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주요국가 시장 정보

United Arab Emirates Flag

아랍에미리트

  • 인구9,516,871 명 [자료원 : (자료 : UN 환산 Worldometer / 2023년 7월 확인 기준)]
  • 면적83,600㎢ [자료원 : 대한민국 외교부]
  • 수도아부다비(Abu Dhabi)
  • 언어(공용어) 아랍어, (통용어) 영어, 힌디어, 말라얄람어 등
  • 화폐Dirham, Fils

시장 및 소비자 특성

소비인구

2023년 기준, UAE 전체 인구의 64%가 25∼54세 사이의 청장년층으로 젊고, 소비활동이 왕성한 편이다. UAE는 높은 구매력을 보유한 매력적인 시장이나 직군이나 국적에 따라 임금 격차가 매우 크며 월 1,000∼2,000디르함(272~545달러) 수준의 낮은 급여를 받는 노동자 계층부터 수만 디르함을 받는 전문직 및 자국민 노동자에 이르기까지 소득수준이 다양하다. 한편, UAE는 외국인 이주 근로자 중 남성의 비중이 높다 보니 남녀성비가 7 : 3으로 남초 사회를 이루고 있다.<자료원: KOTRA 두바이 무역관 자체자료 및 CIA Fact Book, Global Media Insight(인구)>

소비성향

UAE는 소수(11%) 자국민과 다수의 외국인 이주 근로자(89%)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때문에 주민들의 소비성향도 국적/인종에 따라 다양하다. UAE에서는 이슬람 금식월인 라마단과 이드(소제와 대제) 및 연말연시 등을 맞아 소비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할인 행사가 진행되며 현지 주민들도 자동차와 가전제품 등 고가의 내구소비재를 할인 기간에 구매하는 편이다.

1) 제품(Product): 종교·문화가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시장

인근 GCC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이슬람교 국가인 UAE에서는 종교가 제품의 선택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이슬람에서는 생활 전반에 있어 신에 의해 허락된 할랄과 금지된 하람을 구분한다. 알코올이나 돼지고기 성분이 포함될 경우 하람에 해당하며 이러한 성분들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도 육류는 할랄 도축 방식으로 가공되어야 한다. 소비자들은 제품 포장에 인쇄된 마크를 통해 쉽게 제품의 할랄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최근 식품 분야에만 한정되어 있던 할랄은 의약품, 화장품, 관광, 금융 등 광범위한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세계 3대 할랄 인증에 해당하는 JAKIM(말레이시아)과 MUI(인도네시아), MUIS(싱가포르)을 취득한 제품도 활발히 유통되고 있으며 UAE 자체 할랄 마크를 취득하는 제품·브랜드들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한편, 무슬림 외에도 세계 각국에서 온 이민자들은 각자의 종교와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부분이 제품 선호도와 실제 구매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2) 가격(Price): 소비자의 소득 수준에 따라 양분화된 시장

UAE는 자국 내에 제조업 기반이 미약해 적지 않은 제품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 때문에 다양한 글로벌 브랜드들이 각축하는 경쟁 시장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인구의 약 90%를 차지하는 외국인 소비자들의 경우 자국에서 소비하던 브랜드·제품을 계속해서 소비하려는 경향이 크기 때문에 브랜드 인지도와 친숙함이 제품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 때문에 오프라인 매대 경쟁이 치열하며 신규 브랜드·제품의 시장 진입과 생존이 쉽지 않은 시장이다. 아울러, 소비패턴이 소득수준에 따라 양분되어 있으며 자국민(에미라티) 근로자나 전문직의 고소득 소비자의 경우 고품질의 프리미엄 제품을 선호하는 반면 인구의 과반수를 차지하는 중·저소득층 소비자의 경우 가격이 제품 선택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3) 장소(Place):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전자상거래로의 전환 가속화

UAE는 매장을 직접 방문해 상품을 구매하고 현금으로 결제하는 오프라인 방식이 강세를 보이는 시장으로 무더운 날씨로 인해 대형 쇼핑몰에서 시간을 보내는 것이 일종의 여가 문화로 자리 잡은 영향이 크다. 더욱이 UAE는 중동 최대의 관광지로 해마다 많은 관광객이 쇼핑·엔터테인먼트를 위해 방문하고 있어 매장구매·현금결제의 성향이 강한 시장이었다.

2017년 미국 아마존(Amazon)이 UAE 최대 온라인 쇼핑몰인 수크닷컴(Souq.com)을 인수해 Amazon.ae를 출범했으며 UAE 최대 부동산 개발사인 이마르(Emaar)社가 Amazon의 대항마로 눈 닷컴(Noon.com)을 출시, 2018년 이베이와의 파트너십을 발표하며 온라인 전자상거래 분야도 꾸준한 성장세를 보여 왔다. 이러한 UAE 전자상거래 시장은 코로나19를 거치며 폭발적으로 성장하였다. 현지 언론 ZAWYA 보도에 따르면, UAE 전자상거래 시장은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연평균 23%씩 성장했으며, 2027년까지 연평균 8.4%씩 성장하여 172억 달러 수준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코로나19로 인한 디지털 전환이 주요인이 되었으나 UAE 시장에서 인터넷과 휴대폰 접속이 가능한 인구 비중은 100%에 달하기 때문에 성장 가능성은 무한하다. 두바이 상공회의소는 UAE 2025년 전자상거래 규모가 80억 달러 달할 것임을 전망한 바 있다.

UAE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가장 많은 수익을 창출하는 제품 카테고리는 가전제품, 컴퓨터, 패션 액세서리, 여성 의류, 화장품, 향수이다. UAE에서 온라인 쇼핑객들에게 가장 중요한 요소는 가격, 고객 서비스, 그리고 사용 편의성이었다. 온라인 전환 바람에 발맞추기 위해 기존의 오프라인 중심 매장들 또한 더 많은 카테고리를 갖춘 온라인 플랫폼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중동에서 가장 큰 유통사 중 두 곳인 까르푸와 루루 그룹은 온라인 쇼핑 포털을 개설하고 관련 인프라를 대폭 확충했다.

전자상거래의 급격한 성장 중 상당 부분이 코로나19에 대한 반응이었지만, 소비자들의 온라인쇼핑에 대한 신뢰도가 증가한 바 향후 전자상거래 시장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4) 마케팅·홍보(Promotion) : 인플루언서마케팅을 통한 소비자 유인

UAE 소비자들은 높은 가처분소득을 기반으로 구매력이 왕성하며, 다양한 수입품을 접하기 때문에 새로운 제품을 시도하는 것에 대한 거부반응이 낮은 편이다. 특히 SNS와 인플루언서가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이들이 사용하는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다고 할 수 있다. 국내 기업의 진출 사례도 찾아볼 수 있는데 B사의 클렌징크림은 이란계 뷰티 전문 인플루언서의 포스팅과 홍보에 힘입어 입소문이 나면서 두바이 베이스의 이란 주요 뷰티 디스트리뷰터인 A사가 독점 에이전시 계약 희망, 진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우수한 품질과 시장가격에 맞는 솔루션 제공할 수 있다면 인플루언서 마케팅은 큰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으며 UAE뿐 아니라 인근 시장 유통망 추가 진출의 기회가 될 수도 있는 시장이다.

한국상품 이미지

여타 해외 시장과 마찬가지로 UAE 내 한국 제품은 유럽·일본 제품에 비해 가격이 저렴함에도 품질은 중국·인도 제품에 비해 뛰어나다는 이미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무선통신기기 등 전자제품과 자동차, 선박 및 방산 제품 등 기술집약적 품목이 UAE 시장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이와 별개로 최근 UAE 시장 내 K 콘텐츠(영화·드라마·음악 등)의 약진세가 두드러짐에 따라 한국의 국가적 위상이 높아지고 있으며 한국 제품에 대한 선호도 빠르게 높아지고 있다. 특히, 콘텐츠와 연계가 용이한 한국 화장품·식품·소비재에 대한 수요가 최근 빠르게 급증하고 있다. 특히, 한국은 2021년 기준 UAE의 가공식품 수입국 1위, 화장품 수입국 6위를 기록한 바 있다.

