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주요국가 시장 정보

Egypt Flag

이집트

  • 인구103,973,522 명 [자료원 : 이집트 통계청, 2022년 9월 기준]
  • 면적1,001,450㎢ [자료원 : CIA (2022년 기준)]
  • 수도카이로(Cairo)
  • 언어아랍어
  • 화폐이집션 파운드(£E)

시장 및 소비자 특성

소비인구

이집트 통계청에 따르면, 인구 1억 397만 명(2022년 9월 기준) 중 약 10%(720만~1,000만 명)는 연소득 1만 달러 이상의 탄탄한 소득 기반을 보유하고 있고, 인구의 53%가 만 30세 미만(2022년 추정치)으로 잠재력 있는 내수시장이다.

소비성향

이집트 인구는 2022년 기준 이집트 통계청 자료로는 약 1억 333만명으로 중동 아프리카 최대 인구 보유국이며 경제위기 이전 연평균 7%대 이상의 꾸준한 경제성장을 보였던 대표적인 Emerging Market으로 Post BRICs로 평가받았다. 코로나19 팬데믹 시절에도 플러스경제성장률을 기록한 바 있다. 또한, 이집트는 30세 미만 인구 비중이 전체의 약 53% 정도이고 주 소비 가능 세대인 30~59세 인구 비중이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어 향후 구매력을 보유한 거대 내수시장으로서의 성장 가능성이 매우 큰 시장이라고 할 수 있다.

국민의 절반가량이 저소득층으로 전체 구매력은 약한 편이나 상류층, 중산층의 비율은 각각 10%, 20% 정도로 이집트 내수시장 공략을 위해서는 인구 대다수를 차지하는 저소득층(극단적인 가격시장) 및 막대한 부를 가진 상류층(최고급 제품 소비시장)을 대상으로 한 이원화된 진출 전략이 필요하다.

이집트의 극단적인 가격경쟁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서는 현지 바이어나 소비자의 눈높이에 맞춘 제품개발이 필요하며 원가절감을 통한 가격경쟁력 제고가 급선무다. 완제품 형태의 수출보다는 부품이나 반제품으로 수출한 후 현지에서 조립 생산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다. 특히 이집트는 이미 EU, 터키, 아랍국가들과 FTA를 체결하고 있어 이집트를 발판으로 한 제3국시장에 대한 우회진출 전략이 필요하다. 또한 이집트는 이메일이나 서신 교환을 통한 간접 마케팅보다는 면대면 접촉에 의한 직접 마케팅이 효과적이다.

기계류의 경우, 저렴한 노동력이 풍부하지만 기계 조작 기술이 떨어지므로 전자동 형태보다는 조작에 꼭 필요한 사양만을 갖추고 나머지는 수동으로 조작하도록 해 가격을 최대한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이집트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사전에 필수사양을 확인하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고소득층 시장으로의 진입 시 이집트 시장은 브랜드 이미지가 상품 판매에 있어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먼저 가격 경쟁력을 가진 후에 브랜드 인지도를 쌓아가는 방법이 적절한 마케팅 방안의 하나로 볼 수 있다.

한국 상품 이미지

이집트 승용차 시장의 한국산 자동차가 점유율은 높은 편이며, 삼성전자, LG전자 등이 현지투자를 통한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 두각을 나타내고 있어 한국산에 대한 현지 소비자들이나 바이어들의 인지도는 좋은 편이다. KOTRA 카이로 무역관이 실시한 한국상품 인지도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한국은 일본과 유럽국가와 비슷한 위치에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한국산 물건을 구입해 사용해 본 소비자의 경우 더욱 좋은 평가를 내리고 있지만, 현지 바이어들의 경우 의도적으로 가격 인하를 위해 중국산, 대만산과 비교하는 경우가 많다.

자동차 시장과 전자제품 이외의 한국 제품에 대해서는 진출역사가 짧고 사용해본 경험자가 적어 인지도가 매우 낮은 편이어서 성과가 높지 않은 실정이나, 우리 기업의 의지에 따라서는 진출 여지는 크다고 할 수 있다. 일례로 식기류 제조업체인 N사는 이집트 시장에 진출한 지 3년밖에 안 됐으나, 현재는 인기 혼수로 팔릴 정도로 유명세를 타고 있다.

한편, 현대·기아차, 삼성의 휴대폰, LG의 TV 등 한국산 제품이 이집트 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해 나가고 있는 등 이집트 소비자들 사이에서 한국산 제품은 품질이 좋고 높은 기술력으로 평가되고 있기에 한국산 제품 이미지는 기본적으로 상향 포지셔닝 되어있다고 볼 수 있다. 이집트 소비자 및 바이어 인터뷰를 통해 식품, 의류, 화장품, 의약품 등 한국산 제품에 대한 이미지를 문의한 결과, 사용 경험이 별로 없고 브랜드 인지도가 없어 정확한 답변을 얻을 수는 없었지만, 한국산 제품은 품질이 좋을 것이라는 의견은 대다수 일치하고 있었다. 이러한 점을 활용해 마케팅 전략을 세운다면 타국 제품과의 경쟁에서 보다 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최종수정 : 2023-02-06 16:09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 국가·지역정보

상거래 유의사항

상거래 시 유의사항

유력 바이어는 신용장개설 등 대금결제 조건에 유연한 입장을 보이며 자기 품목의 세부 사항에 상당한 식견을 가지고 있고 경쟁국의 가격, 품질, 시장 점유율 등 시장에 대한 전반적 지식이 깊다. 반면에 불량 바이어는 독점 에이전트 및 무료 샘플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고 품목에 대한 지식, 상관습을 전혀 모르는 경향이 있다.

