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오징어 게임> 시즌 2 헝가리 반응은?

2025-02-21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주요내용

역시 < 오징어 게임 >이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인 < 오징어 게임 > 시즌 2가 지난 12월 26일 공개된 다음날 헝가리 넷플릭스 TV 프로그램 부문에서 단숨에 1위를 차지했다. 시즌 2에 대한 높은 기대감과 관심이 시즌 공개 전인 12월 23일부터 25일까지 < 오징어 게임 > 시즌 1을 헝가리 넷플릭스 톱 10에 재진입하게 했으며, 이는 시즌 2가 공개 이후 바로 정상을 차지하게 된 배경이다.

OTT 순위 집계 사이트인 플릭스패트롤에 따르면 < 오징어 게임 > 시즌 2는 공개 이틀 만에 전 세계 93개국에서 넷플릭스 TV 프로그램 부문 1위를 기록했다. 헝가리에서도 12월 27일부터 29일까지 1위를 유지하며 글로벌 흥행 대열에 동참하고 있다.

< '오징어 게임' 시즌 2 장면 – 출처: Mafab.hu  >

2021년 < 오징어 게임 > 시즌 1이 46일간 넷플릭스 1위를 기록하며 역사적인 흥행 신기록을 세운 만큼 시즌 2에 대한 전 세계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시즌 1은 공개 이틀 만에 넷플릭스 TV 프로그램 부문 글로벌 톱 10에 진입했고 8일 만에 1위에 올랐다. 반면 시즌 2는 공개 3일 만에 동일 부문에서 1위를 차지하며 새로운 역사를 써 내려가고 있다. 특히 일부 외신의 혹평에도 불구하고 93개국에서 플릭스패트롤 순위 기준인 '토탈 포인트' 만점을 기록하며 향후 반응에 대한 기대를 높이고 있다.

▣ 동유럽 4국과 서유럽 5국에서 < 오징어 게임 >의 순위
(2024년 12월 30일 기준)

 

 

 

국가

12월 23일

12월 24일

12월 25일

12월 26일

12월 27일

12월 28일

12월 29일

동유럽

비세그라드 4국

헝가리

10

10

10

1

1

1

폴란드

8

1

1

1

체코

5

4

6

6

1

1

1

슬로바키아

9

9

10

10

1

1

1

서유럽

영국

1

1

1

프랑스

8

6

6

6

1

1

1

벨기에

10

1

1

1

네덜란드

1

1

1

룩셈부르크

1

1

1

※출처: 플릭스패트롤

유럽 국가별 반응을 살펴보면 동유럽 비셰그라드 4국(헝가리, 폴란드, 체코, 슬로바키아)은 서유럽 국가들보다 < 오징어 게임 > 시즌 2에 대한 높은 기대감을 보였다. 폴란드, 헝가리, 체코, 슬로바키아는 시즌 2 공개 전부터 시즌 1이 넷플릭스 톱 10에 재진입했으나, 서유럽 국가들은 프랑스와 벨기에를 제외하고는 10위권에 진입하지 못했다. 특히 체코가 시즌 공개 전 가장 큰 기대감을 드러냈으며 프랑스, 슬로바키아와 헝가리가 그 뒤를 이었다.

다만 헝가리에서의 < 오징어 게임 > 시즌 2에 대한 리뷰는 그리 긍정적이지 않은 모습이다. 헝가리 내 영상 콘텐츠 플랫폼, 평점 및 시청자 리뷰 제공 사이트인 《mafab》에서는 "첫 번째 시즌만큼 뛰어나진 않았지만 3년이나 기다려야 했던 만큼 기대가 크긴 했다. 하지만 두 번째 시즌은 그 정도로 뛰어나지는 않았다.", "기다림에 지친 시청자들의 기대가 너무 컸다. 시즌 1과 비교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이번 시즌이 첫 번째 시즌의 수준에 도달하지 못했다."는 등 3년을 기다렸던 팬들의 아쉬움이 역력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청자들은 "내년에 개봉할 시즌 3가 벌써 기다려진다."면서 시즌 3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다.

한류는 케이팝에서 시작해 영화 < 기생충 >, 드라마 < 오징어 게임 >, 그리고 한강 작가의 노벨 문학상 수상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적으로 전례 없는 성과를 이루고 있다. 현재 < 오징어 게임 > 시즌 2 공개로 인해 전 세계 이목이 한국 드라마에 집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류의 흥행을 지속하기 위해 각 국가별 한국 콘텐츠의 흥행 요인을 면밀히 분석하고, 각국의 다양한 문화적 배경과 반응을 고려한 전략을 수립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특히 시즌제 드라마의 경우 시즌 공개 이전의 기대감과 이후의 흥행 결과 간의 상관관계를 깊이 있게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양한 국가에서의 흥행은 한국 콘텐츠가 단일한 문화적 맥락이 아니라 각기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시청자들에게도 강력한 공감을 이끌어냈기 때문임을 보여준다. 유럽 대륙을 포함한 각국의 인종, 종교, 정치적 맥락을 고려해 한국 콘텐츠에 대한 반응을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분석하며 한국 문화예술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사진출처 및 참고자료
- 플릭스패트롤(FlixPatrol), https://flixpatrol.com/title/squid-game/
- mafab.hu, https://www.mafab.hu/movies/nyerd-meg-az-eleted-2-evad-655488.html&tab=1, https://www.mafab.hu/movies/nyerd-meg-az-eleted-2-evad-655488.html&tab=3

	

통신원 정보

성명 : 유희정[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헝가리/부다페스트 통신원]
약력 : 『한국 영화 속 주변부 여성과 미시 권력』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