최종수정 : 2023-05-17 21:28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 국가·지역정보

상거래 유의사항

상거래 시 유의사항

1) 회신 지연 가능성, 불확실한 답변에 대한 이해 필요

아랍인을 포함한 현지 바이어들은 느긋한 시간관념을 가진 사람들이 많은데, 비즈니스 과정에서도 서두르지 않는 편이다. 따라서 회신이 늦는 것은 흔한 일이고 무슬림 바이어의 경우 ‘인샤알라’라는 말로 확답을 주지 않는 경우도 많다. 인샤알라는 ‘신의 뜻대로’라는 아랍어로 대체로 긍정의 의미가 있는 말이지만 상황에 따라 약속이 이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의미로 활용될 수도 있다. 무책임하게 들릴 수도 있으나 이를 습관적으로 말하는 사람이 다수이며, 이에 확답을 독촉하는 것은 무례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여유를 갖고 현지 바이어를 대하는 것이 좋다.


2) 좋은 품질과 합리적 가격 어필을 통한 브랜딩

UAE는 인구가 약 1천만 명의 작은 시장이다. 하지만 다양한 인종이 거주하고 있어 소비자마다 선호하는 상품이 다르고. 글로벌 고급 브랜드의 점유율이 높아 경쟁이 치열하다. 그러므로 현지 바이어들은 아시아 물건을 거래할 때, 품질 면에서 일본-한국-중국 순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으며 가격 또한 이에 비례하여 책정하려 한다. UAE는 부유한 자국민 및 고소득 노동자보다 저소득 노동자의 비율이 현저히 높아, 고가 시장이라기보다는 저가 시장에 가까운 편이다. 이에 바이어들도 저가 선호 경향이 강해 일본산보다는 한국산을 선호하나, 중국산과 비교 시 비싸다는 반응이 많은 편이다.
바이어들을 인터뷰했을 때, 취급하는 품목별 선호하는 마케팅 포인트가 다르다. 패션의 경우 가격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화장품의 경우에는 브랜드 인식이 가장 중요하고, 가전제품의 경우 가격과 생산국, 프로모션(워런티, AS, 가격할인 등) 등이 중요 요소로 꼽힌다. 이에 우리 기업들의 기술, 성능, AS 등 중국제품과 차별성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3) 바이어 신용조사가 어려운 지역

UAE는 소득세가 없고 개인 기업이 대부분 비공개, 비상장 기업이므로 재무제표나 영업실적 같은 기업 관련 자료를 전혀 외부에 공개하지 않는다. 은행에서도 제3자에게는 고객의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므로 사실상 바이어들의 재무 상태나 은행 거래명세 입수는 불가능해 UAE 현지의 전문 신용조사 회사도 탐문 수사를 통해 바이어의 영업 행태와 실적을 파악하고 있는 실정이다. 바이어의 사업자 등록증(Trade License) 사본을 요청해 존재 여부를 파악하기가 가장 쉽고 빠른 방법이나, 이 방법을 행하기 어려운 경우 업체의 주소지에 따라 각 에미리트 경제개발부(DED; Department of Economic Development), 상공회의소(Chamber) 및 각 프리존 관할청(Free Zone Authority)을 통해 사업자 정보조회가 가능하다. 각 에미리트 경제개발부 혹은 프리존에 사업자 등록이 되어 있는 경우 정상적으로 영업활동을 하는 것으로 간주하며, 무역관에서도 이 방법을 활용하고 있다. 주요 기관별 조회 방법을 정리한 해외시장뉴스 기사는 하기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ㅇ KOTRA 두바이 무역관 해외시장뉴스 ‘UAE?바레인 기업 조회 방법은?’ :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SITE_NO=3&MENU_ID=410&CONTENTS_NO=1&bbsGbn=242&bbsSn=242&pNttSn=187624


4) 출장 시기 조절

UAE를 포함해 국교가 이슬람교일 경우, 라마단이라는 최대 명절 시기엔 출장을 피하는 것이 좋다. 라마단은 무슬림들이 해가 뜨고 질 때까지 금식하는 신성한 달이다. 이슬람력으로 아홉 번째 달로 1년 중 가장 중요한 달로 여겨진다. 라마단 기간에는 근무 시간이 단축되며, 길거리 취식 및 흡연, 물을 마시는 것도 금지된다. 부득이하게 라마단 기간에 출장을 왔을 때 길거리 취식, 흡연은 삼가는 것이 좋다. 아울러 7~8월은 휴가 시즌으로, UAE에 거주하는 외국인 대다수는 휴가 시즌 동안 본국으로 장기휴가를 가는 경우가 많다. 반대로 12~2월은 관광객들이 붐비는 성수기로 숙소비 등 관광 물가가 비싼 편이기에 출장을 계획할 때 참고하는 것이 좋다.


5) 각종 무역&투자 사기 주의

UAE의 무역상들은 아랍, 인도, 아프리카 출신으로 직원 5~6명 정도의 소규모인 경우가 많으며, 새로운 회사를 설립하거나 폐업하기가 비교적 쉬운 국가이다. 이러한 이유로 현지 시장 상황에 어두운 외국 기업은 무역 사기의 표적이 되기 쉬운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첫 거래일 경우 상대방의 신원과 신용정보를 확인해 사전에 피해를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미결제, 클레임 등에 항상 유의해야 한다.

특히, 전시회에 참가한 우리 기업이 여러 차례의 상담을 거듭하다 보면, 바이어의 이름과 회사를 일일이 기억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무역 사기꾼들은 실제 전시회에 참가하여 명함을 수집하고, 참가 업체가 일일이 기억하기 어렵다는 점을 이용하여 접근하는 경우가 많다. 구체적인 전시회명을 대고 직접 이야기를 나누었던 척 가장을 하여 샘플을 요구하거나, 에이전트가 되어줄 테니 선수금을 예치하라는 내용의 사기 유형이 가장 흔한 케이스이다. 투자 사기의 경우에는 현지 유명 투자사를 사칭하거나, 그럴듯한 가상의 회사명을 지어 거액의 투자금을 지원하겠다며 유혹한다. 보통 높은 직급(Chairman, CEO 등)을 사칭하여 이메일로 연락이 오는 경우가 많으며, 이 또한 투자를 위한 보험 가입 및 법무인 고용 등을 목적으로 선수금을 요청한다. 일단, 모르는 바이어 또는 투자자로부터 이메일을 받게 된다면 교신을 이어가되, 금전적인 요구가 있을 시 연락을 중단하고 KOTRA 무역관으로 기업조회를 요청하는 것을 권유한다.

  ㅇ KOTRA 발간 '2022 무역사기 발생현황 및 대응방안' :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indReport/actionIndReportDetail.do?pageNo=1&pagePerCnt=16&MENU_ID=280&CONTENTS_NO=1&pRptNo=13543&pHotClipTyName=DEEP&pStartDt=&pEndDt=&sSearchVal=사기&pRegnCd=&pNatCd=&pIdstrCate=&pNttCtgrySn=


6) 대금 결제 조건이 까다로운 지역

일부 대형 업체를 제외한 경우 대부분의 바이어는 DP, DA를 선호하며 L/C와 T/T, DP, DA를 복잡하게 섞어서 사용하는 경우도 많아 부가적인 행정 처리가 많은 편이다.

최종수정 : 2023-05-17 21:36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 국가·지역정보

상담 유의사항

상담 및 문화적 유의사항

UAE 자국민은 절대다수가 이슬람교도이기 때문에 종교적인 부분과 관련된 결례를 범하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슬람에 관한 부정적인 이야기나 비하적 태도는 바람직하지 않으며, 특히 여성들에게 성적인 불쾌감을 주는 행동은 절대 삼가야 한다. 또한, 통치권자에 대한 존경심이 높고 이에 대한 비하 발언은 처벌의 대상이 되기도 하므로 함부로 통치자와 정부에 대해 언급하지 않는 것이 좋다.

