gc.ca/eic/site/cd-dgc.nsf/vwapj/FRM-2-e.pdf/$file/FRM-2-e.pdf
    - NUANS 기업 상호명 DB 검색보고서 신청 웹사이트: www.nuans.com
    - 세금 납부용 Business Number 신청양식 RC1 Form: https://www.canada.ca/en/revenue-agency/services/forms-publications/forms/rc1.html 접속 후 PFD 버전 다운로드


2) 주 법인
  ㅇ 기본적으로 주 법인(Provincial Corporation)은 법인을 설립한 주에서만 기업활동이 가능하다.
    - 연방법인과 마찬가지로 주 법인 설립 시 정부 시스템에 의해 일련번호가 자동으로 부여되며 별도 상호를 신청하지 않는 이상, 주어진 번호가 기업명으로(예: 123456 Ontario Inc.) 승인된다.
    - 또한 연방법인 설립과 마찬가지로 아래의 대행기관을 통해 법인 설립을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다.
    - Ecore: https://www.oncorp.com/oncorphome/pages/index.aspx
    - ESC Corporate Services: www.eservicecorp.ca

  ㅇ 특정 상호를 희망하는 경우 정관(Articles of Incorporation) 제출 전에 Business Name Registration 절차를 거쳐 해당 상호 사용허가증을 첨부해 신청하면 된다.
    - 특정 상호를 지정하지 않고 번호기업으로 활동하다가 향후 상호 변경을 신청해 사업활동을 하는 것은 가능하나, 모든 법적 문서(계약서류, 소득세 신고서류, 법정제출 서류 등)에는 일련번호를 사용해야 한다.
    - 주 법인을 세운 주 외의 기타 주에서도 사업활동을 희망하는 경우 사업희망 주 정부로부터 Extra-Provincial License를 취득해야 하며 해당 주에 유사 기업명이 이미 존재하는 경우, 별도의 상호명을 신청해야 한다.
    - 주 정부마다 사업등록 관련 산업에 따른 등록 규정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정확한 확인을 위해서 각 주 정부에 연락을 취하거나 법인설립 대행기관을 통해 알아보는 것을 권장한다.
     * 주정부 비즈니스 등록 웹사이트 : https://www.ic.gc.ca/eic/site/cd-dgc.nsf/eng/cs04578.html

  ㅇ 관련 양식 및 웹사이트 (온타리오 주 기준)
   - Ontario Business Registry: https://www.ontario.ca/page/ontario-business-registry
   - Articles of Incorporation, Form 1: https://www.forms.ssb.gov.on.ca/mbs/ssb/forms/ssbforms.nsf/FormDetail?OpenForm&ACT=RDR&TAB=PROFILE&SRCH=&ENV=WWE&TIT=5351E&NO=5351E
   - Consent to Act as First Director, Form 2: https://www.forms.ssb.gov.on.ca/mbs/ssb/forms/ssbforms.nsf/FormDetail?OpenForm&ACT=RDR&TAB=PROFILE&SRCH=1&ENV=WWE&TIT=5260&NO=5260E
   - NUANS 기업 상호명 DB 검색보고서 신청 웹사이트: www.nuans.com

지사

  ㅇ 지사: 지점, 연락사무소 및 프로젝트 오피스

  ㅇ 캐나다 연방·주 법인으로 설립되지 않은 해외기업이 캐나다 내 사업활동을 희망하는 경우 지사를 설립할 수 있다.
    - 현지사무소는 독립된 법인이 아니라 한국회사에 속하므로 독립적인 법인격을 가지고 있지 않고, 한국 모회사가 모든 법적 책임을 갖고 있다.
    - 만일 모기업과 동일 기업명이 해당 주에 등록돼 있을 경우, Extra-Provincial License 취득이 불가해 해당 이름으로는 지사를 설립할 수 없다.
    - 지사로 사용될 수 있는 사업장 임차 등을 완료한 후에는 사업장이 위치한 해당 주의 Extra-Provincial License 취득 절차를 거쳐야 한다.