대부분의 수입상은 수집 가능한 모든 가격 및 품질조건을 비교한 후에야 주문하며, 계약체결 물량보다 적은 양을 수입함으로써 가격할인 효과를 노리는 경우가 빈번하므로 주의를 필요로 한다. 또한, 계약 체결 시 신용장에 포함해야 할 내용을 상세히 삽입하는 것이 좋다.

 무역대금 결제방식은 2022년 이집트 중앙은행의 조치에 따라 5,000 달러 이상의 경우 신용장 개설을 통한 거래가 의무화되었다.

이집트인과의 비즈니스 계약 종료 시점에서 신중히 해야 할 사항이 있다. 계약서상의 계약 기간이 종료되더라도 이집트에서는 이를 에이전트 관계가 끝났다고 간주하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따라서 에이전트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는 법적인 계약 관계만을 내세우기보다는 미리 공지하여 오해를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에이전트 종결 문제는 이집트 진출 한국기업의 가장 큰 애로사항 중 하나로 계약 시 구두 합의나 문서 합의가 있는데 일부 한국기업의 경우 법적인 계약관계 종결에 대한 부담감으로 구두로 합의하는 방법을 택하고 있다. 매년 실시되는 라마단 기간에 바이어가 한 약속은 반드시 지켜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가지고 있으므로 라마단 기간에 거래를 약속하는 것도 추천할 만하다.

 이집트인들은 메일 수신 확인을 잘 하지 않는 경우가 다반사이므로 현지 에이전트 또는 바이어와 이메일로 업무 교신이 이루어질 경우, 담당자 휴대폰을 통해 이메일 수신 여부를 체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집트의 통신 사정이 좋지 않아 휴대폰 통화도 잘 안 되는 경우가 흔하니, 너무 조급하게 마음먹지 않고 느긋한 마음으로 상담에 임하는 것이 좋다.

최종수정 : 2022-05-15 22:35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 국가·지역정보

상담 유의사항

상담 및 문화적 유의사항

상담은 단도직입적으로 본론으로 들어가지 말고 현지인들이 좋아하는 화제나 운동, 관심사에 대해 환담을 하여 분위기를 조성한 후에 본격적인 상담을 하면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상담 시 상대방이 하는 말뜻은 정확하게 이해하도록 해야 하며 명확하지 않은 경우 분명하게 확인한 후에 넘어가야 한다. 또한, 이집트인들은 과장된 표현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예스’라는 대답은 ‘가능하다면’ 정도의 의미이므로 비즈니스가 성사됐다고 단정 짓지 않는 것이 좋다. 이집트 바이어와의 상담 및 현지 투자 진출 고려 시 사소한 내용일지라도 모든 의결사항은 항상 문서로 만들어 법적 근거를 마련해두는 것이 중요하다. 이집트인의 특성상 구두로 약속한 것이 잘 지켜지지 않아 피해를 입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이다.

  ㅇ 이집트인들은 성격 자체가 낙천적이기 때문에 거절하는 표현으로 No, I Can't라는 직접적인 표현 대신에 부크라(내일), 또는 인샬라(신이 원한다면) 식의 완곡한 표현을 사용해 거절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앞뒤 상황을 정확하게 이해해 바이어가 원하는 의도가 무엇인지를 파약해야 한다. 또한, 대화 시 종교문제나 정치문제, 혹은 여성에 대한 화제는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

  ㅇ 상대방을 부를 때는 존칭어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단순히 미스터라고 불러주는 것보다는 닥터, 엔지니어의 호칭을 붙이고 전직 관리 출신이라면 퇴직 당시 직명을 불러주면 좋아한다. 경제적 이해관계에 매우 민감하지만, 인간관계나 정서적인 면도 비즈니스의 진행에 많은 영향을 주므로 가급적 상대방의 호감을 얻을 수 있는 에티켓으로 대하고 즐거운 분위기를 연출하는 것이 좋다.