한편 UAE는 각계각층의 사람들이 방문하여 사업을 하는 세계적인 국가이다. 인도, 파키스탄, 필리핀, 유럽, 미주, 아프리카 등 다양한 지역 출신의 사람들이 현지에 거주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문화적 비즈니스 에티켓을 숙지하면 좋다. UAE의 공식어는 아랍어이지만 영어가 비즈니스 언어로 널리 사용되고 있어 명함, 브로슈어, 마케팅 자료를 준비할 때는 영어와 아랍어본을 준비하는 것이 좋다. 아랍어의 경우 잘못 표기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인쇄 전 현지인의 의견을 구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1) 면담 약속

공공기관과 면담하는 경우 최소 한 달 전에 서면으로 방문 요청을 한 후, 전화나 팩스 등으로 일정을 조율하는 것이 좋다. 면담을 확정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담당자가 출장 또는 휴가 중인 경우라도 대체 인력이 대신 업무를 수행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여유를 두고 준비하는 것이 좋다. 바이어 면담을 위해서는 적어도 1~2주 전 미리 이메일로 요청한 후에 전화로 다시 한번 확인해야 한다. 기존 거래처가 아닐 경우 회신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아무런 답변을 받지 못하고 시일만 흐르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가능하면 구체적 논의 내용과 목적, 날짜, 시간 등을 이메일에 기재해 두는 것이 좋다. 현지 바이어들은 시간에 관대한 편이라 약속 시간에 맞춰 도착하지 않거나 이메일 회신이 늦는 것은 흔한 일이므로 여유를 가지고 기다리는 것이 좋으나 외국인 역시 늦어도 된다는 의미는 아니다. 또한, 상대가 무슬림인 경우 기도 시간에 약속을 잡는 일을 피하는 것이 좋다.


2) 첫 만남

첫 만남에서는 호칭에 신경 쓰도록 한다. 아랍식 호칭은 셰이크(Sheikh), 셰이카(Sheikha), 사이드(Sayeed), 사이다(Sayeeda)로 구분할 수 있다. 셰이크는 아랍 국가나 기관의 남자 수장을 뜻하며, 같은 의미로 여성을 칭할 때 셰이카라고 한다. 보통 국가 원수나 장관을 칭할 때 사용한다. 사이드와 사이다는 서양의 Mr.나 Mrs.와 유사한 개념이다. 자국민 에미라티들은 이름(First name)보다 가문 이름(Family name)으로 격식을 차려 불리기를 원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존칭과 성을 함께 부르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모하메드 알 알리인 경우 모하메드가 본인의 이름이고 알 알리가 가문 이름으로 ‘사이드 알 알리’라는 호칭이 무난하다. 상대방의 이름을 모를 때는 남성의 경우 썰(Sir), 여성의 경우 마담(Madaam)이라 부르면 된다.

에미라티를 제외한 아랍인이나 다른 인종들은 서구식 문화대로 Mr.나 Ms.로 통용된다. 서로 소개할 때는 지위가 높거나 나이가 많은 사람이 먼저 소개하며 악수를 청하는 것이 보통이다. 상대방이 여자인 경우 신체적 접촉을 하지 않고 인사말만 건네며, 여성이 먼저 악수를 청하는 경우에만 응한다. 코로나19 이후에는 손을 맞잡는 악수보다 주먹을 맞대는 주먹 인사로 대체하는 경우도 많다. 첫 만남에서부터 서둘러 사업의 본론부터 논하는 것은 결례될 수 있으며 사소한 이야기부터 시작해 친근하고 편안한 분위기 속에서 관계를 만들어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랍 문화에서는 정 시간에 맞추어 시작하는 것이 꼭 미덕이라고 생각되지 않으므로 인내심을 가지고 상대를 기다리며 가급적 부정의 표현은 삼가는 것이 좋다. 첫 만남에서 작은 선물을 준비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상대방의 취미 생활에 관련된 제품, 전통공예품 등은 좋은 예다. 부인에게 줄 선물을 준비하는 것은 결례가 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3) 복장

남녀를 막론하고 몸이 드러나는 옷을 입는 것은 공식 석상에서 예의가 아니다. 외국인의 경우 남자는 비즈니스 캐주얼이나 정장, 여자는 팔다리를 가리고 몸매가 노골적으로 드러나지 않는 복장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 특히, 현지 공공기관에 방문할 경우 복장에 더욱 주의해야 한다. 현지인의 경우 주로 전통 복장으로 격식을 갖추는데, 남성은 흰색 칸두라와 두건인 구트라, 여성은 검은색 원피스인 아바야와 머리를 가리는 스카프인 셰일라를 착용한다.


4) 식사

아랍인의 집으로 식사 초대를 받았을 경우 아내나 다른 여성을 동반하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방문 시 간단한 선물을 지참하는 것이 좋으나 와인 등 종교적으로 결례가 될 만한 물건은 피하는 것이 좋으며, 식후에 함께 나눌 수 있는 전통 차나 대추야자 선물이 무난하다.
아랍인들은 손님 환대 문화를 미덕으로 생각하여 손님을 극진히 대접한다. 특히 커피는 아랍인들의 환대 문화를 상징하는데 긴 시간 커피를 마시며 이야기를 나누기 때문에 커피를 다 마셨더라도 계속해서 잔에 채워준다. 이때 잔을 좌우로 흔들면 그만 마시겠다는 의사 표현이며, 티타임이 끝나면 본격적으로 식사가 시작된다. 식사 중에도 정말 배가 부른 상태가 아니라면 거절하지 않고 먹어야 호스트가 존중받고 있다고 생각하니 주의해야 한다. 아울러, 외부에서 식사할 때는 술이나 돼지고기가 들어간 음식을 피한 메뉴와 장소 선정에 유의하는 것이 좋다.

반대로 아랍인을 손님으로 초대할 때, 특별히 요청하지 않는 이상 상대방 측에서도 아내와 가족을 대동하지 않는다. 초대 시 요청하여 가족들을 데려온 경우 여자 손님은 남자들과 다른 방에 있도록 배려하는 것이 좋다. 더불어 아랍인들의 화려한 환대 문화에 상응하게 푸짐한 음식과 커피를 준비해 두는 것이 좋다. 아랍인들은 식음을 하며 이야기 나누는 것을 좋아하며 말을 많이 한다. 지금의 젊은 세대는 부모 세대와 다르게 바깥세상을 많이 돌아보고 견문을 넓혀서 이야기를 나누는데도 어색함이 없다.


5) 기타 주의사항

 (1) 업무시간: 정부 기관은 해가 강한 낮 시간을 피해 일과를 마무리하기 위해 근무 시간이 이른 편으로 7:30∼15:30이 보통 업무 시간이다. 또한, 기존 금, 토요일이었던 주말이 2022년부로 토, 일요일로 변경되었고 주 4.5일 근무제를 도입하며 금요일은 7:30~12:00까지 근무한다. 민간 기업의 경우 근무 시간이 유연한 편이지만 UAE 노동법 상에 명기된 최대 근무 시간 8시간을 준수하여 운영한다. 4.5일 근무제는 정부 기관은 필수적으로 따라야 하지만 민간 기업은 재량에 따라 도입 여부를 결정하기 때문에 모든 회사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2) 금기사항
  ① 왼손 사용금지 : 왼손은 깨끗하지 않다고 여겨 다른 사람을 대할 때나, 물건을 건네줄 때, 음식을 만질 때 왼손을 사용하지 않는다.
  ② 돼지고기와 주류 : 이슬람 성서인 코란에 돼지는 불결한 동물, 술은 정신을 흐리는 해로운 물질로 명기되어 있어 이와 관련된 식품을 섭취하지 않는다. 젊은 세대나 외국 유학 등으로 견문을 넓힌 아랍인의 경우 술을 마시는 경우가 종종 있으나, 상대측에서 제안하지 않는 이상 먼저 술을 권하지 않는 것이 좋다. 하지만 돼지고기는 피하는 아랍인이 대다수이다.
  ③ 사진 촬영 : UAE 정부는 왕궁, 국가 공공기관, 군사시설, 외국 대사관 및 국가 주요 시설물 등에 대해서 사진 촬영을 금지하고 있다. 외관상 사진 촬영 금지 표식이 명확히 인식되지 않더라도 반드시 사전에 촬영 허용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④ 아랍 여성 : 아랍 여성과 신체 접촉은 최대한 피하며 이들을 오래 쳐다보는 것은 좋지 않다. 특히 외국인 남성이라면 에미라티 여성에게 함부로 악수를 청해서는 안 된다. 아울러 아랍 남성들은 타인이 가족 중 여자의 안부를 묻는 것을 불쾌하게 여기기 때문에 이에 주의하는 것이 좋으며, 여성의 사진을 찍는 것도 미리 허락을 구하지 않는 이상 조심하는 것이 좋다.

