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스 기술이 산업 영역은 물론 일상으로 스며드는 속도가 빨라지면서, 정부도 인재 육성과 인프라 구축을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이주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디지털콘텐츠 과장은 26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본보 주최로 열린 ‘메타버스가 가져올 변화와 기업의 대응’ 토론회에 참석해 “민간이 주도하고 정부가 지원하는 협력체계 속에서 메타버스 산업을 성장시키기 위한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고 전했다.
2003년 선보인 가상현실 플랫폼 ‘세컨드라이프’의 유행 당시와 현재를 비교한 이 과장은 “지금은 약 15년 전과 다른 기술 수준을 체감할 수 있다”며 “그간 데이터와 네트워크, 인공지능(AI) 등 4차 산업 핵심기술이 고도화됐고, 아울러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기술 발전도 이뤄졌다”며 “메타버스는 청년 개발자에겐 새로운 기회이자 도전의 영역이 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 과장은 “메타버스 창작자, 개발자, 아티스트들이 성장할 수 있는 아카데미 설립을 고민하고 있고 개발자들도 지역 균형에 맞게 전국적으로 나올 수 있도록 하는 사업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개방형 메타버스 플랫폼 개발과 콘텐츠 제작, 핵심 기술 개발이 ‘한국판 뉴딜 2.0 추진계획’에 신규 과제로 포함됐다. 지난 5월엔 메타버스 공급 및 수요기업, 유관기관 277곳이 참여한 ‘메타버스 얼라이언스’가 출범했다.
메타버스 세계에서 발생하는 범죄 및 도덕 불감증 같은 부작용에 대해서도 정부가 함께 풀어나가겠다는 뜻을 전했다. 이 과장은 “메타버스 세계가 발전하는 과정에선 빛과 그림자가 분명히 존재한다”며 “정부는 메타버스가 사회와 문화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해결하기 위해 고민을 이어갈 것이고, 특히 각계 전문가들과 머리를 맞대 사회적 동의를 얻는 과정을 거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