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할랄 와규 시장에서 한국의 나물 반찬 인기

2025-05-21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주요내용

 
최근 말레이시아 할랄 와규 시장에서 한국 반찬이 인기를 끌고 있는 현상이 눈에 띈다. 할랄은 이슬람 율법에 따라 무슬림이 먹고 쓸 수 있는 제품을 총칭하는 용어다. 할랄 와규점은 할랄 인증을 받아 돼지고기를 사용하지 않고, 이슬람 방식으로 도축된 소고기만을 제공하는 곳으로 말레이시아 부유층 무슬림을 중심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한국 반찬을 즐기는 말레이시아 무슬림

< 한국 반찬을 즐기는 말레이시아 무슬림 – 출처: 서울메이트 인스타그램 계정(@seoulmate_kk) >

부유층 무슬림을 중심으로 늘어나는 할랄 와규점에서는 한국 나물 반찬을 함께 제공하고 있다. 냉면, 돌솥비빔밥, 대구탕 등 한국의 전통 요리와 함께 모둠 쌈채소, 김치, 나물 등 한국 나물 반찬을 선보이고 있다. 배추김치, 마김치, 깍두기 등 다양한 종류의 김치와 마로 담근 퓨전 김치를 제공하고 있으며 숙주나물, 시금치나물 등의 나물 반찬도 '나물(Namul)'이라는 한국어 그대로 기재해 판매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김치, 쌈무, 깍두기 등의 한국 반찬을 개별 포장해 판매하거나, 나물을 곁들인 비빔밥을 함께 제공하는 경우도 찾아볼 수 있다.
할랄 와규점에서 단품으로 판매되는 나물 반찬 한국 반찬과 김치가 함께 제공되는 모습

< (좌)할랄 와규점에서 단품으로 판매되는 나물 반찬, (우)한국 반찬과 김치가 함께 제공되는 모습 - 출처: 통신원 촬영 >

기존에도 일본식 BBQ 식당에서 한국 반찬과 김치를 제공하긴 했지만 이는 주로 돼지고기를 사용하던 매장에 국한됐다. 그러나 최근에는 할랄 인증을 받은 와규 소고기를 제공하는 식당에서도 한국 나물 반찬과 김치를 함께 판매하고 있다는 점이 새로운 변화로 평가된다. 이는 무슬림 소비자를 중심으로 한 할랄 시장에서 한국 반찬의 수요가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기 때문이다. 

할랄 와규 전문점에서 나물을 제공하는 이유는 고기의 기름진 맛을 중화하고 입맛을 돋우기 적합한 신선하고 가벼운 반찬이기 때문이다. 또한 고기구이를 즐기려는 외국인 소비자들에게 쌈채소, 나물, 김치 등을 고기와 함께 먹는 것이 익숙하게 받아들여지고 있어 돼지고기 전문점만이 아니라 소고기 전문점에서도 한국 반찬을 적극 도입하는 것으로 보인다.
할랄 와규점에서 판매하는 다양한 김치와 한국 삼색나물 - 출처: 통신원 촬영

< 할랄 와규점에서 판매하는 다양한 김치와 한국 삼색나물 - 출처: 통신원 촬영 >

이러한 현상을 말레이시아에서 볼 수 있다는 것 또한 의미가 크다.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의 「2020 한류, 다음 (권역특서_이슬람 문화권 편)」에 따르면 말레이시아는 세계 최초로 할랄 기준을 세우고 할랄 인증 체계를 확립한 국가다. 말레이시아는 세계 할랄 인증의 기준국으로 말레이시아 이슬람개발부(Department of Islamic Development Malaysia, JAKIM)의 엄격한 기준과 정밀한 심사를 바탕으로 할랄 인증을 부여하는 이 제도는 전 세계적으로 높은 공신력을 자랑한다. 이로 인해 말레이시아의 할랄 인증 제도는 다른 이슬람 국가에서도 널리 채택되고 있어 한식의 할랄 시장 진출을 위한 핵심 거점으로 주목받고 있다. 

동남아시아에서 싱가포르, 브루나이와 함께 경제력이 높은 국가로 자리 잡은 말레이시아에서 할랄 와규 전문점이 한국 반찬을 제공하는 현상은 향후 경제력이 있는 다른 이슬람 국가들에서도 한국 반찬이 자리 잡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한국 김치 등 한국의 전통 반찬은 할랄 인증을 받은 제품으로 변화를 꾀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성장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그 가운데 할랄 시장을 선도하는 말레이시아에서 나물 반찬이 주목받고 있는 현상은 향후 한국 반찬의 할랄 시장에서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사진출처 및 참고자료
- 통신원 촬영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2021). 「2020 한류, 다음 (권역특서_이슬람 문화권 편)」.
- 인스타그램 계정(@nikunoypichi_penang), https://www.instagram.com/nikunoyoichi_penang/
- 서울메이트 인스타그램 계정(@seoulmate_kk), https://www.instagram.com/seoulmate_kk/
- 《OpenDOSM》 (2023. 8. 30). Malaysia has a population of 32,447,385 people. What does this population look like?, https://open.dosm.gov.my/dashboard/kawasanku

통신원 정보

성명 : 홍성아[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말레이시아/쿠알라룸푸르 통신원]
약력 : USM(Universiti Sains Malaysia) 전략적 인적자원관리(SHRM) 박사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