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한류 콘텐츠의 또 다른 얼굴 K-모바일 게임

2025-08-13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주요내용

  
한국의 모바일 게임이 말레이시아 게임 시장에서 눈에 띄는 성과를 거두며 한류 콘텐츠의 새로운 얼굴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단순한 게임 수출을 넘어 현지 유저들의 취향을 저격하는 콘텐츠와 서비스 운영이 어우러지며 K-게임의 입지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분석 업체 42매터스(42Matters)에 따르면 크래프톤의 대표작인 모바일 슈팅 게임 배틀그라운드 모바일(PUBG MOBILE)이 2025년 2월 기준 말레이시아 모바일 게임 매출 3위에 올랐다. 지난해 11월 사전 등록 당시에는 그라비티의 MMORPG 게임 라그나로크 M: 클래식(Ragnarok M: Classic)이 애플 앱스토어 무료 다운로드 부문 1위를 기록했고, 2022년 출시된 3인칭 액션 슈팅 게임 승리의 여신: 니케(GODDESS OF VICTORY: NIKKE)는 독특한 세계관과 매력적인 캐릭터 디자인을 앞세워 말레이시아에서 꾸준히 인기를 얻고 있다.
025년 2월 말레이시아 모바일 게임 매출 3위를 달성한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 2025년 2월 말레이시아 모바일 게임 매출 3위를 달성한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 출처: 42매터스(42Matters) >

현지 매체 《Free Malaysia Today(프리 말레이시아 투데이)》는 말레이시아 모바일 게임 시장을 분석하며 크래프톤의 배틀그라운드 모바일을 현지 3대 인기 모바일 게임 중 하나로 소개했다. 그러면서 해당 게임의 인기 요인으로 다양한 게임 모드, 사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 캐릭터 커스터마이징 등을 꼽았다.
말레이시아 모바일 게임 시장과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인기 요인을 분석한 현지 매체

< 말레이시아 모바일 게임 시장과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인기 요인을 분석한 현지 매체 - 출처: 'Free Malaysia Today' >

K-모바일 게임의 강점으로는 인기 IP와의 협업을 기반으로 한 맞춤형 마케팅 전략이 꼽힌다. 서로 다른 팬층을 갖춘 IP 간 협업은 기존 유저의 관심을 재유도하고 신규 이용자층의 유입을 촉진하는 데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배틀그라운드 모바일은 지난 5월 31일부터 6월 2일까지 쿠알라룸푸르 선웨이 벨로시티 몰(Sunway Velocity Mall)에서 일본 인기 애니메이션 <진격의 거인>과 협업을 기념한 오프라인 행사를 열어 현지 팬들의 뜨거운 반응을 이끌어냈다. 또한 7월 9일부터는 할리우드 IP <트랜스포머>와 협업으로 전용 게임 모드를 선보이며 콘텐츠 다양성을 더욱 확대했다. 이러한 시도는 게임 내 재미뿐만 아니라 문화 전반으로 확장한 대표적 사례로 볼 수 있다. 말레이시아 게이머들 역시 소셜미디어를 통해 열띤 반응을 보였다. "배틀그라운드와 진격의 거인의 협업이라니 내 지갑 거덜 나겠네.(@ZIQ?)", "빨리 트랜스포머 이벤트를 진행해 주세요. 요즘 콜라보가 없으니 게임이 지루해요.(@syam)” 등 기대감을 드러낸 댓글이 다수 확인됐다.
인기 애니메이션 '진격의 거인'과 협업을 진행한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 인기 애니메이션 '진격의 거인'과 협업을 진행한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 출처: 선웨이 벨로시티 몰 페이스북 계정(@SunwayVelocityMall)>

한편 승리의 여신: 니케는 말레이시아 애니메이션 굿즈샵 '하켄! 스토어(Hakken! Store)'와 협업을 진행해 현지 코스프레 모델을 초청한 특별 행사를 열어 주목받은 바 있다. 이는 게임 IP와 오프라인 문화를 연결한 또 다른 사례다.
말레이시아 코스프레 모델을 초청한 협업 행사

