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한류가 보여준 다양성 속 조화

2025-11-17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주요내용

  
지난 12일 인도네시아 반둥에 위치한 쇼핑몰 브라가 시티워크(Braga Citywalk)에서 '한국 x 인도네시아 축제: 다양성 속 조화(Korea x Indonesia: Harmony in Diversity)'가 진행됐다. 축제에는 '루키 & 후배 케이팝 커버댄스 경연대회(K-Pop Dance Cover Competition Rookie & Hoobae)', '케이팝 랜덤플레이댄스 & 노래방(K-Pop Random Play Dance & Noraebang)'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됐다.
한국 x 인도네시아 축제: 다양성 속 조화

< '한국 x 인도네시아 축제: 다양성 속 조화' - 출처: 그랜드 프로젝트 인스타그램 계정(@wearegrandpro) >

케이팝 커버댄스 경연대회는 루키와 후배 부문으로 나뉘어 이뤄졌으며 루키 부문에 19개 팀, 후배 부문에 13개 팀이 참가해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루키 부문에서는 아이브(IVE)를 커버한 '스파클리 스노우(Sparkly Snow)' 그룹이 종합 1위를 차지했으며, 후배 부문에서는 에스파(aespa)를 커버한 '루나 블룸(Luna Bloom)' 그룹이 종합 1위를 차지했다. 소셜미디어 반응도 뜨거웠다. 인도네시아 소셜미디어 이용자들은 "아이브 노래 댄스 커버가 정말 좋다.(@dewifikramandya)", "아이브 멤버 장원영 같다.(@astriteuk)" 등의 반응을 남겼다.
아이브와 에스파 커버 무대

< 아이브와 에스파 커버 무대 - 출처: 그랜드 프로젝트 인스타그램 계정(@wearegrandpro) >

특히 일부 참가자들이 전통의상과 부채를 활용한 무대로 관객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기존 케이팝 커버댄스 무대가 주로 원곡 케이팝 가수의 콘셉트와 의상을 재현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면 이번 행사에는 전통적인 요소가 녹아있었다. 경연대회에 참가한 '볼카르 엑스(Vallkar X)'는 전통의상과 부채를 활용한 안무를 선보이며 후배 부문 최고 남성 그룹상을 받았다.
인도네시아 전통의상을 입은 참가자 무대

< 인도네시아 전통의상을 입은 참가자 무대 - 출처: 그랜드 프로젝트 인스타그램 계정(@wearegrandpro) >

또한 이번 대회에서 눈에 띄는 점은 참가 기준을 루키, 후배, 선배(Sunbae)로 구분한 것이다. 주최 측은 루키를 "입상 경력이 없거나 3위 이상 입상 경력이 3회 이하인 참가자"로 규정했으며 후배는 "2위 이상 입상 경력이 5회 이하인 참가자"로 규정했다. 1위 이상 입상 경력이 5회 이상인 참가자는 '선배'로 분류했다. 기존에는 어린이, 청소년, 성인 등 연령을 기준으로 참가자를 구분했으나 이번 대회에서는 경력을 기준으로 참가자를 모집해 다양한 이들이 함께할 수 있었다. 

이번 축제를 기획한 그랜드 프로젝트(Grand Project)는 인도네시아 현지 행사 기획 전문 업체로 지난 2024년 11월과 12월에도 반둥에서 '케이팝 노래방 올 팬덤(K-Pop Noraebang All Fandom)'과 '케이팝 가요대전 커버댄스 경연대회(K-Pop Gayo Daejun Dance Cover Competition)'를 개최한 바 있다. 반둥은 인도네시아 서부 자바주 주도로 2023년 기준 인구는 약 250만 명이다. 인구 1,000만 명이 넘는 수도 자카르타에 비하면 규모는 작지만 이 같은 행사가 지속적으로 개최된다는 사실은 자바주 전역에서 케이팝의 인기가 높다는 것을 방증한다. 

인도네시아에서 케이팝은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하며 일상 문화로 자리 잡고 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젊은 세대의 음악 및 라이브 공연 소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글로벌 음악산업 데이터 플랫폼 차트메트릭(Chartmetric) 또한 인도네시아를 세계에서 케이팝 소비 점유율이 가장 높은 국가로 선정했다. 또한 「2025 해외한류실태조사」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인의 86.5%가 케이팝에 긍정적 반응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케이팝이 인도네시아 한류의 중심으로 현지 문화 속에 깊이 스며들었음을 보여준다. 

이처럼 케이팝이 현지에서 중요도를 갖고 있는 가운데 이번 행사가 '다양성 속의 조화'를 추구했다는 것은 의미가 있다. 케이팝 무대 속에서 전통의상을 입은 참가자 그리고 루키와 후배, 선배 등 춤 실력과 상관없이 케이팝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모두 어우러졌다. 이는 케이팝이 다양한 사람들을 하나로 묶고 조화롭게 함께 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는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다.
사진 출처 및 참고자료    
- 한국콘텐츠진흥원 (2025). 「인도네시아 콘텐츠산업 동향」. 2025년 11호 '2025년 인도네시아 음악 시장과 K-POP 공연 현황', https://welcon.kocca.kr/ko/info/trend/1956160
- 《한인포스트》 (2025. 6. 26). 인도네시아, 글로벌 K-POP 음악 소비 1위 ― 급성장하는 한류의 현주소, https://haninpost.com/archives/114738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2025). 「2025 해외한류실태조사 결과보고서(제14차)」. https://www.archivecenter.net/hallyuresearch/archive/collection/ArchiveCollectionView.do?con_id=3490
- 그랜드 프로젝트(Grand Project) 인스타그램 계정(@wearegrandpro), https://www.instagram.com/wearegrandpro/
- 틱톡 계정(@dewifikramandya), https://www.tiktok.com/@dewifikramandya
- 틱톡 계정(@astriteuk), https://www.tiktok.com/@astriteuk

통신원 정보

성명 : 배동선[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인도네시아/자카르타 통신원]
약력 : PT. WALALINDO 이사, 작가, 번역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