시간에 대한 강박관념보다는 느긋함을 미덕으로 여기는 경우가 있더라도 당황하지 않도록 한다. 간혹 30분에서 1시간 정도 늦으며 약속에 오지 않는 경우도 발생한다. 하지만 약속시각을 지키는 것이 좋으며 설령 상대방이 약속시각에 늦더라도 이를 직접 표현하기보다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즈니스를 목적으로 미팅 약속을 잡을 경우 이메일보다는 전화나 팩스를 통해 지속적으로 연락해 약속을 지키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인구의 90% 이상이 이슬람 신자이므로 돼지고기, 술 그리고 이슬람식으로 도살되지 않은 고기는 먹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일부 이집트인은 술과 고기를 판매하는 한국 식당에서 식사하는 것 자체를 거부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술과 돼지고기를 판매하는 식당보다는 양고기 전문점, 해산물 식당이나 호텔 내에 있는 고급 음식점을 가는 것이 좋다. 양고기 전문점이나 고급 음식점으로 인식되고 있는 생선요리 전문점이 식사하기 무난한 장소로 볼 수 있다. 이집트인은 한식을 좋아하는 편이 아니며, 일부 독실한 무슬림의 경우 술을 판매하는 음식점에 가지 않는 경향이 있으니 한식보다는 이슬람식 고급 음식점이 무난하다. 아울러 여성과 단둘이 식사를 하는 것은 지양할 필요가 있다. 식사할 때는 왼손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기본이며, 대화도 처음에는 가벼운 주제로 시작해 사업과 관련된 중요한 사안은 시간을 두고 천천히 얘기를 꺼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집트인은 선물을 매우 좋아하기 때문에 선물을 통해 상대방의 호감을 사고 상담에 임하면 그만큼 비즈니스가 성사될 확률이 높아진다. 그러나 여성에게만 따로 선물하는 것은 오해의 소지가 있으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선물로는 보석류, 시계 등 화려한 것을 좋아하는 경향이 있으나 고가 제품의 경우 일부에서는 거부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지양할 필요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한국 전통문양이 새겨진 부채, 열쇠고리, 핸드폰 액세서리 및 홍삼제품(홍삼차, 홍삼캔디), 한국화장품 등도 좋은 선물 품목 중 하나이다.

처음 만날 경우 일반적으로 악수가 무난하다. 또한, 악수 후 오른손을 가슴에 대는 것이 존경의 표현이자 진심으로 반갑다는 표현이 될 수 있다. 신뢰관계가 형성되고 친밀감을 느끼는 경우 볼 키스(서로 양쪽 볼에 살짝 터치하는 정도의 키스)를 하며, 여성들 사이에서 많이 사용되는 인사법이다. 알라 외에 머리를 숙이지 않는 것이 종교적 관례이기 때문에 한국식의 머리를 숙이는 인사는 가급적 지양할 필요가 있다. 또한 처음 인사 시 ‘앗쌀라무 알라이쿰(안녕하세요)’이라는 아랍어 인사를 하게 되면 상대방에게 호감을 얻을 수 있다.

이집트는 사우디, UAE, 쿠웨이트 등 걸프 지역의 국가와는 달리 전통적인 이슬람 복장을 입는 경우가 거의 없어 정장차림이 적당하다. 이집트 비즈니스맨은 형식에 얽매이는 복장보다는 노타이 차림의 복장을 선호하지만, 고위직의 경우 넥타이를 매는 경향이 있어 상황에 맞게 넥타이 착용이 필요할 경우가 있음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바이어가 집에 초대하는 경우 남녀를 불문하고 노출이 심한 복장은 피해야 한다.

최종수정 : 2022-05-15 22:35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 국가·지역정보

비자

종류 및 발급절차

이집트의 비자는 크게 관광비자(도착비자, 사전비자)와 체류비자, 고용비자 등이 있다. 여권의 유효기간이 6개월 이상 남아있으면, 이집트 입국 시 공항에서 다음과 같은 간단한 수속절차를 밟아 비자를 발급받을 수 있다. 관광비자의 경우 출입국관리소(Passport Control)로 가기 전에 그 옆에 있는 은행창구에서 비자용 인지(25달러)를 구입할 수 있으며 인지를 여권에 붙여서 입국 심사할 때 제출하면 된다. 관광비자를 연장하기 위해서는 카이로 압바시야 구 폴리스아카데미 건물(구글맵 검색창에 378P+J9 검색 시 확인 가능)에 위치한 국적·여권·비자 업무 총국(비자청) 2층에서 신청가능하다. 여권, 여권사본 1장, 집 계약서 또는 거주 증명서(주이집트대사관에서 발급 가능), 신청서(현장에서 작성), 사진 1매, 수수료 1,655 이집트 파운드가 필요하다. 비자청 2층 관광비자 창구에서 번호표 발급하고 비자연장 신청서 수령 후 작성 및 제출한다. 이후, 수수료 수납 창구(Banque Misr)로 이동하여 인지 및 비자카드 발급 비용 지불하고 다시 이전 창구로 돌아와 인지 및 비자 카드 비용 영수증을 제출한 이후 3층 발급 창구에서 여권 및 비자카드 발급 수령한다.

이집트와 우리나라 간에는 외교관에 대한 사증 면제 협정이 체결돼 외교관/관용여권에 대해서는 90일간 무비자 체류가 가능했으나, 일반인에 대해서는 관련 규정이 없이 양국 간의 암묵적인 동의하에 입국비자가 면제됐다. 그러나 2002년 10월 우리 정부가 이집트인에 대한 입국비자 취득을 의무화하자 이집트 정부 역시 우리 국민에 대해 입국비자를 요구하게 돼 상당한 파장이었었던 적이 있다. 다행히 2002년 12월 양국 정부가 종전의 방식으로 회귀할 것을 타결함으로써 현재 이집트 입국 시 반드시 사전비자 취득은 필요 없다. 따라서 이집트를 방문하려는 사람은 주한 이집트 대사관으로부터 사전에 입국비자를 신청하든지 또는 현지에 도착하여 입국 공항에서 25달러를 납부하고 도착 비자를 받든지 입국자가 임의로 선택하면 된다. 단, 도착비자는 여권의 유효기간이 6개월 이상 남아있어야 한다.