< 말레이시아 코스프레 모델을 초청한 협업 행사 - 출처: 승리의 여신: 니케 말레이시아/싱가포르 페이스북 계정(@nikkemysg) >

한류 IP 역시 K-모바일 게임의 성공을 견인하는 핵심 요인으로 꼽힌다. 특히 모바일 게임 시장에서는 매력적인 한류 IP를 활용해 충성 고객을 비교적 쉽게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더불어 게임 아이템 구매와 한류 콘텐츠 소비에 적극적인 10대, 20대를 중심으로 한류 IP 기반 게임은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다. 이를 잘 보여주는 사례가 넷마블의 RPG 모바일 게임 나 혼자만 레벨업: 어라이즈(Solo Leveling Arise)다. 이 게임은 2024년 3월 인기 웹툰 <나 혼자만 레벨업(SoloLeveling)> IP를 기반으로 출시돼 말레이시아 게이머들의 뜨거운 반응을 얻었다. 현지 게임·애니메이션 전문 매체 《The Magic Rain(더 매직 레인)》은 "게임이 원작 웹툰의 컷신을 활용해 높은 몰입감을 제공한다."며 "원작 팬이라면 플레이할 가치가 있다."고 평가했다.
나 혼자만 레벨업: 어라이즈를 분석한 현지 매체

< 나 혼자만 레벨업: 어라이즈를 분석한 현지 매체 - 출처: 'The Magic Rain' >

이처럼 K-모바일 게임이 말레이시아 게이머들에게 사랑받는 이유는 다양하고 매력적인 콘텐츠와 지적재산권(IP)을 활용한 협업에 있다. 하지만 K-모바일 게임이 말레이시아 게임 시장에서 일방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중국 모바일 게임 역시 공격적인 마케팅과 가볍고 빠르게 즐길 수 있는 게임성으로 강력한 경쟁자로 부상하고 있다. 예를 들어 중국 게임 개발사 문톤(Moonton)의 모바일 AOS 게임 모바일 레전드: 뱅뱅(Mobile Legends: Bang Bang)은 저사양 기기에서도 원활하게 작동되는 경량 구조와 짧은 플레이 타임을 강점으로 내세우며 올해 2월 기준 말레이시아 모바일 게임 시장 매출 1위에 올랐다. 또한 캐주얼 게임인 라스트 워: 서바이벌(Last War: Survival)은 간단한 조작과 과감한 마케팅 전략으로 말레이시아 내 동기간 매출 순위 6위에 올랐다. 

이처럼 말레이시아 시장은 한국과 중국 게임 간 치열한 경쟁 구도가 형성되고 있으며 그 속에서 K-모바일 게임은 상대적으로 MMORPG(다중접속 역할수행게임), 배틀로얄, 슈팅 장르에 편중된 것이 약점으로 지적된다. 이러한 장르 특성상 대규모 접속과 고사양 기기를 요구하기 때문에 일부 게이머들에게는 진입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럼에도 K-모바일 게임은 한류 IP와 글로벌 콘텐츠 등 다양한 문화 콘텐츠와의 융합을 통해 중국 게임과는 차별화된 경쟁력을 보여주고 있다. 단순한 게임성에 머무르지 않고 영화, 애니메이션, 코스프레, 웹툰 등 문화 전반과의 결합을 시도하며 게임을 하나의 종합 콘텐츠 플랫폼으로 확장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특히 이러한 전략은 문화 소비에 익숙한 MZ세대 이용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어 말레이시아 시장에서 K-모바일 게임만의 정체성을 구축하는 데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사진출처 및 참고자료    
- 42매터스(42Matters) 홈페이지,https://42matters.com/top-grossing-mobile-games-malaysia
- 선웨이 벨로시티 몰 페이스북 계정(@SunwayVelocityMall), https://www.facebook.com/SunwayVelocityMall
- 니케 말레이시아/싱가포르 페이스북 계정(@nikkemysg), https://www.facebook.com/nikkemysg
- 말레이시아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틱톡 계정(@pubgmofficialmy), https://www.tiktok.com/@pubgmofficialmy
- 《Gravity》 (2025. 2. 19). Ragnarok M: Classic Has Successfully Launched inSoutheast Asia, https://www.globenewswire.com/news-release/2025/02/19/3028586/0/en/Ragnarok-M-Classic-Has-Successfully-Launched-in-Southeast-Asia.html
- 《IGN SoutheastAsia》 (2025. 3. 19). NCSOFT’sLineage2M Launches In Singapore & Malaysia On May 20, https://sea.ign.com/mmo/227643/news/ncsofts-lineage2m-launches-in-singapore-and-malaysia-on-may-20
- 《Free MalaysiaToday》 (2023. 10. 4). Survey reveals key gaming trends inthe east and west, https://www.freemalaysiatoday.com/category/leisure/2023/10/04/survey-reveals-key-gaming-trends-in-the-east-and-west
- 《The Magic Rain》 (2024. 7. 2). Is It Worth Playing Solo Leveling: Arise? — Game Review, https://themagicrain.com/2024/07/is-it-worth-playing-solo-leveling-arise-game-review/

통신원 정보

성명 : 홍성아[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말레이시아/쿠알라룸푸르 통신원]
약력 : USM(Universiti Sains Malaysia) 전략적 인적자원관리(SHRM) 박사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