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 관광 도시 믈라카(Melaka)에서 본 한류의 일상화
2025-08-27주요내용
말레이시아 대표 관광지인 믈라카(Melaka)에서는 노점부터 고급 쇼핑몰까지 다양한 한식을 만나볼 수 있다. 꾸준히 늘어나는 믈라카 방문객 수와 함께 지역 내 한식의 인기도 빠르게 확산되며 한류가 믈라카 문화의 한 부분으로 자연스럽게 자리 잡고 있는 모습이다. 특히 지난 6월에는 믈라카 마코타 쇼핑몰에서 최초의 한류 행사가 열려 믈라카가 한류 관련 잠재력과 다양한 협업 가능성이 높은 도시임을 보여주었다.

< 말레이시아 대표 관광 도시 믈라카 - 출처: 통신원 촬영 >
믈라카는 오랜 역사와 문화를 품은 지역으로 '말레이시아 역사의 발상지'로 불린다. 2008년에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돼 매년 전 세계 관광객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믈라카 관광 및 문화예술유산부에 따르면 2024년 1월부터 11월까지 믈라카를 방문한 관광객 수는 총 1,358만 4,042명이며 그중 외국인은 약 300만 명으로 방문객 4명 중 1명꼴이다. 이들은 밤이 되면 야시장으로 유명한 존커 거리(Jonker Walk)에 모여 다양한 길거리 음식을 즐긴다. 통신원이 찾은 존커 거리에는 한국에서 유행한 길거리 음식부터 현지에서 재해석한 다양한 메뉴까지 즐비했다. 예를 들어 경주 십원빵과 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 게임>으로 다시 주목받은 달고나, 그리고 한국식 치킨과 핫도그 등을 찾아볼 수 있었다.




< 믈라카 관광지에서 보는 한국 먹거리와 주류 - 출처: 통신원 촬영 >
한류는 관광객들이 모이는 존커 거리 야시장뿐만 아니라 인근 주점에서도 찾아볼 수 있었다. 야시장에서 길거리 음식을 즐긴 관광객들은 믈라카강(Sungai Melaka) 양옆에 자리한 주점에서 시원한 맥주로 갈증을 달랜다. 일부 주점은 소주(Soju)와 소맥타워(Soju Beer Tower)를 판매하며 분위기를 더하고 있었다. 관광객이 아닌 현지인을 위한 공간에서도 한식당은 쉽게 찾을 수 있다. 믈라카 말레이시아 멀티미디어 대학교(MMU) 인근에는 대학생들의 입맛을 사로잡은 한식당들이 자리하고 있다. 한 식당에서는 제육볶음 도시락(Spicy Sauce Pork Dosirak Set), 닭갈비 볶음밥(Dakgalbi Fried Rice), 크림마요 치킨(Creamy Mayo Fried Chicken) 등을 판매하며 인기를 끌고 있다. 또 다른 식당에서는 닭갈비, 피자, 떡볶이, 튀김 등을 무제한으로 제공해 저렴한 가격에 푸짐하게 즐길 수 있는 공간을 마련했다. 현장을 둘러보니 연령이나 인구 밀집도에 따라 한류가 각기 다른 모습으로 스며들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 현지 대학가와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한국 먹거리 - 출처: 통신원 촬영 >
프리미엄 쇼핑몰에서는 분식 전문점부터 고급 한국식 고기구이, 프랜차이즈 한식당까지 다양한 K-푸드를 만나볼 수 있다. 2017년 개장한 대형 복합 쇼핑몰 엘리멘트X 몰(ElementX Mall)에는 치킨, 떡볶이, 컵밥 등 한국의 분식을 판매하는 '잇 파라다이스(Eat Paradise)'가 입점해 있다. '잇 파라다이스'는 2024년 문을 연 한국 '감동칩스'의 치킨 브랜드로 믈라카 최초의 한국 분식(Korean Snack) 전문매장이기도 하다. 믈라카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다따란 팔라완 메가 몰(Dataran Pahlawan Mega Mall)에는 정성으로 만든 한식 바비큐(BBQ)를 표방하는 고기구이 전문점이 들어서 있다. 1994년 문을 연 믈라카 대표 쇼핑몰 마코타 퍼레이드(Mahkota Parade)에서도 말레이시아 할랄 한식 프랜차이즈 '두부요 미니(Dubuyo Mini)'와 싱가포르에서 시작한 할랄 한식 프랜차이즈 '서울 가든(Seoul Garden)' 같은 할랄 한식 프랜차이즈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 말레이시아 대표 식품기업 마미의 콘셉트 스토어에 진열된 대박라면 - 출처: 통신원 촬영 >
믈라카에서는 현지 한식당뿐만 아니라 한국 신세계푸드와 말레이시아 대표 식품기업 마미더블데커(Mamee-Double Decker)가 합작해 2018년 출시한 '대박라면'도 만나볼 수 있다. 존커 거리에는 마미의 첫 콘셉트 스토어인 '마미 존커 하우스(Mamee Jonker House)'가 자리하고 있으며 이곳에서는 라면과 과자를 비롯한 다양한 상품을 직접 만들거나 구매할 수 있다. 이처럼 한류는 믈라카 야시장과 대학가, 프리미엄 쇼핑몰, 그리고 글로벌 식품 브랜드와의 협업에 이르기까지 다층적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관광객과 현지인을 아우르면서 일상 속에 자연스럽게 스며든 문화로 자리 잡았다. 이처럼 하나의 국가 안에서도 도시별로 서로 다른 한류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믈라카와는 또 다른 도시적 특성을 지닌 지역에서 한류가 현지인의 일상과 식문화 속에 어떻게 다르게 뿌리내리고 있는지를 비교해 본다면 한류의 또 다른 면모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사진출처 및 참고자료 - 통신원 촬영 - 《Malaysian Franchise Association》 (2023. 6. 15). Chicken Rice And More: The Story Behind Malaysia’s Halal Hainanese Chicken Rice Giant, https://www.mfa.org.my/chicken-rice-and-more-the-story-behind-malaysias-halal-hainanese-chicken-rice-giant/ - 《Astro Awani》 (2024. 12. 27). VMY2024 attracts over 13 million tourists as of November – Exco, https://international.astroawani.com/malaysia-news/vmy2024-attracts-over-13-million-tourists-november-exco-502249 - 엘리멘트X 몰(ElementX Mall) 페이스북 계정(@Elements Mall), https://www.facebook.com/elementsmallmelaka/ - 잇 파라다이스(Eat Paradise) 인스타그램 계정(@eatparadise_official), https://www.instagram.com/eatparadise_official/
통신원 정보
성명 : 홍성아[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말레이시아/쿠알라룸푸르 통신원] 약력 : USM(Universiti Sains Malaysia) 전략적 인적자원관리(SHRM) 박사과정
- 해당장르 :
- 일반
- 해당국가 :
- Malay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