사전 비자발급 신청을 하는 방법도 있는데 비자신청서는 앞면, 뒷면 모두 영문으로 작성하고 신청인란에 서명한다. 여권, 여권 사본, 사진 두 장을 비자수수료와 함께 주한 이집트 대사관에 제출하고 복수 비자 신청은 이집트를 여러 번 출입국 해야 하는 목적 및 증빙자료를 함께 주한 이집트 대사관에 제출해야 한다. 비즈니스 여행은 이 외에 영문출장증명서, 사업등록증 사본을 첨부하고, 관광비자는 반드시 여행 일정프로그램(국문 또는 영문)을 제출해야 한다.

이집트는 최근 도착비자 대상국가(우리나라 포함 46개국) 국민을 대상으로 이집트 입국 절차를 간소화하기 위해 인터넷 전자비자 포털(www.visa2egypt.gov.eg)에서 사전에 비자를 신청하여 발급받을 수 있는 전자비자 시스템을 도입했다. 동 제도는 이미 시행 중이며, 전자비자 시스템 안정화와 주재국 방문자들이 전자비자 신청에 익숙해질 때까지는 현재의 도착비자 제도와 병행할 예정이다. 전자비자 발급 제도로 일원화되는 시기는 현재까지 미정으로 향후 전자비자 시스템의 정착 경과에 따라 결정될 예정이다. 전자비자 발급 후에 주재국 입국 시 출력한 전자비자를 여권과 함께 공항(항만)에서 제시하면 됨. 출국 예정 최소 7일 전에 신청하여야 한다.

에티오피아, 에리트리아, 세네갈, 수단, 소말리아, 콩고, 니제르, 앙골라, 우간다, 베닌, 부르키나파소, 부룬디, 차드, 토고, 탄자니아, 감비아, 남수단,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콩고 공화국, 시에라리온, 르완다, 잠비아, 가나, 기니, 기니비소, 적도기니, 코트디부아르, 케냐, 라이베리아, 말리, 모리타니아, 나이지리아, 카메론, 가봉, 브라질, 아르헨티나, 에콰도르, 파라과이, 파나마, 페루, 트리니다드 토바고, 기아나, 프랑스령 기아나, 수리나메, 베네수엘라, 콜롬비아에서 출발하는 내외국민은 황열병(Yellow Fever) 예방접종 증명서를 소지해야 한다.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말레이시아, 마다가스카르, 예멘에서 출발하는 내외국민은 입국 전 4일~12개월 내 접종한 국제 Polio IPV 백신 접종 증명서를 소지해야 한다.
 앙골라, 베닌, 부르키나 파소, 카메룬, 중앙아프리카, 차드, 콩고 공화국, 콩고 민주공화국, 코트디부아르, 에티오피아, 가나, 기니, 이란, 라이베리아, 말리, 니제르, 나이지리아, 시에라리온, 소말리아, 남수단, 수단, 타지키스탄, 토고에서 출발하는 내외국민은 입국 전 4개월~12개월 내 접종한 Polio 백신 접종 기록을 소지해야 한다.

코로나19 출입국 규정은 폐지되었다.

최종수정 : 2023-02-06 10:31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 국가·지역정보

통관제도

통관 유형별 절차

ㅇ (통관절차 흐름) 필요서류 준비 → 세관 서류 제출 → 관세 납부 → 통관서류 인수 → 통관서류 제출 및 물품 인수

ㅇ 일반적인 통관에 필요한 서류는 크게 선적 관련 서류, 수입상품 관련 서류, 수입허가와 관련된 서류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선적 관련 서류는 선하증권(Bill of loading: B/L)과 운송허가증이다. 수입상품과 관련된 서류는 주한 이집트 대사관이나 해외주재 이집트 대사관의 영사 확인을 거친 원산지 증명서(Certificate of Origin) 3부, 상업 송장(Commercial Invoice) 원본 3부, 포장 명세서(Packing List) 1부이며 수입품이 식품이거나 화학물질, 의약품인 경우는 수출국의 관련 기관이 발급한 성분 검사증을 제출해야 한다. 수입허가와 관련된 서류는 수입허가서, 수입자 사업등록증, Tax ID, Custom ID, Sales Tax Card, L/C 사본 등이다.

ㅇ 통관을 하기 위해서는 수입 에이전트가 선적서류, 물품과 관련된 서류, 수입허가증과 같은 수입 관련 서류를 준비해 카이로 주재 관세청이나 각 항구 및 공항 관세청에 제출하여, 관세액을 확정받은 후 이를 내야 한다. 관세를 납부하면 세관에서 통관에 필요한 서류를 발급해주며 이를 각 항구나 공항에 있는 통관관청에 제시하고 물품을 인수하면 된다.