  ㅇ 취득 필수 제출서류
    - Extra-Provincial License 신청양식
    - Agent 선정양식
    - 기업명 조회 보고서(해당 주 내 모기업명 비등록 증명)
    - 모기업 소재국 정부에서 발급된 Certificate of Status(기업명, 설립일, 소재국, 조세 완납 여부 등)
    - Cover Letter(담당자, 주소 및 전화번호 명시)

  ㅇ 외국기업의 지점에는 캐나다 소득세법(Income Tax Act)에 따라 지점세(Branch Profit Tax)가 최대 25%까지 부과되나 한국 법인의 경우에는 한국-캐나다 이중과세방지 협약에 의해 5%의 지점세만을 납부하면 된다.
    - 외국기업 지점은 캐나다 정부의 인센티브 혜택을 받지 못하며, 법정 분쟁 시 캐나다 기업으로서 보호를 받지 못한다.

  ㅇ 참고 웹사이트
    - 온타리오 주 주외기업법(Ontario Extra-Provincial Corporations Act): www.e-laws.gov.on.ca/html/statutes/english/elaws_statutes_90e27_e.htm

  ㅇ 관련 양식 다운로드
    - Application for Extra-Provincial License(해외기업 지사설립 허가신청서) EPCA Form 1: https://www.forms.ssb.gov.on.ca/mbs/ssb/forms/ssbforms.nsf/FormDetail?OpenForm&ACT=RDR&TAB=PROFILE&SRCH=&ENV=WWE&TIT=5280&NO=5280E
    - Appointment of Agent for Service(Agent 임명양식) EPCA Form 2: https://www.forms.ssb.gov.on.ca/mbs/ssb/forms/ssbforms.nsf/FormDetail?OpenForm&ACT=RDR&TAB=PROFILE&SRCH=&ENV=WWE&TIT=5281&NO=5281E
    - NUANS 연방정부 상호명 DB 검색보고서 신청 웹사이트: www.nuans.com
    - 세금 납부용 Business Number 신청양식 RC1 Form: https://www.canada.ca/en/revenue-agency/services/forms-publications/forms/rc1.html 접속 후 PFD 버전 다운로드

연락사무소

'지사' 내용과 동일

최종수정 : 2023-12-28 17:36

출처 : KOTRA 해외경제정보드림

지식재산권

  ㅇ 캐나다 지식재산권의 경우 캐나다 지적재산관리청(CIPO, Canadi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에 의해 연방정부 차원에서 관리된다. 캐나다 내에서 지식재산권 보호 영역은 특허법(Patent Act), 상표법(Trademarks Act), 저작권법(Copyright Act), 산업디자인법(Industrial Design Act) 등 크게 4가지로 이뤄져 있다.

  ㅇ 캐나다에서 지식재산권 보호 영역은 법률과 관련 판례를 통해서 정해진다. 캐나다 법원은 지식재산권 법령의 주요규정에 대한 해석례, 즉 판례를 다수 축적해 왔으며, 보통법 국가인 캐나다에서는 법원의 판례 역시 지식재산권의 법원(法源)으로서 중요한 기능을 한다.

  ㅇ 특허법의 경우, 특허를 먼저 출원한(First to file) 발명에 권리를 부여하며 캐나다 내에서 20년간 특허의 효력을 지닌다. 특허의 경우, 참신성, 유용성 창의성 등을 중점으로 심사한다. 캐나다 특허법상 보호대상은 “발명”인데, 우리의 특허법이 발명의 정의를 두면서, 별도의 등록요건을 두는 것에 반하여, 캐나다의 특허법은 보호대상인 발명을 새롭고 유용한 것 또는 개량으로 한정하여 정의하고 있다. 특허 등록을 받기 위해서는 ① 발명에 해당하여야 하며, ② 유용하고 기능적이며, ③ 해당 분야에서 독창적인 것이어야 한다.
-구체화하지 않은 아이디어나 개념, 과학적 원리와 추상적인 정리(theorem), 에너지 중 한 형태, 치료 또는 수술 방법 등은 특허에 등록할 수 없다.