 (3) SNS: 현지인들은 남녀노소 소셜미디어를 많이 이용한다. 새로운 사람을 만나기 전 종종 링크드인, 페이스북 등의 소셜미디어를 확인하는 경우도 있어, 의도치 않게 비즈니스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내용은 올리지 않는 편이 좋다.

최종수정 : 2023-05-17 21:36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 국가·지역정보

비자

종류 및 발급 절차

한-UAE 비자 면제 MOU 발효(2016년 9월 21일)에 따라 UAE로 입국하는 우리 국민은 비자 없이 입국 후 90일간 체류할 수 있다. UAE 입국 시 이민국에서 받은 출입국 도장이 방문 비자로 대체되며 별도의 비용은 발생하지 않으나, 단수여권과 여권 분실 시 발급받은 여행증명서로는 입국이 불가능하므로 반드시 잔여 유효기간이 6개월 이상인 여권을 소지해야 한다. 아울러 14세 이하 어린이는 부모 동반으로만 입국할 수 있다.

코로나19 관련 출입국 제한은 전면 철폐되었으나,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하여 입국 전 현지 공관을 통해 입국 요건을 다시 한번 확인 할 것을 추천한다.

 ㅇ 주 아랍에미리트 대한민국대사관(아부다비 입국시): http://overseas.mofa.go.kr/ae-ko/index.do
 ㅇ 주 두바이총영사관(두바이 입국시): http://overseas.mofa.go.kr/ae-dubai-ko/index.do

최종수정 : 2023-11-30 18:57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 국가·지역정보

통관제도

통관 유형별 절차

UAE의 통관절차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일반적인 절차를 따르며, 송장(Invoice), 원산지증명서(C/O), 화물인도지시서(D/O), 선하증권(B/L), 포장명세서(Packing List)가 주요 요구 서류이다. UAE 세관에서는 국내∙국제적 수입 금지 대상품, 국제 협약 및 역내 규정에 의거 승인된 표준 또는 지식재산권을 침해하는 상품에 대해 수입이 불허되니, UAE 수입 금지품 및 국제 표준을 준수하고 있는지 사전 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 상업 통관(Commercial importation)

  ① 보세구역 물품 반입

  ② 수입면장(Bill of Entry) 작성 및 구비서류 제출
    - 상업송장(Original Invoice)
    - 원산지증명서(Original Certificate of Origin)
    - 화물인도지시서(Delivery Order
    - 선하증권(Bill of Lading)
    - 포장명세서(Packing List)
    - 사업자등록증(Trade Licence) 사본
    - 제품 인증서(필요시)

  ③ 관세 납부 및 통관 물품 보관장소 확인
    - CIF 기준 관세 부과(HS Code 별 상이하나 대부분 5%)
    - 관세 납부 후 수입 물품 보관장소 확인

  ④ 수입 물품 검사 및 확인 스탬프 날인
    - 수입품 검사소에 관련 서류를 제시, 검사일시 지정
    - 지정된 검사 날짜/시간에 화주 또는 대리인 입회하에 수입 물품 검사가 이루어지며 수입면장에 'Cleared'라는 확인 스탬프 날인
    - 검사 대상은 마약류, 주류, 음란물, Under Value 등임.

  ⑤ 반출 확인서(Exit Order, Out Gate Pass) 및 운송 차량 통과증(Vehicle Pass) 발급


2) 개인물품 통관(Personal importation)

상업적 용도로 사용할 만한 수량 이내의 품목만 허용되며, UAE에 1년 이상의 거주비자 및 취업 비자가 발급된 자에 한해 개인 가계품은 관세가 면제된다. 단, 개인 용도로 사용할 목적의 수입품(직구 등 택배 물품)은 보험료, 운송료 포함 1,000디르함까지 면세가 적용된다.

  ① 보세구역 물품 반입

  ② 구비서류 제출
    - 화물인도지시서(Delivery Order)
    - 선하증권(Bill of Lading)
    - 포장명세서(Packing List, 이삿짐의 경우 제외됨)

  ③ 관세 납부 및 통관 물품 보관장소 확인
    - CIF 기준 관세 부과(HS Code 별 상이하나 대부분 5%)
    - 관세 납부 후 수입 물품 보관장소 확인
    - 개인가계품의 경우 관세 및 세금은 면제되나 기타 세관 업무 비용(Customs Service fee)은 지불해야 함.

  ④ 수입 물품 검사

  ⑤ 반출확인서 발급


3) 임시 통관(Temporary admission)

산업 프로젝트 또는 과학 실험 프로젝트 등을 위해 일시적으로 수입되는 중장비∙기계, 완제품 생산 후 재수출용 수입품, 놀이관∙영화관∙전시회 등을 위한 일시적 수입 물품, 수리를 위해 반입된 장비∙기계, 사육을 위한 가축 반입, 상품 진열용 샘플, 기타 임시 통관이 필요한 경우, 선적용으로 반입된 빈 컨테이너에 한해 관세가 면제된다.

중장비∙기계는 GCC 내에서의 산업 프로젝트에 이용되어야 하거나 현지에서 구할 수 없는 장비∙기계여야 한다. 완제품 생산을 위해 수입된 외래품의 경우 수입된 날로부터 1년을 초과할 수 없다. 동시에 완제품 생산용 물품 수입 후 재수출할 품목의 최종 형태를 수량과 함께 명시해야 한다. 그 외 임시 통관 물품은 기본 6개월 동안 반입이 가능하며 최대 1년까지 갱신 신청이 가능하다.

  ① 보세구역 물품 반입

  ② 구비서류 제출
     - 원산지가 명기된 송장(Original invoice indicating the country of origin)
    - 화물인도지시서(Delivery order)
    - 선하증권(Bill of Lading)
    - 포장명세서(Packing List)
    - 전시회 참가확인서(전시품의 경우)

  ③ 면제 물품에 대한 보증금 납부
    - CIF 가격의 5%를 보증금 형태로 입국 세관에 납부(출국 시 환급)

  ④ 수입 물품 검사

  ⑤ 반출확인서 발급

임시 통관된 물품은 GCC 외부, 자유무역지대(Free Zone) 외부, 세관 창고 외부로 반출해선 안 되며, 임시 처분 및 판매가 불가하다.


4) 재수출품(Re-exportation of goods) 통관 및 관세환급

UAE 내로 들여온 제품을 재수출하려면 아래와 같은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수출업자나 그의 대리인 또는 세관 중개인은 온라인으로 통관 서류와 정보를 제출해야 하며, 통관 서류의 원본은 물품 반출 전/후에 관세청에 제출해야 한다. 단, 국내 또는 국제적으로 금지된 상품 또는 해당국과 국제협정/협약의 적용을 받는 물품은 재수출이 불가하다. 수수료 납부 및 자동 통관 진행은 해당 에미리트 별로 상이하니 별도의 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ㅇ 재수출품 충족 조건
    - 세관 창고에서 반출(withdrawn)하지 않은 수입품
    - 임시 통관 절차에 따라 수입되는 상품
    - 관세 유예 사례의 하나로 세관 창고에 예치된 상품
    - 관세를 납부한 수입품
    - 현지 내의 외국 상품(이전 수입 신고 기록이 없던)
    - 재수출용으로 수입한 상품

  ㅇ 재수출 통관 서류
    - 1차 수입신고서 사본(Copy of first import declaration)
    - 송장(Invoice)

1년 이내에 UAE 내 수입 후 GCC 외부로 재수출되는 물품에 한해 관세 환급제도가 존재한다. 관세 환급받는 재수출품은 미화 5,000달러 이상이어야 한다. 수입 면장상에 재수출용 물품임을 기재해야 하며, 산정된 관세를 보증금의 형태로 납부하거나 은행 보증서를 제출한 후 재수출 시 관세 환급 신청서를 양식에 따라 작성하여 관련 서류와 함께 신청하면 환급된다. 관세 환급 신청은 재수출한 날로부터 6개월(180일) 이내에 제출해야 하며 모든 서류 확인 후 환급이 진행된다. 환급 신청 시 요구되는 서류는 다음과 같다.

