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고 제2025-0951호]
2025 콘텐츠 에이펙스(Content Apex) 일본 연수생 모집
한국콘텐츠진흥원은 콘텐츠 산업의 도전·혁신 사례를 체득하고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2025 콘텐츠 에이펙스(Content Apex)일본」해외연수생을 다음과 같이 모집합니다.
구분 | 주요내용 |
---|---|
온라인 접수 | 2025. 8. 4.(월) ~ 8. 21.(목) 14:00 마감 ※ 마감 시간 반드시 준수 ※ 한국콘텐츠아카데미 웹사이트가 아닌 다른 경로(메일, 우편 등) 서류접수 불가 |
▼ | |
연수생 선발 심사 | 2025. 8. 26.(화) 예정 - 제출한 서류를 기반으로 다음 기준으로 선발 예정 ① 연수에 대한 이해도(IP 기반 콘텐츠 비즈니스 혁신의 필요성 및 프로그램 목적 이해) ② 경력 및 직무 적절성(IP 분야 전문성 및 의사결정 권한 보유) ③ 언어능력( 일본어 기반 현지 전문가와의 소통 및 비즈니스 네트워킹 가능자 우대) ④ 글로벌 진출 계획(IP를 활용한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한 글로벌 진출 전략) ⑤ 서류의 충실성(참가의지, 학습목표, 사후 활용 계획의 구체성) - 취소 인원을 고려하여 예비 참가자 대기선발 예정 |
▼ | |
합격자 발표 | 2025. 08. 28.(목) 예정※ 합격자에 한해 개별 통보 |
▼ | |
항공료 납부 및 여권사본 제출 | 2025. 09. 02.(화) 예정 ※ 미등록 시 차순위 예비 참가자에게 기회 양도 |
▼ | |
사전 OT 진행 | 2025. 09. 05.(금) 예정 |
지원서 등 제출 사항 | |||
---|---|---|---|
필수 | 지원서 |
|
구글 폼 양식 작성 |
별첨 |
|
국, 일문 버전 (PDF 각 1부) (zip 파일로 압축하여 첨부) |
|
|
PDF (zip 파일로 압축하여 첨부) |
||
선택 | 별첨 |
|
|
별첨 |
|
PDF (zip 파일로 압축하여 첨부) |
※ 현지 사정 및 효과적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일부 변경될 수 있음
날짜 | 구분 | 내용 | 비고 |
---|---|---|---|
9.15 (월) 1일차 |
출국 | 김포(GMP) 08:40 출발→도쿄(HND) 10:45 도착 | OZ1085 |
입국 | 입국 수속 및 이동 | 대절버스 | |
OT 네트워킹 | [한국콘텐츠진흥원 CKL Tokyo 센터 방문 및 OT진행] | CKL Tokyo | |
전문가 강연 | [한국 콘텐츠 IP의 일본 시장 확산 전략] - 주제: ‘유통, 굿즈, 플랫폼을 아우르는 실전 OSMU 실행 사례’ - 연사: 고영욱, Rocket Staff 대표 |
||
9.16 (화) 2일차 |
전문가 강연 | [글로벌 게임 IP의 문화 적응 전략과 OSMU 확장 가능성] - 주제: ‘로컬라이징을 넘어 퍼블리싱과 미디어로’ - 연사: Shuzo Hayashi, Localization Manager at Active Gaming Media |
Active Gaming Media |
기업 방문 | [방송 콘텐츠 IP의 이종 산업 연계 전략] - 주제: ‘예능·애니메이션 IP의 글로벌 팬덤 전환과 OSMU 확장 사례’ - 연사: Yukiko Hirose, Producer/Deputy Director at Nippon TV(Gyokuro Studio) |
Nippon TV (Gyokuro Studio) |
|
[글로벌 콘텐츠 유통의 데이터 기반 전략] - 주제: ‘AI 시대 일본 콘텐츠의 글로벌 확산과 데이터 드리븐 유통 전략’ - 연사: Yuriko Nakamura, Sales&Licensing, Content Business&Distribution at Nippon TV |
Nippon TV (Content Strategy Studio) |
||
체험 | [방송, 미디어아트, 애니메이션 IP의 팬덤 수익화 현장 체험] -구성: 팀랩, 스기나미 애니메이션 박물관, 후지티비 홍보관 중 방문 예정 |
팀랩, 스기나미 애니메이션 박물관, 후지티비 홍보관 | |
9.17 (수) 3일차 |
기업 방문 | [IP 기반 콘텐츠 기업의 글로벌 확장 전략] - 주제: ‘게임·애니메이션·머천다이징을 아우르는 OSMU 구조와 투자 관점에서의 산업 연계 사례’ - 연사: Natsuhiro Maruyama, CVC Investor at Bandai Namco |
Bandai Namco Entertainment |
전문가 강연 | [글로벌 플랫폼에서의 음악 IP 확장 전략] - 주제: ‘큐레이션, 팬덤, 로컬 콘텐츠를 중심으로 본 일본 음악 시장의 구조와 진출 기회’ - 연사: Edward Sho Sweeney, Music Curation at Amazon Music Japan |
Amazon Music Japan | |
기업 방문 | [애니메이션 기반 모바일 게임의 글로벌 운영 전략] - 주제: ‘팬덤 중심의 콘텐츠 수익화와 OSMU 확장 모델’ - 연사: Junki Kamada, Marketing Specialist at KLab |
KLab | |
9.18 (목) 4일차 |
기업 방문 | [게임을 중심으로 한 캐릭터 IP의 글로벌 확장 전략] - 주제: ‘미디어 믹스를 통한 OSMU 기반 팬덤 형성과 이종 산업 연계 사례’ - 연사: Jonshin Sone, Global Project Manager at Cygames |
Cygames |
기업 방문 | [IP를 중심으로 한 멀티디지털 생태계 전략] - 주제: ‘게임, 스포츠, 콘텐츠 플랫폼을 연결하는 OSMU형 확장 사례’ - 연사: Shota Tanaka, Group Executive at DeNA |
DeNA | |
체험 | [방송, 음악, 애니메이션 IP의 팬덤 수익화 현장 체험] - 구성: NHK홍보관, 타워레코드, Animate 시부야점 현장 체험(60분) |
NHK홍보관, 타워레코드, Animate 시부야점 | |
기업 방문 | [IP 콘텐츠 이종 산업 확장 전략과 콘텐츠 IP 협력 전략] - 주제: 게임, 애니메이션 기반 OSMU 확장 전략 및 IP 콘텐츠 투자 전략 - 연사: Xiaoshuo Zhang, Investment Specialist at MIXI |
MIXI | |
9.19 (금) 5일차 |
기업 방문 | [IP 콘텐츠의 신사업 발굴, 확장 전략 및 콘텐츠 IP 협력 전략] - 주제: ‘Shochiku의 신사업 발굴 및 글로벌 콘텐츠 기업과의 OSMU 협업 사례’ - 연사: Ryosuke Namai, Executive Officer of Shochiku Ventures |
Shochiku |
기업 방문 | [게임 IP의 OSMU 확장 전략] - 주제: ‘모바일 게임에서 엔터테인먼트 생태계로: IP 다각화를 통한 지속가능한 수익 모델 구축’ - 연사: Ryosuke Watanabe(Vp, Licensing Business at Gree Entertainment, Inc.) |
GREE Entertainment | |
성과 발표 | 연수 소감 발표 및 연수생 간 네트워킹 | ||
준비 | 출국 수속 | ||
입국 | 도쿄(HND) 20:05 출발 → 김포(GMP) 22:25 도착 | OZ1035 | |
해산 | 개별 복귀(해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