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K-CON LA 2022로 본 미국 내 K-Pop 현황

2022-10-21 한국콘텐츠진흥원

주요내용

  • 미국 콘텐츠 산업동향 | 2022년 06호 | K-CON LA 2022로 본 미국 내 K-Pop 현황 | KOCCA /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로고 | 표지 이미지
  • 미국 콘텐츠 산업동향

    목차

    • 1. 한류 문화 전파의 선봉장, K-CON
      • 1.1. 콘서트+문화체험의 장으로서의 K-CON LA 2022
      • 1.2. K-CON 10년의 역사와 성과
    • 2. 미국 내 K-Pop 산업의 현황과 시장규모
      • 2.1. 팬덤이 만든 K-Pop 라이브 시장규모
      • 2.2. BTS와 블랙핑크로 본 K-Pop 인지도
    • 3. 정리와 시사점

    개요

    • - 본 보고서는 지난 8월 LA에서 개최된, 10주년을 맞이한 K-CON의 성과를 토대로 글로벌 Z세대를 타깃으로 한 K-Pop의 글로벌 시장 영향력을 조명하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 라이브 음악 시장 변화를 예측해 봄. 팬데믹 기간 케 이콘택트(K-CON; TACT)을 진행하며 노하우를 축적한 CJ ENM이 현장을 찾는 관객뿐 아니라 디지털 관객까지 흡수 하겠다는 야심찬 계획으로 시공간의 제약을 뛰어넘은 새로운 페스티벌 모델을 선보인 것은 대면 콘서트가 재개된 상태에 서도 여전히 라이브 스트리밍 시청을 하겠다는 MZ세대의 소비 트렌드를 제대로 공략했다고 평가됨.

※ 자세한 내용은 첨부(PDF)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