    - 수입신고서 사본(Copy of the import declaration): 재수출 통관 시 제출했던 1차 수입신고서 사본과 동일해야 함.
    - GCC 외로 재수출되었음을 확인해주는 세관원의 날인이 찍힌 재수출신고서 사본
    - 첫 도착 기항 세관에 환급 신청서(application for drawback) 제출
    - 관세 납부 증명서


5) ATA Carnet 제도

ATA Carnet은 프랑스어인 Admission Temporaire와 영어인 Temporary Admission의 합성어로 협약 가입국 간의 특정 목적을 위한 물품의 임시 수출입 시 통관서류 작성, 보증금이나 관세 납부 없이 통관 절차가 진행되는 일종의 임시 통관증서를 지칭한다. 국제상공회의소의 국제보증제도를 통해 국가별로 상이한 통관절차를 통일해 국제 무역을 확대하는 데 목적이 있다. ATA Carnet 제도로 수입되는 품목의 재수출 기간은 ATA Carnet 유효기간이 만료되지 않는 한 6개월(180일)을 초과할 수 없다.

  ① 구비서류 제출
    - 원산지에서 발행한 ATA Carnet
    - 화물인도지시서(Delivery order)
    - 선하증권(Bill of Lading)

  ② 수입 물품 검사 및 확인 스탬프 날인

  ③ 반출확인서 발급


6) 수출입안전관리 우수공인업체 상호인정약정(AEO MRA)

2017년 7월 6일 관세청은 세계관세기구(WCO) 총회에서 UAE와 수출입안전관리 우수공인업체 상호인정약정(AEO MRA)을 체결하였고 2018년 10월 1일부로 발효되었다. 수출입안전관리우수공인업체(AEO)는 법규 준수, 내부 통제 시스템, 재무 건전성, 안전 관리 등의 적정 기준에 따라 관세청에서 공인한 업체이며, 선정된 업체에 대해 수출입시 세관 절차상 검사율 축소, 우선 통관, 수입 서류 간소화, 비상시 우선 조치 등의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다. 상호인정약정(MRA)은 자국에서 인정한 AEO 업체를 상대국에서도 인정하고 동일한 세관 절차상 특혜를 제공하는 관세 당국 간 약정이다. UAE는 우리 수출기업 제품의 약 5%를 검사하였으나 한-UAE AEO MRA가 전면 이행됨에 따라 공인된 우수업체(AEO) 제품의 경우 2.5%로 축소되었다. 이를 통해 수출입 기업은 교역량 증가, 통관비용 절약 등 경제적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되었다.


7) 주요 통관 서비스 소요경비

  ㅇ 세관 관련 서류 사본 발급: 100디르함
  ㅇ 재수출 신고/수출신고: 100디르함
  ㅇ 수입/수출자 코드 발급: 100디르함
  ㅇ 세관 신고, 운송 및 포워딩을 위한 새로운 사업자등록 발급: 700디르함
  ㅇ 등록 갱신: 700디르함
  ㅇ 신규 지점 개설: 700디르함
  ㅇ 신규 파트너 추가: 250디르함
  ㅇ 신규 활동 범위 추가: 250디르함
      * 1디르함 = 3.67달러

통관시 유의사항

UAE의 수입 통관절차는 비교적 간단하고 투명하지만, 수입업자는 반드시 관세청으로부터 유효한 수입업자 코드를 획득해야 하며, UAE에 등록된 회사만이 수입 자격이 있다. 다만 인증 수수료 지급에 관한 연방 칙령 54/1984에 의거 수입 물품 통관 시 상업송장(Invoice) 및 원산지 증명서(Certificate of Origin)에 해외 주재 UAE 영사의 확인을 요구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세관에서는 한국어로 된 세관 신고서류에 대해 아랍어 공증 본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으니 대비를 하는 것이 좋다. 더불어 UAE로 수출 통관 시 UAE 세관에서 원본 선하증권(Bill of Lading) 제출을 요구하나, 원본 제출이 어려울 시 1,000디르함(약 273달러)을 지불하고 사본으로 진행하는 경우도 있다.

참고 사항으로, UAE 세관 내 창고 및 부두에 출입하기 위해서는 ID 또는 Pass를 소지해야 한다. 선사나 C&F 에이전트인 경우는 세관에서 ID를 발급받을 수 있고, 개인인 경우는 B/E(Bill of Entry), 여권 사본 및 신청 서한을 제출하면 임시 Pass를 발급받을 수 있다. UAE의 경우는 통관 시 저가 신고(언더밸류, Under Value)에 대하여 비교적 관대하나, 최근 들어 세관 측에서 저가 신고품에 대해 자체적으로 가치를 산정해 세금을 부여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기도 한다.

두바이 원산지 결정 기준의 경우, 2014년 두바이세관에서 발행한 Rules of Origin을 참고하면 된다(2023년 5월 기준 최신 자료). 두바이 세관은 UAE가 속해있는 경제동맹인 GCC 관세법(GCC Customs Law)을 기준으로 삼고 있다고 명시되어 있다. 별도로, 한국과 UAE는 아직 FTA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연방 관세청 웹사이트에서 취급 물품의 관세를 사전에 확인해야 한다.

  ㅇ 원산지증명 기준 확인 링크 : https://www.dubaicustoms.gov.ae/en/CustomsInformation/Pages/Publications.aspx (두바이 세관 웹사이트 – 좌측 상단 메뉴 중 Customs Information - Publications 내 Rules of Origin 파일 다운로드)

최종수정 : 2023-05-17 21:33

출처 : KOTRA 해외경제정보드림

관세제도

관세제도 개요

UAE는 GCC(걸프협력회의) 회원국으로, GCC 관세협정에 따라 GCC 국가 모두가 회원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로부터 수입되는 제품 대부분에 대해서 공통 관세율 5%를 적용하고 있다. 2002년 UAE는 에미리트 간 경제를 통합하고 GCC 관세협정을 이행하기 위해 연방관세청(FCA; Federal Customs Authority)을 창설하고 세관 절차의 표준화를 위한 연방 법안(Federal Decree Law No.1 of 2003)을 제정했다. 이후 2003년 1월부터 발효된 GCC 관세협정에 따라 UAE 7개 에미리트는 단일 세관 규정을 적용하고 있다. 한편, 사우디아라비아는 2020년 6월과 2022년 6월 두 차례 독단적으로 관세를 인상했으나 UAE는 종전 세율 5%를 유지하며 무역자유화에 개방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UAE는 GCC 회원국간의 협정 외에도 다양한 양자 및 다자 자유무역협정을 이행하거나 협상중이다. 2023년 11월 기준 인도, 이스라엘, 인도네시아, 튀르키예와 CEPA 협정이 발효되었고 조지아, 베트남, 대한민국과 협정이 체결되었다. 한-UAE CEPA 협정 타결로 양국 모두 교역 품목의 90% 이상에 대해 10년 내 관세를 철폐하기로 했다.

아울러 단일항구원칙에 따라 UAE 혹은 기타 GCC 국가로 수입되는 물품에 대해 첫 도착 기항에서만 세금을 부과하며 역내 이동 시 이중과세하지 않는다. 우리나라에서 UAE로 수출하는 대다수 품목에는 공통관세가 적용되나, 품목에 따라 관세가 면제되거나 주류(50~70%), 담배(100%)와 같이 특별상품군으로 분류되어 높은 관세를 내야 하는 경우가 있다. 특별상품군은 GCC 국가별로 관세 책정이 상이하기 때문에 다시 한번 확인할 필요가 있다. 2018년 1월 1일부터 부과된 부가가치세(5%)의 경우, 세후 가격을 기준으로 적용된다.

UAE는 각종 전시회 등이 빈번히 개최되고 재수출 규모가 큰 특성에 따라 다양한 관세 환급 및 임시 통관제도가 존재한다. UAE 내 수입된 물품이 1년 이내에 재수출될 경우 납부한 관세를 환급해주는 관세 환급제도, 전시회나 시연을 위해 샘플을 일시적으로 수입할 시 입국 세관에 CIF 가격의 5%를 보증금 형태로 납부 후 출국 시 환급받는 임시 통관제도가 있다. 더불어 UAE는 ATA Carnet 협약국으로 해당 물품의 임시 수출입 시 통관서류 작성, 보증금이나 관세 납부 없이 통관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상공회의소를 통해 미리 증서를 획득한 출장자는 미리 통관 관련 절차나 비용을 가늠해볼 수 있으며, 유효기간 내 복수 국가를 방문 후 본국으로의 재반입까지 간편하게 끝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UAE 관세청은 개인 용품 및 일부 공익 목적의 물품에 면세혜택을 부여하고 있는데, UAE 관세당국에서 명시하고 있는 주요 면세 항목은 다음과 같다.

