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 | 미국 | 장르 | 방송, 게임, 캐릭터, 만화, 애니메이션, 패션, 음악, 스타트업, 신기술 융합콘텐츠, 기타, 스토리 |
|---|---|---|---|
| 기관 | (-) | 구분 | 기타 |
| 제정일 | (-) | 개정일 | (-) |
데이터 접근권과 반독점 간 관계에 대한 분쟁사례 및 시사점
미국 SAP vs Celonis 소송
1. 소송의 개요
2025년 3월 13일, 프로세스 마이닝 전문 기업 Celonis는 SAP가 시장 지배력을 남용하여 자사 ERP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제한하고, 경쟁사인 Celonis의 접근을 방해했다고 주장며 미국 캘리포니아 북부 연방법원에 SAP를 상대로 반독점 소송을
제기함.
2. 주요 쟁점
1) 데이터 접근 제한
Celonis는 SAP가 경쟁사를 배제하려는 의도로 ERP 시스템 데이터를 서드파티 소프트웨어와 공유할 때 과도한 수수료를
부과하거나, 데이터 접근을 제한했다고 주장함. 또한 SAP가 2021년 독일 프로세스 마이닝 업체 Signavio를 인수한 후,
자사 솔루션을 고객들에게 강요, 경쟁사 솔루션 사용을 어렵게 만들었다으며, 특히, Signavio를 무료 또는 저비용으로
제공하며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려 했다고 주장함.
2) 반독점법 위반
Celonis는 SAP가 서드파티 데이터 추출 도구를 사용할 경우 높은 수수료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하였으며,
Signavio를 무료로 제공하거나, 시험 기간 동안 낮은 비용으로 제공하여 경쟁사 제품의 시장 점유율을 잠식,
Celonis와 같은 비SAP 솔루션 사용의 위험성을 과장하고, Signavio의 기능을 과대 홍보하는 등과 같은 반경쟁적 전략을
사용했다고 주장함.
3. 소송의 경과
1) 소송 제기 및 초기 대응
(소송 제기) Celonis는 61페이지 분량의 기소장을 제출하며, SAP의 반경쟁적 행위로 인해 자사 비즈니스가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고 주장.
(SAP의 대응) SAP는 Celonis의 주장을 부인하며, 소송에 대한 공식적인 언급을 자제하고 있는 상황.
SAP는 자사의 ERP 시스템이 개방적이며, 경쟁사와의 협력을 방해하지 않았다고 주장.
2) 법적 쟁점
(간접 사용 라이선스 논란) 과거 SAP는 서드파티 소프트웨어가 ERP 데이터를 간접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높은 수수료를
부과해 논란이 된 바 있는데, 이번 소송에서도 유사한 데이터 접근 제한 문제가 핵심 쟁점으로 부각되었음.
(반독점법 적용 여부) Celonis는 SAP의 행위가 시장 경쟁을 저해하며, 고객 선택권을 제한한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법원은 SAP의 데이터 접근 제한이 반독점법 위반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짐.
4. 한국 기업에 대한 시사점
1) 데이터 접근 제한과 반독점 규제
이번 소송은 ERP 시스템 데이터를 둘러싼 접근 제한이 반독점법 위반으로 간주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데이터 중심 비즈니스 모델을 운영하는 기업들에게 중요한 선례가 될 것으로 전망됨.
또한 SAP와 같은 대형 ERP 제공업체가 자사 솔루션을 우대하고 경쟁사를 배제하려는 시도는 서드파티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경고하고 있음.
2) 글로벌 반독점 규제 강화 움직임
미국과 유럽의 공정거래나 반독점 당국은 소프트웨어 및 클라우드 시장에서 대형 기업의 반경쟁적 행위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SAP와 Celonis 간의 소송이 이러한 규제 강화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해석되고 있음. 따라서 글로벌 시장에서 활동하는 기술 기업들은 반독점 규제에 대비해 데이터 접근 정책과 생태계 전략의
재검토 필요성이 높아졌음.
※ 자세한 내용은 첨부(PDF)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