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 | 영국 | 장르 | 방송, 게임, 캐릭터, 만화, 애니메이션, 패션, 음악, 스타트업, 신기술 융합콘텐츠, 기타, 스토리 |
|---|---|---|---|
| 기관 | (-) | 구분 | 기타 |
| 제정일 | (-) | 개정일 | (-) |
상표 등록의 투명성과 정당성에 관한 분쟁사례 및 시사점
영국 Sky vs Skykick 분쟁사례
1. 소송의 개요
Sky는 2016. 5. 23. 자사의 "SKY" 상표를 기반으로 SkyKick의 이메일 마이그레이션 및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가
상표권을 침해했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함.
본 사건은 Brexit 이전에 시작되었기 때문에, 영국 법원은 EU 상표와 관련된 사건에 대해 여전히 관할권을 행사할 수 있음
2. 주요 쟁점
1) 상표권 침해
Sky는 SkyKick이 "Sky" 상표를 사용함으로써 소비자들에게 혼란을 초래하고, Sky의 브랜드 가치를 훼손했다고 주장함.
SkyKick은 이를 부인하며, Sky의 상표 등록이 지나치게 광범위하고 특정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해 실제로 사용되지
않았다고 반박.
2) 악의적 상표 등록 (Bad Faith)
SkyKick은 Sky가 상표를 등록할 당시 일부 상품 및 서비스(예: "채찍" 및 "표백제")에 대해 실제로 사용할 의도가 없었으며,
경쟁사를 방해하거나 부당한 이익을 얻기 위해 상표를 등록했다고 주장함. 이는 상표법상 "악의적 등록"에 해당한다고
보았음.
3. 소송의 경과
2024년 11월, 영국 대법원은 Sky의 상표 등록이 일부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해 악의적으로 이루어졌다고 판결했는데,
특히 Sky가 상표를 실제로 사용할 의도가 없었던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해 등록을 진행한 점이 악의적 의도라고 간주하였음.
반면, Skykick의 클라우드 백업 서비스는 Sky의 상표를 침해한 것으로 판결되었으나,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서비스는
침해로 간주되지 않았음.
4. 한국 기업에 대한 시사점
Sky vs. SkyKick 사건은 상표법의 악용을 방지하고, 상표 등록의 정당성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
이 사건은 기업이 상표 등록 시 신중하게 접근해야 하며, 상표법의 목적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상표를 활용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음.
또한, 이번 판결은 글로벌 기업이 상표 등록 및 관리에서 투명성과 정당성을 유지해야 하는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였음.
1) 상표 등록의 신중함
이번 판결은 상표 등록 시 실제로 사용할 의도가 없는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해 상표를 등록하는 것이 악의적 행위로 간주될 수
있음을 보여주기에, 향후 기업은 상표 등록 시 구체적이고 정당한 상업적 목적을 명확히 해야 할 필요가 있음
2) 상표법의 악용 방지
영국 대법원은 상표법이 경쟁을 왜곡하거나 부당한 이익을 얻기 위해 악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엄격한 기준을 적용했음.
이는 대규모 기업이 경쟁사를 방해하기 위해 광범위한 상표를 등록하는 관행에 제동을 거는 중요한 선례가 될 것임.
※ 자세한 내용은 첨부(PDF)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