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KNOCK 2025 in Singapore 참가기업 모집공고
FI 유형 |
---|
지분/프로젝트 투자, 조인트벤처, 공동펀드, M&A 등 |
구분 | 파트너스 회사명 | 소개 | 선호분야 |
---|---|---|---|
VC | Goldfinch | 영국 런던에 본사를 둔 미디어·엔터테인먼트 전문 투자사로, 영화, TV, 애니메이션, 게임, 팟캐스트 등 다양한 콘텐츠 포맷을 대상으로 금융 솔루션과 기업/프로젝트 투자 진행 | 엔터테인멘트, Web3, 마케팅 연계 콘텐츠 |
Korelya Capital | 파리, 런던, 서울, 싱가포르 사무소를 보유한 글로벌 벤처캐피탈사로 다양한 아시아 기술 생태계에 있는 기업 네트워크 대상 투자 진행 | 게임, 온라인미디어, AI | |
Altara Ventures |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기술 기반 벤처 캐피탈 회사로 동남아시아의 경제 및 사회구조를 혁신할 수 있는 다양한 분야에 투자 | 소비재(이커머스, 쇼셜앱), 핀테크, 교육 등 |
① 투자유치 역량강화 | → | ② IR 피칭(콘테스트) | → | ③ 기타지원 |
---|---|---|---|---|
|
|
|
제출파일 | 파일구성 | 비고 |
---|---|---|
1. 기업명_필수서류.zip |
|
해당 파일을 압축하여 제출 |
2. 기업명_추가 소개자료.zip |
|
해당 파일을 압축하여 제출 |
참가기업 모집 | → | 서면평가 | → | 발표평가 | → | 최종확정/파트너사 매칭 및 결과통보 |
---|---|---|---|---|---|---|
7. 18. ∼ 8. 1. | 8월 2주 | 8. 11. 예정 | 8월 3주 |
지표명 | 기준 | 세부내용 | 배점 |
---|---|---|---|
비즈니스 혁신성 (20) |
비즈니스 독창성 및 차별성 | ‧ 핵심 콘텐츠/기술/서비스의 혁신성 및 독자성 ‧ 경쟁사 대비 우위점 |
5 |
비즈니스 완성도 및 검증 | ‧ 콘텐츠/기술/서비스 개발 단계(PoC, 베타, 상용화) ‧ 핵심 기능 구현 및 안정성 검증 결과 |
10 | |
확장성 및 적용범위 | ‧ 다양한 콘텐츠/플랫폼/상품으로의 확장 가능성 ‧ 글로벌 시장에서의 적용 사례 |
5 | |
시장 잠재력 (25) |
목표 시장 분석 | ‧ 타겟 시장 규모 및 성장성, 현지 경쟁사 분석 ‧ 시장 진입 전략 및 차별화 포인트 |
10 |
BM 구체성 | ‧ 수익 모델 명확성 및 실현 가능성 ‧ 초기고객 확보 및 확보 전략 |
10 | |
현지화 전략 | ‧ 현지 시장 특성 반영 정도 ‧ 현지 규제 및 문화적/기술적 장벽 해소 전략 |
5 | |
실행역량 (20) |
핵심인력 전문성 | ‧ 관련 비즈니스 분야 경험 (제작, 개발, 상용화 등) ‧ 현지어 커뮤니케이션 가능 인력 |
5 |
자원확보 및 활용 | ‧ 개발/디자인/마케팅 등 자원 확보 현황 ‧ 외부 자원 활용 효율성 |
5 | |
실행계획 구체성 | ‧ 비즈니스 로드맵 및 마일스톤 명확성 ‧ 목표 달성을 위한 액션 플랜 및 리스크 관리 방안 |
10 | |
투자매력도 (15) |
사업 진척도 및 예상 매출액 |
‧ 사업 진척도와 현재까지의 달성 성과 ‧ 국내외 매출/영업이익 실적 및 전망 ‧ 부가사업 매출/영업이익 전망 |
10 |
투자유치 이력 및 준비도 |
‧ 국내외 기존 투자유치 실적 및 투자유치 계획 ‧ IR자료 준비 및 역량 |
5 | |
글로벌역량 (10) |
해외 진출 준비도 | ‧ 해외 진출 사업 경험 횟수 및 성과 ‧ 해외 진출 계획 |
10 |
바우처 활용 (10) |
바우처 활용 준비도 | ‧ 바우처 신청내용 싱가포르 투자유치 필요성 ‧ 신청내용의 명확성, 타당성, 구체성 ‧ 바우처 활용을 통한 현지진출, 투자 등 실질성과 정도 |
10 |
가점 (3) | 콘진원 사업 선정 또는 수상 기업 (1분야 해당도 반영) |
‧ 2025년 콘텐츠분야 <혁신 프리미어 1,000> 선정기업 ‧ 2022~2024년 KNOCK 정규라운드 데모데이 1-3순위 수상 |
3 |
합계 | 103 |
지표명 | 기준 | 세부내용 | 배점 |
---|---|---|---|
비즈니스 혁신성 (20) |
비즈니스 독창성 및 차별성 | ‧ 핵심 콘텐츠/기술/서비스의 혁신성 및 독자성 ‧ 경쟁사 대비 우위점 |
5 |
비즈니스 완성도 및 검증 | ‧ 콘텐츠/기술/서비스 개발 단계(PoC, 베타, 상용화) ‧ 핵심 기능 구현 및 안정성 검증 결과 |
10 | |
확장성 및 적용범위 | ‧ 다양한 콘텐츠/플랫폼/상품으로의 확장 가능성 ‧ 글로벌 시장에서의 적용 사례 |
5 | |
시장 잠재력 (25) |
목표 시장 분석 | ‧ 타겟 시장 규모 및 성장성, 현지 경쟁사 분석 ‧ 시장 진입 전략 및 차별화 포인트 |
10 |
BM 구체성 | ‧ 수익 모델 명확성 및 실현 가능성 ‧ 초기고객 확보 및 확보 전략 |
10 | |
현지화 전략 | ‧ 현지 시장 특성 반영 정도 ‧ 현지 규제 및 문화적/기술적 장벽 해소 전략 |
5 | |
실행역량 (20) |
핵심인력 전문성 | ‧ 관련 비즈니스 분야 경험 (제작, 개발, 상용화 등) ‧ 현지어 커뮤니케이션 가능 인력 |
5 |
자원확보 및 활용 | ‧ 개발/디자인/마케팅 등 자원 확보 현황 ‧ 외부 자원 활용 효율성 |
5 | |
실행계획 구체성 | ‧ 비즈니스 로드맵 및 마일스톤 명확성 ‧ 목표 달성을 위한 액션 플랜 및 리스크 관리 방안 |
10 | |
투자매력도 (20) |
예상 매출액 | ‧ 국내외 매출/영업이익 실적 및 전망 ‧ 부가사업 매출/영업이익 전망 |
15 |
투자유치 이력 및 준비도 |
‧ 국내외 기존 투자유치 실적 및 투자유치 계획 ‧ IR자료 준비 및 역량 |
5 | |
글로벌역량 (15) |
해외 진출 준비도 | ‧ 해외 진출 사업 경험 횟수 및 성과 ‧ 해외 진출계획 ‧ 영어 및 제2외국어 능숙 참여인력 보유 ‧ 대표(C레벨, 본부장급 이상)의 참여 여부 및 성실도 |
15 |
합계 | 1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