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문화정책/이슈] 폴란드의 11월은 한국 영화의 달

2018-11-26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주요내용

 

11월은 폴란드에서 한국영화의 달이라고 할 만큼 한국영화 관련 소식이 많았다. 먼저 115일부터 9일까지 바르샤바 한국문화원 주최로 키노 쿨투라 극장에서 바르샤바 한국영화제가 개최되었다. 올해로 4회째를 맞이한 한국 영화제는 개막작 <택시 운전사>를 시작으로 거장의 신작전, 한국영화 오스카상 후보 출품작, 신진 감독전, 임권택 감독 회고전 등 네 개의 섹션 하에 총 8개의 한국영화가 상영되었다. 거장의 신작전에서는 홍상수 감독의 <풀잎들>, 이창동 감독의 <버닝>이 상영되었고, ‘한국영화 오스카상 후보 출품작으로는 장훈 감독의 <택시 운전사>, 신진 감독전에서는 고봉수 감독의 <델타 보이즈>, 신동석 감독의 <살아남은 아이>를 선보였다. 올해는 특히 한국영화의 거장 임권택 감독을 집중적으로 소개했다


임권택 감독 회고전에서 임권택 감독의 영화 <만다라>, <서편제>, <취화선>을 상영했고 한국의 정성일 영화평론가와 폴란드의 영화예술 전문 매거진 에크라니의 편집장 미워시 스텔마흐의 공동 진행으로 임권택 감독의 작품 세 편을 해설하는 시간이 있었다. 118일에는 임권택 감독을 주제로 한 세미나와 관객들의 질의 응답시간이 있었다. 주최 측에 의하면 4년 연속 진행된 바르샤바 한국 영화제는 현지 언론과 관객들의 꾸준한 관심을 받았다. 현지 언론 «가제타 브보르차», 블로그 «라이프 스타일 뉴세리아», 포털 «오넷» 등이 바르샤바 한국 영화제 소식을 전했다.

 


<바르샤바 한국 영화제 보도 출처 : 포털 오넷>

 


<바르샤바 한국 영화제 보도 출처 : 가제타 브보르차>

 

1115일과 17일에는 통신원이 지난 리포트에서 소개했듯, 한국과 동일하게 방탄소년단의 기록 영화 <번 더 스테이지: 더 무비>가 개봉되었다. <번 더 스테이지: 더 무비>가 한국에서 아이돌 영화로서는 보기 드물게 큰 흥행을 이룬 것처럼 폴란드 역시 기존 한국영화들과 달리 폴란드 최대 멀티플렉스 영화관에서 독점 상영할 정도로 놀라운 흥행 실적을 보였다.

 


<피엥치 스마쿠프 영화제 보도 출처 : 필름웹>

 


<피엥치 스마쿠프 영화제 보도 출처 : 액티비스트>

 

마지막으로 1115일부터 22일까지 폴란드 내 최대 아시아 영화제인 피엥치 스마쿠프가 열렸다. 피엥치 스마쿠프는 올해 벌써 12회를 맞는 한국, 싱가포르, 태국, 일본, 홍콩, 중국, 대만, 베트남 등 거의 모든 아시아 지역 작품을 상영하는 대표적인 아시아 영화제이다. 올해 피엥치 스마쿠프에서 상영한 38개의 아시아 영화 중 한국영화는 총 4개로 장준환 감독의 <1987 >, 홍상수 감독의 <강변 호텔>, 연상호 감독의 <서울역>, 홍덕표 감독의 애니메이션 <졸업반>이 상영되었다. 폴란드 대표 아시아 영화제에 대한 언론의 관심도 뜨거워 예술 전문 포털 «액티비스트», 영화 전문 블로그 «필름웹», «FDB» 등이 피엥치 스마쿠프 영화제 소식을 자세히 전했다


«액티비스트»«필름웹»은 피엥치 스마쿠프에서 상영한 한국영화들을 주목할 만한 영화로 선정했다. «액티비스트»는 장준환 감독의 <1987 >을 한국과 대만의 역사적 사건을 볼 수 있는 영화라고 소개했다. 다각도로 복잡한 사건의 연속을 보여주는 이 영화는 한국의 1980년대 말 민주화 운동과 그로 인한 권위적인 쿠데타 정부의 몰락과 단계적인 민주주의의 정착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알려준다고 언급했다. «필름웹»은 홍상수 감독의 <강변 호텔>을 소개하며 한국영화의 거장 홍상수 감독이 돌아왔다고 평했다. 홍상수 감독은 이미 7년 전에 피엥치 스마쿠프 영화제 테이스트 오브 코리아 부문에서 <하하하><옥희의 영화> 두 작품이 소개되었다. 10회 동 영화제에서는 홍상수 감독에게 산세바스티안 페스티벌 최우수 감독상을 안겨 준 <당신 자신과 당신의 것>이라는 영화가 상영된 바 있다. 올해는 <강변 호텔>로 돌아와 홍상수 감독 특유의 오랜 산책 장면, 삶에 대한 대화와 그 외 클래식한 모티브들을 보여준다고 평했다. 폴란드에서 인정받는 한국영화의 인기와 성공을 여러 차원에서 볼 수 있는 풍성한 영화계 소식이었다.

 

참고 자료 

바르샤바 한국 문화원 페이스북https://www.facebook.com/CentrumKulturyKorei

가제타 브보르차, http://cojestgrane24.wyborcza.pl/cjg24/1,13,24119235,0,Hity-Warszawskiego-Festiwalu-Filmow-Koreanskich.html

라이프스타일 뉴세리아, https://lifestyle.newseria.pl/biuro-prasowe/film/4-warszawski-festiwal,b2025091454

오넷, https://kultura.onet.pl/film/wiadomosci/4-warszawski-festiwal-filmow-koreanskich-od-5-listopada-w-kinie-kultura/bhszrzb

액티비스트http://aktivist.pl/finisz-12-festiwalu-piec-smakow-animacje-polityka-i-spojrzenie-w-przeszlosc/

필름웹https://www.filmweb.pl/news/Laureaci+Azjatyckich+Nagr%C3%B3d+Filmowych+na+Pi%C4%99ciu+Smakach-130225#

FDB, https://fdb.pl/wiadomosci/35990-asian-cinerama-laureaci-azjatyckich-nagrod-filmowych-na-pieciu-smakach


  • 성명 : 최윤교[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폴란드/포즈난 통신원]
  • 약력 : 현) SECO 번역 사무실 통역원 아담 미츠키에비츠 대학원 폴란드어학과 졸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