ㅇ 전시회, 수리 등의 목적으로 일시적으로 수입되었다가 다시 수출되는 경우, 통관관청에 관세 예치금을 납부한 이후, 재수출할 때에 다시 반환받는 방식으로 통관이 진행된다.

통관시 유의사항

신규통관시스템(ACI, Advanced Cargo Information)이 구축되어 수출품의 수출지항 출발기준으로 2021년10월 1일부터 '정식운영' 되고 있다. ACI의 골자는 수출자와 수입자가 각각의 디지털플랫폼에 계정을 생성해서 초기 통관 ID(ACID)를 통해 서로를 수출자-수입자 관계로 연동시켜 수출서류를 디지털플랫폼 상에 업로드해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ACID가 등록된 수출서류는 이후 출항일자를 제외하고 내용 변경이 불가하며, BL과 통관 시 수량이 맞지 않을 경우 벌칙금이 부과된다. 수출자와 수입자가 각각의 사이트에 계정을 만들어 수출관련 서류들을 디지털상 상호 확인 후 운송을 진행하여 이후 이집트 세관에서 통관을 진행한다. 2022년 10월부터는 선박운송뿐 아니라 에어카고도 ACI를 통해 통관을 진행해야 한다.
  - 수출자 계정 생성 사이트 : https://cargox.digital/create-an-account
  - 수입자 계정 생성 사이트 : https://www.nafeza.gov.eg/en/members/register

이집트 법규에 따르면 수입업자는 이집트인만이 될 수 있으나 유통계열 기업일 경우에 한해 외국인 소유 기업도 특정 조건 아래 수입할 수 있다. 이집트의 통관은 시간이 오래 걸리고 비싼 것으로 악명이 높다. 통관은 통상 수입 에이전트가 대행하므로 수출기업은 수입 에이전트가 통관에 필요한 서류를 요청하는 경우 이에 응하기만 하면 된다.

물품 선적 후, 한국의 부산이나 인천항에서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 항까지 항해 일수는 35~40일 정도이며, 통관 후 물품인수까지 20일 정도가 추가 소요된다. 수입 통관 시에는 먼저 CUSTOM HOUSE 출입 승인을 획득하여 컨테이너 개봉 및 검사를 하고 관세 및 제세액이 확정된 후 관세를 납부하고 물품을 인수하면 된다.

필수 선적서류는 상업송장(Commercial Invoice, C/I) 4부, 선하증권(Bill of Loading, B/L), 원산지증명서(Certificate of Origin. COO), 포장 명세서(Packing List, P/L)이며, 수입업자는 L/C 개설을 위해 통상 자금원과 견적서(Performa Invoice)를 거래은행에 제출해야 한다. 한편, 수입업자는 이집트 세관 수입통관 필수서류인 Form4를 거래은행으로부터 발급받은 후 C/I 등 선적서류와 함께 세관에 제출한다. 세관의 관세부과는 송장에 기재된 가격에 의해 부과되기보다는 자의적인 기준에 의한 경우가 많아, 다른 국가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이집트 세관은 까다롭고 복잡한 통관절차, 관리들의 무성의한 일 처리와 부패, 형식적 일 처리, 자의적 세금 부과, 관세 이의신청제도의 미운영, 관세환급 제도 미운영 등으로 악명이 높다. 따라서 복잡한 분쟁에 휘말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거나 통관기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통관대행사나 에이전트를 사전에 심사숙고하여 선정해야 한다. 세관 당국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통관업자가 유리하며 최악의 상황을 감안해 배송 기간을 고려하고 계약을 체결해야 한다.

예를 들면, 이집트에서 호텔공사를 진행한 H 건설은 건축자재의 통관지연으로 막대한 재산상의 손실을 보았으며 영국계 슈퍼마켓 체인점인 Sainsbury는 빈번한 통관절차 지연으로 판매할 물건이 부족해 폐업하는 사태까지 생겼던 전례가 있다. 이밖에 한국 수출업자가 보낸 라면 등 식품류도 통관절차의 지연으로 유통기한이 지난 후에서야 통관시키는 사례가 허다하므로 통관 지연에 따른 최악의 상황을 언제나 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화장품, 의약품에 대한 식약청의 검사 후 승인을 받아야 수입이 허가되지만 승인 기간이 길고 반복되며 승인비용이 비싸 중소기업이 승인신청 후 완료 이전에 포기하는 사례가 많다.

수출 시 제품에 따라 일반 수입자가 수입할 수 있는 품목이 있고, 생산자(공장)만 수입할 수 있는 품목이 있으며, 수입자에 따라 관세가 다르므로 꼭 확인해야 한다.

2020년 11월 신규 관세법 발표에 따라 통관 시 신고한 서류상의 내용과 실제 운송품간의 내용 불일치가 있는 경우 부과되는 벌금이 대폭 강화되었으므로 유의하여야 한다.

2023년 2월 부로 에어카고도 ACI가 적용될 전망이다.

최종수정 : 2023-02-06 15:52

출처 : KOTRA 해외경제정보드림

관세제도

관세제도 개요

이집트는 WTO 규정을 준수하기 위해 그동안 지속적인 관세 인하를 단행해 왔으나 2011년 혁명 이후 외환부족에 따른 수입규제 목적으로 관세를 인상하기 시작해 2013년에는 선글라스, 시계 등 사치품목 100여 개에 대해 5-40%를 인상했고, 2016년 1월에도 소비재를 중심으로 관세를 종전 10~30%에서 20~40%로 일괄 인상했다.