  ㅇ 외교 물품
    - UAE가 승인한 국제기구, 외교단 또는 그 구성원들이 수입한 물품

  ㅇ 군용품
    - 관할 당국 공문서 상의 무기, 탄약, 군사 장비, 수송품 등 군 내부 물품

  ㅇ 개인 가계품
    - UAE로 최종 입국하는 해외 거주 자국민(해외 거주 증명서 필수 제출)
    - UAE에 처음 거주하는 외국인의 개인용품, 중고 가전제품(취업확인서 또는 거주확인서 제출)

  ㅇ 여행객용 수하물
    - 3,000디르함이 초과하지 않는 선물
    - 400개비 이하의 담배 혹은 50개 이하의 시가, 500g 이하의 기타 담배류
    - 4리터 미만의 주류 혹은 24캔 이하의 맥주(포장은 최대 2박스, 개별 캔 용량은 355ml를 초과하지 않아야 함.)
    - 상업적 용도가 아닌 기타 개인 소지품
    - 담배류, 주류 소지자는 만 18세 이상이어야 함.

  ㅇ 자선 물품
    - 자선 목적으로 수입하는 물품(관할 당국에 수입자가 자선단체로 명기된 서류를 제출하여야 함)

  ㅇ 제조 기계 및 원자재
    - UAE 산업 라이선스 소유자에 한해 UAE 경제부에서 승인받은 제조 목적의 기계 및 원자재

  ㅇ 원산지가 GCC 회원국인 상품

관세율 알아보는법

관세 환급 및 면세가 적용되는 품목은 상세 HS Code를 통해 확인해야 하며, GCC 통합 관세율표는 UAE 연방 세관(Federal Customs Authority) 홈페이지에서 HS Code 별 조회가 가능하다. UAE 연방 세관 홈페이지(www.fca.gov.ae)에 접속 후 상단 메뉴의 'UAE Customs' 중 'UAE Customs'에 접속하면 왼쪽 메뉴 중 'Unified Customs Tariffe'에서 다운이 가능하다. 2023년 5월 기준, 2022년 발행된 'The Unified Customs Tariffe for GCC States 2022'이 가장 최신 자료이며, 일부 품목의 경우 관세율이 변경되었으나 공식 발표되지 않아 수출 대상 에미리트 세관 혹은 물류 통관업체를 통한 재확인이 권장된다.

  ㅇ UAE 연방 세관 관세율 확인 관련 링크 : https://www.fca.gov.ae/en/HomeRightMenu/Pages/hscodeDefinition.aspx?SelectedTab=5

최종수정 : 2024-02-07 14:32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 국가·지역정보

투자진출형태

법인

일반적으로 법인은, 모기업의 지점인 지사와 다르게 별개의 조직체로 여겨져 수익 발생이 가능하다. 보통 현지 진출 우리 기업은 지사의 형태로 먼저 진출, 시장 동향을 살핀 후 법인을 설립하는 경우가 많다.

1) 개요

UAE에서 사업을 운영하는 관할구역은 크게 본토와 프리존으로 나눌 수 있다. 본토와 프리존은 사업 유형에 따라 각각 다른 이점을 제공한다. 본토에서 사업하기 위해서는 각 에미리트 경제개발부(Department of Economic Development, DED)에 등록하여 사업자 면허(Business license)를 발급받아야 하며 프리존의 경우에는 각 프리존 관리청이 상위기관이다. 진출기업이 수행하려는 업종에 따라서 상기 경제개발부 라이선스 발급이 모든 활동을 허가하는 경우가 있고, 추가적으로 경제개발부 외의 연방정부나 에미리트의 다른 부서에서 별도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경우가 있다. 허가가 필요한 업종을 수행하는 기업은 사업장소, 기술 직원 구비사항, 최소자본금 규정 등 해당 기관이 제시하는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이와 관련한 절차, 수수료, 규정 등은 관련 기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주요 업종별 담당 기관은 아래와 같다.

  - 산업 활동: Ministry of Economy, The Environment Department(에미리트 별)
  - 병원, 사립클리닉, 의료 실험, 약품: Ministry of Health and Prevention
  - 미디어 관련 활동(광고, 온라인 거래, 홈쇼핑, 인쇄, 방송 등): National Media Council
  - 회계감사, 외국 기업 지사: Ministry of Economy
  - 건축 및 엔지니어링: Municipality(에미리트 별)
  - 통신장비: Telecommunications Regulatory Authority
  - 은행, 환전, 금융 컨설턴트: The Central Bank of the UAE
  - 법률 회사: Ministry of Justice
  - 식물재배, 농장, 종자 거래, 검역, 수의: Ministry of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 Agriculture or Environment Department(에미리트별)
  - 보험: UAE Insurance Authority
  - 자동차 렌탈: Traffic & Transport Department(에미리트 별)
  - 육아, 간호: Ministry of Social Affairs
  - 노동 서비스: Ministry of Human Resources & Emiratisation
  - 종교 관련 활동: General Authority of Islamic Affairs & Endowments
  - 사립학교, 유치원, 체육관: Ministry of Education
  - 항공운송, 항공화물: Department of Civil Aviation, General Civil Aviation Authority

2) 등록 절차

 (1) 진출 형태 결정
   - 법인
   - 지사
   - 연락사무소

 (2) 회사 유형 결정
   - Sole Proprietorship
   - One Person Company(LLC)
   - Civil Company
   - Limited Liability Company
   - Private Share Holding Company
   - Public Share Holding Company
   - Simple Limited Partnership
   - Partnership Company
   - Branch of a Foreign Company
   - Branch of a UAE-based Company
   - Branch of a GCC-based Company
   - Intelaq(Home-based business for UAE Nationals)
   - SME License

 3) 회사 상호 선정

회사 설립을 위해서는 먼저 상호를 정해 해당 에미리트의 경제개발부에 등록해야 하며, 이미 활동중인 상호나 정부 프로젝트, 정부기관의 이름을 사용해서는 안된다.

 4) 초기 승인

초기 승인 인증서는 경제개발부에서 신청자의 사업을 시작하는 데 있어 이의를 제기하지 않으며, 면허 취득을 위한 단계로 넘어가기 위한 문서이다.

 5) 파트너 / 서비스 에이전트 계약

기존 법령에 따르면 회사 유형에 따라 파트너 또는 서비스 에이전트와의 계약에 서명해야 한다. 하지만 2020년 11월 개정법에 따라 2021년 4월 1일부터는 정부 소유의 회사를 제외하고는 에이전트 선임이 불필요하게 됐다.

 6) 사무실 임차

본격적인 사업 허가를 받기 직전에 사무실 임차 계약서에 서명하고 전입 신고증을 발급받아야 한다.

 7) 별도 사업 허가증 취득(해당 시)

별도의 인허가가 필요한 업종일 경우 각각의 관할청 및 관할부서에서 사업 허가 승인이 필요하다. 단, General Trading(다양한 제품군을 전문으로 하는 일종의 무역 상사)의 경우에는 업종별 인허가 발급이 필요가 없으나, 추가 요금을 부과해야 한다.

 8) 수수료 납부

지급증명서나 거래번호를 부여받을 시 30일 이내에 지불해야 사업자 면허를 발급받을 수 있다.

지사

외국 회사의 지사는 모기업 일부로서 별도의 법적 정체성을 가지지 않아 독립적인 법인격이 없다. 즉, UAE 내에서 별도 영리활동이 제한되지만, 전문 분야 및 일부 제조업, 상업 분야 면허 취득과 활동은 가능하다.

1) 개요

  ㅇ 책임: 모기업이 지사의 책임을 진다.
  ㅇ 경영관리: 외국인이 관리자가 될 수 있으며 해당 회사 업무를 관리하는 데 전권을 수행할 수 있다.
  ㅇ 최소자본금: 업종별, 에미리트 별 상이
  ㅇ 특이사항: 지사 설립 시 UAE 경제부(Ministry of Economy)에 필수로 등록해야 한다.

