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신북방권역 심층정보 조사 - 결론 및 시사점

2020-02-19 한국콘텐츠진흥원

주요내용

  • 콘텐츠산업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연구

    목차

    • 7. 결론 및 시사점
      • 7.1. 연구의 배경
        • 7.1.1. 국가 규모
        • 7.1.2. 경제 규모
      • 7.2. 신북방 3개국 디지털 환경 요약 및 시사점
        • 7.2.1. 인터넷 이용자 규모
        • 7.2.2. 스마트폰 보급 현황
        • 7.2.3. 모바일 통신기술
        • 7.2.4. 소셜 미디어 이용 현황
      • 7.3. 신북방 3개국 콘텐츠 비즈니스 환경 요약 및 시사점
        • 7.3.1. 콘텐츠 산업 규모
        • 7.3.2. 콘텐츠 장르별 유통 환경과 콘텐츠 플랫폼
          • 7.3.2.1. 콘텐츠 유통 환경
          • 7.3.2.2. 주요 콘텐츠 플랫폼
      • 7.4. 신북방 3개국 콘텐츠 비즈니스 환경 요약 및 시사점
        • 7.4.1. 국가별 특성과 콘텐츠 산업 환경
          • 7.4.1.1. 러시아
          • 7.4.1.2. 우크라이나
          • 7.4.1.3. 카자흐스탄
        • 7.4.2. 신북방 3개국 진출 전략 시사점
          • 7.4.2.1. 러시아-CIS를 하나의 시장으로 접근
          • 7.4.2.2. ivi.ru, 얀덱스뮤직 등 현지 플랫폼 활용
          • 7.4.2.3. 소셜 미디어 마케팅으로 한류 콘텐츠 인지도 확대
          • 7.4.2.4. 공동제작과 인센티브 제도 활용
      • 7.5. 제언

개요

  • - 문화콘텐츠산업은 미래의 성장산업으로서 국가경제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문화콘텐츠산업은 그 자체뿐만 아니라 연관분야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후광효과로서 타 산업에 많은 직간접 영향을 끼친다. 최근에 BTS가 음원판매만이 아니라 해외에서 연관상품의 판매에도 영향을 끼치고, 해외에서의 한국 이미지 제고로 인한 일반상품의 판매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문화콘텐츠산업이 직간접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제적 효과를 계산하여 보다 정확하게 영향력을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나 지금까지의 연구는 그다지 많지 않고 과거 자료에 기초한 결과가 주를 이룬다. 최근의 자료를 기준으로 한 경제적 파급효과의 계산이 필요하고 나아가서 국가경제에 기여하는 정도를 계산하는 것도 필요하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데이터를 기준으로 문화콘텐츠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계산하고, 국가경제에의 기여도를 계산하는 것이다. 이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문화콘텐츠산업의 범위를 명확히 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4단계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1단계는 기존의 문화콘텐츠로 명명된 12개 산업을 기준으로 하였고, 이어서 2단계에서는 콘텐츠산업의 확장단계라 할 수 있는 패션과 디자인산업 중에서 콘텐츠산업과 연관이 있는 분야를 포함하여 파급효과와 국가경제기여도를 계산하였다. 3단계에서는 콘텐츠가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산업으로서 테마파크, 관광, 이스포츠 등을 포함, 4단계는 콘텐츠가 영향을 미치는 제조업 산업으로서 정보통신 산업(컴퓨터, 휴대폰, 음향기기, 영상기기)과 가정용기기, 자동차 등을 포함하였다.

2019 신북방권역 심층조사 / KOCCA19-77 / 한국콘텐츠진흥원 / 표지이미지 | 2019 해외마켓 분석연구 / KOCCA19-78 / 한국콘텐츠진흥원 / 표지이미지

※ 자세한 내용은 첨부(PDF)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