이후 2016년 12월 1일부로 가구, 비누, 식기류, 세제 등 자국 내 생산이 가능한 350여 개 품목에 대해 관세를 인상함으로써 종전 이들의 평균관세가 31%이었던 것이 53%로 증가하게 됐다.

2018년 9월 16일부로 전체 관세부과 항목 중 약 40%인 5,791개 항목에 대해 관세율을 조정하였다. 원자재, 자본재 및 식품, 약품 등 기초소비재는 조정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관광 목적의 기계, 장비류는 20%, 수리 목적으로 수출 후 재수입하는 제품 : 제품 가치의 10% 관세 부과하고 있다. 분유 생산을 위한 원료는 2%, AOI(Arab Organization for Industrialization,이집트 주도로 만들어진 범아랍 방산물자 생산 업체 )로부터 수입하는 철도 엔진 부품은 5%, 에어컨 및 냉장고는 60%, 과일별로 10%에서 60%로 차등 부과된다. 식탁용 식기류, 젓가락은 관세 40%가 부과되며 전기자동차는 관세 면제이며 천연가스 자동차 (1,600cc 이하)의 수입관세를 26%로 인하했다.

한편, 실제 관세율 측정 시 통관이 자체판단하여 상품 HS코드를 지정하는 관습이 있다. 이에 최초 신고보다 비용이 달라지는 경우가 있는 편이다.

관세율 알아보는 법

재무부 산하 이집트 관세청 홈페이지(http://www.customs.gov.eg)에서 통합 관세율, 법령 등 관세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지만, 아랍어로만 소개되어 있고 업데이트가 늦다.
관세청에 직접 연락해 알아보거나, KOTRA 카이로 무역관에 문의하여 확인하는 것이 빠르다.

(이집트 관세청)
 ㅇ 홈페이지 : http://www.customs.gov.eg
 ㅇ 전화 : +20-2-2342-2247
 ㅇ 이메일 : info@customs.gov.eg
 ㅇ 주소 : Ministry of Finance Towers, Tower 3, Ramses Street, Cairo, Egypt

(KOTRA 카이로 무역관)
 ㅇ 전화 : +20-2-2754-5319
 ㅇ 이메일 : ktccairo@kotra.or.kr

최종수정 : 2023-02-06 15:46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 국가·지역정보

투자진출형태

법인

투자진출에 적용되는 관련법에는 (LAW No. 8/1997)과 기업법(Law No. 159/1981)의 두 가지 방법이 있으나 보통 외국인 투자자는 인센티브가 많은 투자법에 의해 설립한다. 투자청(GAFI)에서는 22개 관련 부처 승인을 대신해 승인 업무를 실시하고 있으나 이집트의 까다로운 행정절차상 변호사나 회계사 선임은 필수 사항이다. 기본적으로 회사정관의 공증 및 본국 이집트 대사관 영사확인→신청서 및 필요서류의 상업등기소 제출→회사 설립→최소 납입자본금 은행예치→세무서 등록→영업활동 개시 의 순서를 따르며 각 절차 별 유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ㅇ 법인설립(주식회사 또는 유한회사) 절차
     ① 투자청에 투자 신청서(Notification Form) 제출한다.
       - 투자 신청서는 2장으로 돼 있으며 투자목적, 위치, 자본, 투자비용, 금융조달, 고용, 임금 등 명기한다.
     ② 투자법에 명기된 16개 분야에 해당되면 투자청 승인이 이루어 지며 하자가 없는 한 승인에 15일 소요된다.
       - 이스라엘과 국경을 접하고 있는 시나이반도 내 투자, 군수분야 투자, 담배분야 투자, 에너지집약 프로젝트 투자, 알루미늄 원료 투자, 메탈합금 프로젝트 투자는 투자청 승인 신청 전에 해당 부처의 승인을 미리 받아야 한다.
     ③ 주식회사, 유한회사 중 설립회사 유형을 선택한다.
     ④ 일반 회사 설립 절차 진행한다.
       - 회사정관의 공증 및 본국 이집트 대사관 영사확인이 필요하다.
       - 회사설립 신청한다,
       - 설립 희망자가 관계당국에 자본금 납입증명서(10%선납)를 제출하면 투자법상 하자가 없는 경우 허가된다.
       - 신청서 및 필요서류 상업 등기소 제출 및 등기한다.
       - 최소납입 자본금 은행 예치한다.
       - 세무서에 등록한다.

  ㅇ 투자 서류접수 및 승인기관 : 투자청(GAFI: General Authority for Investment & Free Zones)
    - 주소: Salah Salem Road, Fairgrounds, Nasr City, Cairo Egypt - Postal Code 11562
    - 전화: +20 (2) 2405 5452
    - 팩스: +20 (2) 2405 5425
    - E-mail : investorcare@gafinet.org
    - 홈페이지: www.gafi.gov.eg
    - 담당: Mr. Alaa Omar
    - 관련부서/직위: Head of Investment in Governorates Department
    - 참고: 외국인 투자승인 관련 모든 업무는 투자법상 투자청에서 일괄 담당한다.