2) 등록 절차

법인 등록 절차와 동일하나, 지사의 경우 법인, 연락사무소와 다르게 발급받은 사업자 면허를 연방 경제부(Ministry of Economy)에 별도로 등록해야 한다. 단, 프리존 지사는 해당하지 않는다.

연락사무소

연락사무소는 해당 모기업의 상호만으로 활동할 수 있고 본사의 마케팅 및 홍보 등 지원 활동은 가능하나 상행위는 금지된다.

1) 개요

  ㅇ 책임: 모회사에서 연락사무소의 책임을 진다.
  ㅇ 경영관리: 외국인이 관리자가 될 수 있으며 해당 회사 업무를 관리하는데 전권을 수행할 수 있다.
  ㅇ 최소자본금: 업종별, 에미리트 별 상이
  ㅇ 특이사항: 단순 연락 및 홍보활동만 가능해 지사보다 업무에 있어서 제한적이다.

2) 등록 절차

법인 등록 절차와 동일하다.

최종수정 : 2023-08-17 08:46

출처 : KOTRA 해외경제정보드림

지식재산권

UAE(United Arab Emirates, 아랍 에미리트)는 중동의 무역과 금융, 문화와 교통의 허브(hub) 역할을 하는 지리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는 국가이다. 지식재산권 보호를 위한 파리협약, WTO 지식재산권에 관한 협정(TRIPS) 등 국제 협약에의 서명국이자 세계 지식재산권 기구 (WIPO) 회원국이다. UAE는 1992년 최초로 지식 재산법을 제정하였고, 2002년 및 2006년 개정을 통해 지식 재산권 보호를 강화하였다. 「특허 및 디자인법」은 특허, 실용신안, 산업 드로잉, 디자인 및 영업 비밀을 보호하고, 지식 재산권자의 권리를 침해하는 발명이나 디자인 등을 몰수하는 등의 가처분에 관한 사항도 규정하고 있다. 상표법의 내용은 대부분 TRIPS 협정에 준거하고 있다.

아울러 우리나라는 2014년 UAE와 ‘특허심사 대행을 위한 지식 재산권 협력 양해각서(MOU)를 맺고 UAE의 특허심사를 대행하고 있다. 이후 심사 품질 우수성을 인정받아 2019년에는 특허심사 수행 범위 확대를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함으로써, 한국이 수행하고 있는 UAE 특허심사 범위를 기존의 신규 심사 중심에서 최종 심사까지 전 영역 확대키로 했다. 이는 특허 행정 한류를 확산함과 동시에 우리 기업의 해외 지식 재산권 확보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1) 산업재산권(UAE 특허, 실용신안 및 산업 디자인)

  (1) UAE 특허, 실용신안 및 산업 디자인의 일반 현황

   ① UAE 법제의 연혁 및 특징

특허법, 실용신안법, 산업디자인법이 별도로 제정된 한국의 경우와 달리 UAE에서는 특허, 실용신안, 산업디자인, 반도체 배치설계, 영업비밀이 산업재산권(Industrial Property)의 범주에 포함되어 하나의 법에 따라 다루어지고 있다. 특허 등에 관한 최초의 UAE 법률은 1992년 연방법 제44호 “특허와 디자인 법(Patent and Designs Law):으로서 화학물질, 약품을 특허로 보호하지 않았고, 2차원 디자인과 3차원 디자인을 각각 산업 도면(Industrial Drawing) 및 산업 디자인(Industrial Design)으로 구분하여 보호하였다. 그러나 UAE가 1996년 4월 10일 자로 WTO에 가입하여 TRIPS(무역 관련 지식재산에 관한 협정)의 규정에 따라 2005년 1월 1일부터 화학물질 및 약품을 특허로 보호할 수 있도록 특허 및 디자인의 처리와 보호에 관한 2002년 연방법 제17호(Federal Law No. 17 of 2002 Pertaining to the Industrial Regulations and Protection of Patents, Industrial Drawings, and Design)가 제정되었다.

2002년 연방법 제17호는 이후 2006년 연방법 제31호에 의해 일부 개정되었으며, 2021년에는 전면적으로 개정된 산업재산권법인 2021년 연방법 제11호(Federal Law No. 11 of 2021 Pertaining to the Regulations and Protection of Industrial Property Rights, 이하 “2021년 산업재산권법”이라고 한다.)가 2021년 12월 1일 자로 발효되었다.

   ② UAE 산업재산권 관할 당국

UAE에서 특허, 실용신안, 산업 디자인을 포함하는 산업재산권 관련 업무는 연방정부의 경제부(Ministry of Economy of UAE Federal Government)에서 담당하고 있다.

  (2) UAE 산업재산권의 출원
UAE에서 산업재산권 출원은 외국 출원인의 경우 UAE 경제부에 등록된 대리인에 의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일반적인 법률 사무소의 경우에는 대부분 산업재산권 업무를 대리할 수 있는 자격이 없고, 대리인 자격이 만료되거나 미등록인 경우에도 수임을 하려는 경우도 있으므로, UAE 내의 대리인을 선임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사항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만약 국내 출원인이 UAE에 거주 자격을 가지고 주소지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대리인 없이 직접 출원 절차를 밟을 수도 있다.

   ① 출원인의 자격
2021년 산업재산권법 제8조 제2항에서는 특허를 받을 수 있는 사람은 발명자 및 그 정당한 승계인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제8조 제4사항은 공동 발명의 경우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는 공유로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공동 발명 또는 디자인의 경우에는 발명자 또는 디자이너 전원이 공동 출원하여야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권리 양도증을 통해 권리의 이전을 증명하여야 한다.

   ② 특허/실용신안 출원에 필요한 서류

  ㅇ 출원 시 반드시 제출해야 하는 서류
    - 발명의 설명(영어 또는 아랍어로 작성하되 특별히 요구되는 양식은 없으므로 종래의 기술, 발명의 설명, 실시예 등을 자유롭게 기재 가능)
    - 도면(영어 및 아랍어, 도면이 포함된 경우)
    - 유전자 서열목록(유전자 관련 발명의 경우, WIPO에서 규정하는 양식(ST25 등)에 따라서 작성)

  ㅇ 출원 후 경제부의 안내에 따라 제출해도 되는 서류
    - 초록(영어 및 아랍어)
    - 청구항(영어 및 아랍어)
    - 명세서 및 도면의 번역문(영어 또는 아랍어 번역 누락 시)
    - 기탁 증명서(미생물 발명 출원 시)
    - 대리권증명서
    - 우선권 주장 서류(우선권 주장이 있는 경우)
    - 발명 양도 증명(발명자와 출원인이 다른 경우)
    - 법인등록증(회사 및 단체일 경우)

  ㅇ 필요한 경우에만 제출하면 되는 서류
    - 공지 예외(Grace Period) 주장에 따른 증명 서류
    - PCT 시행규칙 제49.6조에 따른 선언서
    - 외국특허청에서 등록받은 청구항과 동일하다는 선언서

UAE 경제부에 특허 또는 실용신안을 출원하는 경우에 필요한 서류는 상기 리스트와 같다. UAE의 공용어는 아랍어이지만 특허 및 실용신안에 관한 실무는 대부분 영어로 이루어지고 있어 명세서 등을 영어와 아랍어 모두 제출하도록 하고 있다. 영어와 아랍어 서류의 내용은 동일하여야 하며 만약 영어와 아랍어 서류의 내용이 다른 경우에는 거절 또는 무효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다) 산업디자인 출원에 필요한 서류

  ㅇ 출원 시 반드시 제출해야 하는 서류
    - 도면(색깔이 디자인의 구성 요소인 경우에는 색깔이 디자인의 요소에 포함된다는 사항을 명시해야 함)

  ㅇ 출원 후 경제부의 안내에 따라 제출해도 되는 서류
    - 도면의 설명(영어 및 아랍어)
    - 대리권 증명서(Power of Attorney)
    - 우선권 주장 서류(우선권 주장이 있는 경우)
    - 디자인양도 증명(디자이너와 출원인이 다른 경우)
    - 법인 등록증(회사 및 단체일 경우)

  ㅇ 필요한 경우에만 제출하면 되는 서류
    - 공지 예외(Grace Period) 주장에 따른 증명 서류

UAE 경제부에 산업 디자인 출원을 하는 경우에 필요한 서류는 상기 리스트와 같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색깔이 디자인의 요소인 경우에는 명확하게 색깔을 디자인의 요소로 포함한다는 점을 명시하여야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디자인은 컬러 도면으로 제출되었더라도 흑백으로 출원된 것으로 해석되게 된다는 점이다.