  ㅇ 상표법의 경우, 등록된 전형적 혹은 비전형적 상표와 관련해 독점적인 권한을 가진다. 2019년 6월 17일부터 발효된 상표법 개정안에 따라 상표의 존속기간 만료일이 기존 15년에서 10년으로 단축되었다. 해당 기간 상표 관련 법적 효력이 유효하며 갱신이 가능하므로 영구적인 권리일 수 있다.

  ㅇ 저작권법의 경우, 예술, 문화, 음악 등 작품을 제작한 창작자에게 작품 사용 및 재현과 관련한 독점권을 부여한다. 저작권을 등록하면 지적재산관리청(Canadi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CIPO)에서 인증서를 발행하고 이는 법정에서 증거물로 사용할 수 있다. 저작권법의 보호 범위는 아이디어의 표현으로 아이디어 그 자체를 보호하지는 않는다. 저작권보호 기간은 저작권자 사후 50년까지이다.

  ㅇ 산업디자인법 내에서 산업디자인은 ‘완제품의 형상, 윤곽, 모양, 장식의 특징 또는 이러한 특징의 조합이며, 시각적으로 또는 시각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신청은 지적재산관리청(CIPO)의 e-Filing System 혹은 우편으로 가능하다. 등록 자격을 갖추기 위해서는 디자인이 원본이어야 하고 다른 디자인과 매우 흡사해서는 안 된다. 등록 후 10년 동안 유효하며 이 기간에는 독점적인 권리를 갖게 되는데 이 권리는 등록자가 판매하거나 다른 사용자들이 사용, 판매할 수 있도록 허가를 내릴 수 있다.

  ㅇ 지적재산권 등록에 필요한 서류 준비와 신청에는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소모된다. 특히 등록 과정 중 자료 불충분, 오류 등의 이유로 행정 절차가 지연될 수 있으므로 현지 법률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종수정 : 2023-12-28 17:49

출처 : KOTRA 해외경제정보드림

투자컨설팅

H1Accounting 회계법인

H1Accounting 회계법인
전화번호+1-647-828-8163 주소95 Heritage Estate Rd Vaughan ON L6A 3V4
홈페이지http://www.deloitte.com/ca 이메일www.H1Accounting.com
한국인 변호사 유무, Simon(사이먼) Hong 회계사
비고온타리오 주 노스욕(North York) 지역에 위치한 회계법인 사무소로 주로 개인과 기업상대로 세금, 부동산, 비즈니스 컨설팅 등의 종합 회계 서비스를 제공

Sang H. Yoon CPA 회계법인

Sang H. Yoon CPA 회계법인
전화번호+1-416-901-8297 주소5799 Yonge Street Suite 603 , North York, Ontario M2M 3V3
홈페이지http://planmytax.ca/ 이메일info@planmytax.ca
한국인 변호사 유무, 윤상혁 회계사
비고온타리오 주 노스욕(North York) 지역에 위치한 회계법인 사무소로 주로 개인과 기업상대로 세금, 부동산, 비즈니스 컨설팅 등의 종합 회계 서비스를 제공

Borden Ladner Gervais 법무법인

Borden Ladner Gervais 법무법인
전화번호+1-416-367-6000 주소22 Adelaide Street West, Suite 3400, Toronto, Ontario M5H 4E3
홈페이지http://www.blg.com 이메일aharrison@blg.com
한국인 변호사 유무없음
비고보유 변호사 수 기준 캐나다 최대 로펌 중 하나로 토론토, 오타와, 밴쿠버, 캘거리, 몬트리올 등 캐나다 주요 지역에 지점 운영 중 (토론토 지역 담당: Andrew Harrison)

DMCL 회계법인

DMCL 회계법인
전화번호+1-604-687-4747 주소1500 - 1140 West Pender St. Vancouver, BC V6E 4G1
홈페이지https://www.dmcl.ca/ 이메일info@dmcl.ca
한국인 변호사 유무없음
비고종합 회계 컨설팅 법인으로 BC주 주요 도시에 지점 운영(밴쿠버, 써리, 트라이씨티, 빅토리아 등)

출처 : KOTRA 해외경제정보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