  ㅇ 필요 서류
    - 구비 서류: 기업법상 설립 및 정관규정(Incorporation and Statues)에 의거해야 하며 표준 정관은 총리령 231/1995에 따른다.
    - 주요 구비 서류는 다음과 같다.
     ① 투자 신청서(Notification Form)
     ② 회사 설립 신청서(Company Registry Application)
     ③ 프로젝트용 토지점유 계약서(Possession contract of the project land)
     ④ 자본금 10% 은행예치 납입증명서
     ⑤ 대리인 위임장
     ⑥ 회사의 명칭이 타 기업과 중복되지 않는다는 증명서
     ⑦ 여권 또는 신분증사본
     ⑧ 대리인(변호사) 자격증

지사

지사설립을 위한 절차는 다음과 같다.

   ① 지사를 설치하기 위해 투자청의 승인을 얻어야 하며 상업등기소에 반드시 등록해야 한다.
   ② 지사 및 연락사무소 설립 신청서 및 관련서류 준비한다.
   ③ 변호사 선임한다.
   ④ 관련서류 및 신청금을 이집트 경제·국제협력부 심의위원회(COMPANIES AUTHORITIES)에 제출한다.
   ⑤ 심의위원회 심의를 받는다
   ⑥ 허가 승인이 완료된다.

필요서류는 다음과 같고 원본과 사본을 제출해야 하며. ②~⑥의 서류는 주한 이집트대사관의 영사 확인을 받아야 한다.
   ① 지사설립신청서
   ② 본사정관규정
   ③ 동정관 규정을 요약한 아랍어번역본
   ④ 이사회가 지사설치를 의결한 재결서(裁決書, RESOLUTION) 및 해당 재결서의 아랍어 번역서
   ⑤ 회사 이사회가 지사장 및 근무기간, 권한을 의결한 재결서
   ⑥ 이집트 내에 기존의 지사를 설치한 사실이 없다는 서약서
   ⑦ 관련부처의 지사 설립 승인서
   ⑧ 이집트 내 거래 승인 은행으로부터 해당지사가 은행에 외국으로부터 송금되는 외환계좌를 운영하고 있다는 증명서(C/R)
   ⑨ 사무소 임차계약서

지사는 이집트 내국법인으로 간주되므로 이집트 법률을 준수해야 하며, 이집트 회계사가 감리한 재무제표를 매년 감독기관에 제출해야 한다. 또, 지사는 외국인의 고용인수가 총 고용인원의 10%를 넘지 않아야 하며 총 지불하는 급여의 20% 이상을 외국인 고용자에게 지불해서는 안 된다. 순이익의 10% 이상을 고용자에게 배분해야 하며, 이집트 내 영업이익의 20%를 법인세로 납부해야 한다.

연락사무소

이집트에 연락사무소를 설립하고자 하는 외국기업은 신청서를 투자청산하국(Companies Department)에 제출해야 한다. 등록비용은 1,000이집트 파운드를 보증 수표로 납부해야 하고, 소요 기간은 6~8주 정도이며, 회계사에 위임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통상 연락사무소 설립을 위한 회계사 비용은 82,000~98,000이집트 파운드 가량이 소요되고 있다.

  ㅇ 이집트 기업 심의국(Companies Department)
    - 주소: El Abbasya Square, El Tatbekeyeen Tower, 21 Floor, Abbasya, Cairo, Egypt
    - 전화번호: +20-2-2674-9237/36/35/34
    - 팩스번호: +20-2-2674-9246
    - 담당자: Mr. Fathi El Zahaar

  ㅇ 연락사무소 제출서류
    ① 주한 이집트 대사관 영사확인을 받은 회사 정관(Companies Article and Statutes)
    ② 회사 정관을 요약한 내용의 아랍어 번역서
    ③ 회사 이사회가 연락사무소 설치를 의결한 재결서(Resolution) 및 아랍어 번역서(해당 재결서에는 연락사무소 설치 목적, 영리행위를 하지 않겠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어야 하며 주한 이집트 대사관의 영사확인을 받아야 함)
    ④ 회사 이사회가 연락사무소장, 근무기간, 권한을 의결한 재결서(주한 이집트 대사관 영사 확인을 받아야 함)
    ⑤ 이집트 내 연락사무소 설립관련 필요절차를 이집트 변호사 사무실이 대행한다는 위임장(주한 이집트 대사관 영사 확인 필요)
    ⑥ 연락사무소장이 연락사무소의 변동사항이 있을 시 이를 심의국에 신고하겠다는 서약서(Declaration)
    ⑦ 연락사무소장이 이집트 회사법(Companies Law) 89조, 177조, 178조, 179조, 180조 를 위반한 적이 없다는 서약서
    ⑧ 이집트 내 거래승인 은행으로부터 연락사무소가 은행에 외국으로부터 송금되는 외환 구좌를 운영하고 있다는 증명서(Certificate)
    ⑨ 연락사무소 사무실 임대 계약서 사본
    ⑩ 연락사무소 책임자 관련 제출서류
     - 성명 및 국적
     - 출생지, 생년월일, 종교
     - 여권번호, 발급일, 발급지
     - 직업
     - 이집트 내 거주지 주소
     - 이집트 방문경험이 있다면 방문일자, 목적
     - 여권 사본

