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일본의 외국인 관광객 지방유치 정책 분석

2018-09-13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주요내용

1. 연구 배경 및 목적
  □ 연구 배경
    ○ 방한 관광객은 2005년 6백만 명에서 2016년 1천 7백만 명을 넘어선 뒤 2017년 1천 3백만 명으로
       추이하고 있음. 방한 관광객 수는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그 한편으로 수도권 편중이
       주요 과제로 지적되고 있음
    ○ 현재 대부분의 방한 관광객은 서울만 방문하고 귀국하는 행태를 보이고 있으며, 방한 여행에서
       지방을 방문하는 관광객은 적은 편임
    ○ 이에 따라 방한 관광객이 편중되어 있는 서울에는 숙박시설 부족, 관광 지점의 혼잡도 등 방한
       관광객 증가에 제약이 발생하는 한편, 지방에서는 외국인 관광객 유치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상황임
    ○ 향후 인바운드 관광시장 확대를 위해서는 서울 편중을 극복하고 지방이 지닌 다양한 콘텐츠를
       향유할 수 있도록 방한 관광객의 지방 방문을 유도하는 것이 중요
    ○ 일본도 방일 외국인 관광객의 경우 도쿄-오사카의 골든 루트(golden route)에 편중되는 문제가
       마찬가지로 지적되고 있으나, 수도권 일극 중심은 아니라는 점에서 차별적임

 

2. 연구 범위 및 방법
  □ 연구의 범위
    ○ 대상적 범위 : 일본의 외국인 관광객 지방유치 정책
    ○ 시간적 범위
      - 관광입국 정책이 적극 추진되기 시작한 2000년대 이후 집중 분석
    ○ 내용적 범위
      - 인바운드 관광객 지방 유치 정책의 제도적 위상
      - 방일 관광객의 지방 방문행태 검토
      - 인바운드 관광객 지방 유치 정책 분석
      - 방한 인바운드 관광에 주는 시사점 도출
  □ 연구의 방법
    ○ 주요 법 및 계획 분석
    ○ 방일 여행객의 지방방문 관련 통계자료 분석
    ○ 중앙정부 주요 정책 자료 분석
    ○ 지자체 계획 및 정책 자료 분석
    ○ 전문가 자문회의 실시

 

3.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제2장 제도적 위상 분석
    제1절 법제도 분석
    제2절 중장기 계획 및 연도별 계획 분석
  제3장 방일 외국인의 지방여행 행태분석
    제1절 방일 여행객 지방 방문 현황
    제2절 방일 외국인 지방방문 행태
    제3절 인바운드 여행의 지역파급효과
  제4장 관광지역 만들기 정책
    제1절 관광지역 형성 사업
    제2절 관광자원 육성 정책
  제5장 지역 관광산업‧관광조직 지원 정책
    제1절 지역 관광산업 지원 정책
    제2절 관광조직 형성 정책
  제6장 지역 관광환경 정비정책
    제1절 지방 항공교통 지원 정책
    제2절 외국인 여행자 지방여행 환경정비
    제3절 유니버설 투어리즘 추진 정책
  제7장 종합분석 및 결론
    제1절 종합분석
    제2절 정책제언
    제3절 결 론

  참고문헌 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