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보도자료]‘2025년 상반기 콘텐츠 사업체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률 20.0%’ 콘진원, 콘텐츠산업 인공지능 활용 동향 결과 발표

2025-10-01 한국콘텐츠진흥원

주요내용

‘2025년 상반기 콘텐츠 사업체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률 20.0%’
콘진원, 콘텐츠산업 인공지능 활용 동향 결과 발표

- 2024년 하반기 대비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 7.1%p 상승, 2025년 상반기 뚜렷한 확산세
- 창·제작 중심의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 동향 및 일자리 변화 분석
- 코카포커스 보고서 통해 생성형 인공지능과 공존하는 콘텐츠산업을 위한 교육·윤리·제도 개선 등 선제적 대응 과제 제언

  • 한국콘텐츠진흥원(원장직무대행 유현석, 이하 콘진원)은 <2025년 2분기 콘텐츠산업 동향분석>과 보고서를 오늘 발간했다.
  • <2025년 2분기 콘텐츠산업 동향분석> 보고서는 국내 콘텐츠 사업체를 대상으로 생성형 인공지능(AI) 활용 실태를 조사한 결과를 담았다. 이어 발간된 < CONTENT with AI : 콘텐츠산업 AI 활용 동향 및 일자리 변화 > 보고서는 산업 현장에서 나타나는 활용 사례와 일자리 구조 변화를 분석하며, 다가올 생성형 인공지능 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산업적 제언을 제시했다.

◆ 게임산업 41.7%, 방송·영상산업 30.8%로 높은 활용률, 콘텐츠 제작·창작 단계 생성형 인공지능 확산

  • 콘텐츠산업에서의 생성형 인공지능(AI) 활용 조사는 총 2,513개 사업체를 대상으로 대면 조사 방식으로 실시됐다. 그 결과, 2025년 상반기 생성형 인공지능(AI) 활용률은 20.0%로, 2024년 하반기 대비 7.1%p 상승했다. 특히 게임 산업과 방송·영상 산업의 활용률은 각각 14.2%p, 26.6%p 증가하며 두드러진 확산세를 보였다.
  • 생성형 인공지능(AI)의 주요 활용 분야는 실제 제작 및 편집 과정을 포함한 ‘콘텐츠 제작’(63.0%)과 초기 아이디어 구상 단계인 ‘콘텐츠 창작’(43.0%)으로 조사됐다. 대부분의 콘텐츠산업에서는 제작 단계가 1순위 활용 영역으로 나타났으나, 만화산업은 관리 업무, 광고산업은 마케팅·홍보 업무를 최우선 활용 분야로 응답해 산업별 차이를 보였다.

◆ 생성형 인공지능 100% 지속 활용 의향, 미경험 기업도 향후 활용 의향 상승

  • 생성형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경험이 있는 사업체 가운데 만화, 음악, 게임, 애니메이션, 방송, 캐릭터, 콘텐츠솔루션산업은 모두(100.0%) 향후에도 계속 활용하겠다고 답했다. 특히 종사자 규모 1~9인의 소규모 사업체 역시 전 기업이 지속 활용 의향을 밝히며 인공지능 도입의 확산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생성형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경험이 없는 사업체의 향후 활용 의향은 2024년 하반기 대비 10.4%p 상승한 27.7%로 조사됐다. 산업별로는 게임산업(58.8%)과 광고산업(51.8%)이 활용 의향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출판산업(4.7%)과 캐릭터산업(4.8%)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 일자리 대체 아닌 과업의 전환, 산업별 맞춤 지원으로 인공지능 시대 선제 대응

  • 코카포커스 보고서는 콘텐츠 창·제작이 산업 내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특성상, 콘텐츠산업의 생성형 인공지능(AI) 의존도가 타 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고 분석했다. 또한, 일자리의 소멸이 아니라 인공지능을 능숙하게 활용하는 인력에 의해 기존 직무가 대체되는 현상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논의했다.
  • 보고서는 생성형 인공지능(AI)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콘텐츠 사업체의 활용 의향이 꾸준히 확대되고 있음을 주목하며, 산업 전반의 도입 장애 요인과 지원 수요를 면밀히 분석해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AI) 인식 개선 및 윤리 교육 강화 ▲전문 인재 양성과 교육 체계 구축 ▲콘텐츠산업별 맞춤형 지원 제도 수립·개선 등 다각도의 지원이 시급하다고 제언했다.
  • 콘진원 유현석 원장직무대행은 “콘텐츠산업에서 인공지능은 창작자와 기업이 새로운 발상을 실현하고 산업 경쟁력을 높이는 도약의 촉매로 작용하고 있다”라며, “앞으로도 콘텐츠산업 현장의 수요를 반영해 생성형 인공지능(AI) 인식 제고, 인재 양성, 제도 개선 등을 위한 정책적 연구와 지원을 강화하겠다”라고 전했다.
  • 콘진원은 2023년부터 콘텐츠산업 생성형 인공지능(AI) 활용 동향을 체계적으로 조사해 왔으며, 단기 현안 보고서인 ‘코카포커스 AI 시리즈’를 통해 산업별 변화 진단과 정책적 대응 방안을 제시하는 데 지속적으로 힘을 쏟고 있다. 금일 발간된 보고서 2종은 콘진원 누리집(www.kocca.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붙임 1. 2025년 2분기 콘텐츠산업 동향분석 실태조사 표지

붙임 1. <2025년 2분기 콘텐츠산업 동향분석 실태조사> 표지

붙임 2. 콘텐츠산업 생성형 AI 활용동향 도표 (1)

붙임 2. <콘텐츠산업 생성형 AI 활용동향> 도표 (1)

붙임 2. 콘텐츠산업 생성형 AI 활용동향 도표 (2)

붙임 2. <콘텐츠산업 생성형 AI 활용동향> 도표 (2)

해당장르 :
게임 / 방송 / 융복합
해당국가 :
전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