최종수정 : 2022-05-16 08:07

출처 : KOTRA 해외경제정보드림

지식재산권

이집트의 지식재산 제도의 근원은 1951년 법령에 의해 제정된 법 제132/1949호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후 새로운 법에 해당하는 제82/2002호에서 실용신안, 집적회로의 배치설계 및 미공개정보까지 포함하여 이전의 법과는 달라진 부분이 많았으며 일례로 15년이었던(경우에 따라 5년을 연장 가능 했었던) 특허 존속기간은 현재의 법률에서는 20년으로 확장되었다.

특허권은 신규성, 진보성,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추고, 불특허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발명에 대해 인정되며 보호기간은 출원일로부터 20년이다. 실용신안의 보호기간은 출원일로부터 7년이다.

신규성과 산업상 이용가능성을 충족하는 특별한 외관으로 이루어진 디자인은 디자인권으로 보호 가능하다. 디자인권의 권리기간은 출원일로부터 10년이며 5년 더 연장가능하다. 이집트는 헤이그협약에 가입되어 있다.

상표권은 눈으로 식별할 수 있는 표지가 식별성을 갖추고 부등록 사유에 해당하지 않을 때 인정된다. 상표 등록은 상표 출원일로부터 10년간 유효하며, 각각 10년 동안 갱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저작권은 저작자의 저작물을 저작자의 일생과 사망 후 50년 동안 보호한다.

이집트 특허청(EGPO: Egyptian Patent Office)은 특허 등록 및 발행을 담당하고 있으며, 아랍·중동국가에서는 최초로 2009년 9월 WIPO 총회 국제회의에서 특허 협력조약(PCT)에 따라 국제조사기관 및 국제예비심사기관(ISA/IPEA)으로 인정받았다. 또한 기술 이전, 지식재산권 보호 및 과학·기술·산업(STI) 기반 비즈니스 환경 조성에 있어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집트 특허청(EGPO)은 웹사이트를 통해 기초 선행기술 검색을 위한 전자행정 서비스를 구축하였다.

이집트는 정부는 국가적 과제를 해결하고 장기적 성장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2015년 국가개발전략 「VISION 2030」 을 수립하여 혁신, 지식 및 과학 연구 활동을 정책적 우선순위로 정하였다.

이집트는 중동 국가 중에서 비교적 이른 시기인 1951년에 파리조약에 가입하였으며 1975년에 WIPO에 가입하였다. 또한 이집트는 국제특허분류에 관한 스트라스부르 협정(Strasgourg Agreement)에 1975년에 가입하여 국제특허분류를 따르고 있다. 1995년에는 WTO/TRIPS 협정을 체결하였다. 이후 이집트는 2003년에 PCT 조약에 가입하였다. 따라서 이집트는 현재 파리조약에 따른 조약우선권 적용 및 PCT 조약에 따른 국제출원이 가능하다.

최종수정 : 2022-05-15 22:09

출처 : KOTRA 해외경제정보드림

투자컨설팅

Saleh, Barsoum & Abd El-Aziz/Deloitte

Saleh, Barsoum & Abd El-Aziz/Deloitte
전화번호02-2461-9909 주소2005 A Cornish El Nile, Nile City Towers, South Tower Ramlet Boulaq, Cairo, Egypt
홈페이지https://www2.deloitte.com/eg/en.html 이메일sba@sba-deloitte.com
한국인 변호사 유무내용 없음
비고내용 없음

Ernst & Young

Ernst & Young
전화번호02-2726-0100 주소Rama Tower, Plot 10A, Ring Rd., El Katameya, Cairo, Egypt
홈페이지https://www.ey.com/home 이메일sherif.el-kilany@eg.ey.com
한국인 변호사 유무내용 없음
비고내용 없음

Ashraf Abd El-Ghani Accountants & Tax Consultants

Ashraf Abd El-Ghani Accountants & Tax Consultants
전화번호02-3570-7030 주소21,23 El Giza St, Nile Tower, Giza, Cairo, Egypt
홈페이지http://atc.com.eg/ 이메일info@atc.com.eg
한국인 변호사 유무내용 없음
비고내용 없음

KPMG Hazem Hassan Public Accountants & Consultants

KPMG Hazem Hassan Public Accountants & Consultants
전화번호02-3536-2200 주소KPMG Bldg., Km.22 Cairo, Alex. Desert Rd., Pyramids Heights Compound, Pyramids, Giza, Egypt
홈페이지https://home.kpmg.com/eg/en/home.html 이메일egypt@kpmg.com.eg
한국인 변호사 유무내용 없음
비고내용 없음

Amany Sadek Office

Amany Sadek Office
전화번호02-2518-2674 주소2, St. No. 294, Maadi,Cairo, Egypt
홈페이지내용 없음 이메일amany_sadek@hotmail.com
한국인 변호사 유무내용 없음
비고내용 없음

출처 : KOTRA 해외경제정보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