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문학 번역, 성장에서 다양화로 1994년 『춘향전』의 최초 번역 이후 베트남에서의 한국 문학 번역은 꾸준히 증가해 왔다. 최근 5년여간 베트남에서 번역 출간된 한국 문학이 58권에 이르는 동안 뚜렷한 변화의 흐름을 보였다. 특히 2020년부터 2022년까지 활발한 성장을 보였으나 이후에는 번역서의 수가 다소 감소하며 질적 다변화라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 베트남 내 한국 문학 번역 출간 현황 (2025년 8월 21일 기준)
※출처: 한국문학번역원 자료 참고로 통신원 정리 연도별로 살펴보면 2020년에는 소설 8권, 에세이 2권, 아동/청소년 1권, 역사 2권이 출간되며 한국 문학 번역 출간의 기반을 다졌다. 2021년에는 소설 7권, 에세이 5권, 아동/청소년 1권이 발간되며 번역 저변이 한층 확대됐다. 2022년에는 총 14권 출간되면서 가장 활발한 해를 기록했으며 소설 8권, 에세이 4권, 역사 2권 등 장르의 다양성이 본격적으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2023년에는 소설 2권과 에세이 1권 등 총 3권에 그치며 크게 감소했고, 2024년에는 소설 7권, 에세이 3권 등 총 10권이 출간됐다. 2025년 상반기(8월 기준)에는 소설 3권, 에세이 2권 등 총 5권이 번역 출간됐다. 최근 출간 수는 예년보다 다소 줄어들었으나 소설과 에세이를 중심으로 역사, 아동/청소년 분야가 꾸준히 이어지면서 단순한 양적 확대에서 벗어나 질적 선별과 장르의 균형적 확산으로 전환되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 온라인 서점에 소개된 정보라 작가의 '저주토끼' - 출처: 파하사(FAHASA) >
백세희의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어』는 2018년 출간 후 베트남에서도 2020년에 번역돼 1020대 독자, 특히 여성 독자층의 꾸준한 공감을 이끌어냈다. 심리적 불안과 치유를 다룬 이 에세이는 정신건강에 대한 세대적 담론을 형성하며 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반향을 남겼다. 이처럼 일부 작품은 단순한 상업적 성과를 넘어 사회적 논쟁과 대중적 인기를 동시에 확보했다. 동시에 치유·힐링, 사회 비판, 역사 기억, 자아탐구라는 문학적 흐름을 통해 베트남 독자들에게 한국 문학의 스펙트럼을 넓게 알리는 계기가 됐다. 한국 문학, 베트남 사회에서의 위상과 의미 베트남 사회는 한국 문학을 단순한 외국 문학이 아니라 의미 있는 문학적 존재로 인식하고 있다. 작가 한강과 정보라는 역사적 트라우마와 사회적 모순을 보편적 서사로 풀어내며 문학적 깊이를 보여주었고, 『불편한 편의점』이나 『달러구트 꿈 백화점』은 치유와 위로의 이야기로 독자층을 넓혔다. 한국 문학은 지역적 특수성과 보편적 정서를 동시에 담아내며 공감을 이끌어냈다. 이러한 성과의 배경에는 1996년 설립된 한국문학번역원(LTI Korea)의 제도적 기반이 있다. 지속적인 번역 지원, 출판사 네트워킹, 번역가 양성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 문학의 국제적 확산을 뒷받침했으며 이는 베트남에서 한국 문학이 안정적으로 자리 잡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 베트남 서점에 진열된 한국 문학 - 출처: 통신원 촬영 >
또한 한류 콘텐츠의 인기는 한국 문학이 베트남에 자리 잡는 데 중요한 촉매 역할을 했다. <기생충>, <오징어 게임> 등 글로벌 흥행작들이 한국문화 전반에 대한 관심을 높였고 이는 자연스럽게 한국 문학의 수용 확대로도 이어졌다. 특히 2024년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은 한국 문학의 위상을 한층 높인 결정적 계기로 평가된다. 당시 베트남 언론에서도 단순한 한강 작가의 개인의 성취가 아니라 전략적 비전과 장기적 투자, 그리고 문화 전반의 파급력이 결합한 결과로 평가한 바 있다. 이처럼 한국 문학은 베트남 사회에서 '보편성과 한국적 특수성이 교차하는 문학'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번역 지원과 한류의 확산이 결합된 문화적 성취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최근 5년여간 베트남 내 한국 문학은 2020년~2022년의 양적 성장기를 거쳐 2023년 이후 장르적 다변화 단계로 접어들었다. 이러한 변화는 한국문학번역원의 체계적인 번역 지원과 한류의 세계적 확산이 결합돼 이룬 문화적 성취로 평가받고 있다. 향후 한류 콘텐츠의 지속적인 영향력 확대와 함께 한국 문학 번역서는 장르적으로 더욱 다양화되고 베트남 독자층 역시 한층 두터워질 것으로 전망된다.
사진출처 및 참고자료 - 통신원 촬영 - 한국문학번역원 홈페이지, https://library.ltikorea.or.kr/ - 파하사(FAHASA) 홈페이지, https://www.fahasa.com/ - 《Văn nghệ Công an》 (2024. 11. 1). Văn học Hàn Quốc thành công do đâu?, https://vnca.cand.com.vn/doi-song-van-hoa/van-hoc-han-quoc-thanh-cong-do-dau--i748970/ - 《Báo Tuổi Trẻ》 (2024. 10. 10). Ba cuốn sách xuất bản ở Việt Nam của Han Kang, tác gia Hàn Quốc đầu tiên đoạt giải Nobel, https://tuoitre.vn/ba-cuon-sach-xuat-ban-o-viet-nam-cua-han-kang-tac-gia-han-quoc-dau-tien-doat-giai-nobel-20241010200237126.htm - 《Newshop.vn》 (2021). 10 Cuốn Sách Văn Học Hàn Quốc Được Nhiều Lượt Mua Nhất, https://newshop.vn/tin-tuc/10-cuon-sach-van-hoc-han-quoc-duoc-nhieu-luot-mua-nhat-id1033.html?srsltid=AfmBOoqMsxaIDfmEA6PBkSzd1NA70ZGkYp13y3d7UNXwhhgyI0-X7ZIz
성명 : 이지은[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베트남/하노이 통신원] 약력 : YTN world 해외 리포터, 한국어 원어민 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