2) 상표

  (1) UAE 상표의 일반 현황

   ① UAE 상표 법제의 연혁 및 특징

상표법 제1조에 그 목적을 명시하고 있는 한국의 경우와 달리 UAE 상표법에는 목적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일반적으로 상표 사용에 의하여 축적된 업무상의 신용을 보호하고 무권리자가 무단으로 편승하는 것을 방지하여 수요자의 이익을 보호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표권의 존속기간은 설정등록일로부터 10년으로 하는 한국과 달리 UAE에서 상표권의 보호기간은 출원일로부터 10년이며, 존속기간의 만료 마지막 해에 갱신 출원(Renewal Application)을 출원함으로써 10년씩 갱신할 수 있다.

UAE는 1992년 9월에 상표에 관한 연방법 제37호(Federal Law No. 37 of 1992 in Relation to Trademarks)를 제정하고, 3개월 후인 1993년 1월부터 이를 시행하였으며, 또한 1993년 시행규칙 제6호(Ministerial Decree No. 6 of 1993 concerning the Implementing Regulations for Federal Law No. 37 of 1992 in Relation to Trademarks)를 제정하여 상표 등록에 관한 절차 등을 규정하고 있다. UAE 상표법은 이후 2000년 연방법 제19호에 의해 일부 개정되었고, 1996년에 WTO에 가입함으로써 TRIPS에 의한 의무 사항을 반영하고 상표권자의 보호 범위를 확대하고자 2002년 연방법 제8호(이하 “2002년 상표법”이라 한다)에 의해 개정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한편, UAE는 최근 2021년 9월 28일 자로 마드리드 의정서에 가입하였으며, 동 의정서는 2021년 12월 28일 자로 그 효력이 발효됐다. 따라서 UAE 경제부는 마드리드 시스템과 관련된 본국 관청의 역할과 절차, 국제사무국과의 연락 또는 지정관청의 역할과 절차 등을 포함한 상표법 개정안을 준비하고 있으며, 개정 상표법은 마드리드 의정서가 발효되는 시점에 시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② UAE 상표의 관할 당국

UAE에서 상표의 출원, 심사, 등록 및 이의신청을 포함하는 상표 관련 업무는 연방정부의 경제부(Ministry of Economy of UAE Federal Government)에서 담당하고 있다. 각 지방정부(Emirati)에는 상표 관련 집행 업무를 담당하는 경제부서(Economic Department)와 세관(Customs) 등의 행정 조직을 두고 있다.

  (2) UAE 상표의 출원

현재 UAE에서 상표 출원은 기본적으로 모두 인터넷을 통해서 전자적으로만 이루어지고 있다. UAE 경제부 e-Service 사이트를 이용하여 출원, 서류제출, 등록증 발급, 수수료 납부, 이의신청 등의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한국 출원인이 UAE 거주 자격을 가지고 있는 경우라면, 거주 증명서류를 첨부하여 e-Service 아이디를 발급받은 후 e-Service 사이트를 이용하면 직접 출원할 수도 있다.

   ① 상표 출원인 적격

2002년 상표법 제6조에 상표 등록을 받을 수 있는 자는 1) 상업, 공업, 수공업 또는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UAE 국민 또는 법인, 2) UAE에서 상업, 공업, 수공업 또는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외국인 또는 외국 법인, 3) UAE에서 상호주의의 대우를 인정하는 국가에서 상업, 공업, 수공업 또는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외국인 또는 외국 법인, 또는 4) 법인격을 갖는 정부 기관과 같은 공공법인으로 되어 있다.

   ② 상표 출원에 필요한 서류

UAE 경제부에 상표를 출원하는 경우 아랍어 출원서 외에 상표의 사본, 출원인의 신분 증명 서류 및 위임장 등을 제출하여야 한다. 출원서에는 출원인의 명칭, 주소, 국적, 등록받고자 하는 상표 및 등록받고자 하는 상품/서비스에 대한 설명 등을 기재하여야 한다.

  ㅇ 출원 시 제출해야 하는 서류
    - 상표/서비스표 이미지
    - 대리인 위임장
    - 신분증(개인 출원 시) / 법인등록증(법인 출원 시) 사본
    - 다른 국가에 등록된 상표의 사본

최종수정 : 2023-05-17 01:14

출처 : KOTRA 해외경제정보드림

투자컨설팅

딜로이트 (Deloitte & Touche LLP)

딜로이트 (Deloitte & Touche LLP)
전화번호+971 4-506-4700 주소Level 5, Building 1, Al Fattan Currency House, DIFC, Dubai, UAE
홈페이지https://www2.deloitte.com/ae/en.html 이메일joowlee@deloitte.com
한국인 변호사 유무(이주환 회계사(Lee, Joo Hwan))
비고회계, 세무, 컨설팅 서비스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
전화번호+971 4-373-9768 주소Level 8, Building 4, Emaar Square, Dubai, UAE
홈페이지https://www.pwc.com/m1/en.html 이메일kwanjung.yoon@pwc.com
한국인 변호사 유무(윤관중 회계사(Yoon, Kwan Jung))
비고회계, 세무 서비스

Ernst & Young(EY)

Ernst & Young(EY)
전화번호+971 4-332-4000 주소Al Saqr Business Tower, 28th Floor, Sheikh Zayed Road, P.O.Box 9267, Dubai, UAE
홈페이지https://www.ey.com/en_gl 이메일joobyung.park@ae.ey.com
한국인 변호사 유무(박주병 회계사(Park, Joobyung))
비고회계, 세무 서비스

중동아프리카법률사무소(MEA Law Firm)

중동아프리카법률사무소(MEA Law Firm)
전화번호+971 4-422-1944 주소Al Saaha Office Block D, 4F, Downtown Dubai, UAE
홈페이지https://www.mealawfirm.com/ 이메일hyejin.nam@mealawfirm.com
한국인 변호사 유무(남혜진 변호사(Nam, Hyejin))
비고법률서비스

법무법인(유한)태평양두바이사무소(Bae, Kim& Lee LLC)

법무법인(유한)태평양두바이사무소(Bae, Kim& Lee LLC)
전화번호+971 4-289-2159 주소Office 3, Level 8, Gate Village Building 10, DIFC, P.O.Box 121208, Dubai, UAE
홈페이지http://www.bkl.co.kr 이메일jiyoung.bae@bkl.co.kr
한국인 변호사 유무(배지영 변호사(Bae, Jiyong)))
비고법률서비스

알타미미(Al Tamimi & Co.)

알타미미(Al Tamimi & Co.)
전화번호+971 2-813-0457 주소Al Sila Tower, 26th Fl.., Abu Dhabi Global Market Square, Al Maryah Island, Abu Dhabi UAE
홈페이지https://www.tamimi.com/ 이메일h.song@tamimi.com
한국인 변호사 유무(송형민 변호사(Song, Hyeongmin))
비고법률서비스

스티븐슨 하우드(Stephenson Harwood)

스티븐슨 하우드(Stephenson Harwood)
전화번호+971 4-407-3992 주소Level 13, Burj Daman, Happiness Street, DIFC, Dubai, UAE
홈페이지http://www.shlegal.com/offices/dubai 이메일jongsuk.kim@shlegal.com
한국인 변호사 유무(김종석 변호사(Kim, Jongsuk))
비고법률서비스

원지(ONE GE)

원지(ONE GE)
전화번호+971 55 517 5991 주소Office No. 516, Burlington Tower, Business Bay, Dubai, UAE
홈페이지https://www.onegeanc.com/ 이메일david@onegeme.com
한국인 변호사 유무(전대훈 대표(David Dae Hoon Jeon))
비고회계, 세무, 기업경영 자문

출처 : KOTRA 해외경제정보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