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방송한류 활성화 및 경쟁력 강화 방안 연구

2019-09-02 방송통신위원회

주요내용

방송한류 활성화 및 경쟁력 강화 방안 연구

  • 목차

    • 1. 서론
      •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1.1. 연구의 필요성
        • 1.1.2. 연구의 목적
      • 1.2. 연구방법 및 보고서의 구성
        • 1.2.1. 연구방법
        • 1.2.2. 보고서의 구성
    • 2. 방송한류 개관
      • 2.1. 한류의 정의와 진화
        • 2.1.1. 한류의 정의와 발전 단계
        • 2.1.2. 한류의 지리적 확산
        • 2.1.2. 한류의 파급효과
      • 2.2. 방송한류의 역할과 파급 효과
        • 2.2.1. 한류의 원동력
        • 2.2.2. 한류 방송콘텐츠의 파급효과
    • 3. 방송한류 현황과 문제점
      • 3.1. 한류 방송콘텐츠 확산 현황
        • 3.1.1. 콘텐츠 산업 규모와 방송콘텐츠 수출입 추이
        • 3.1.2. 방송한류 해외 진출 현황
      • 3.2. 방송한류 지원체계의 문제점
        • 3.2.1. 방송콘텐츠 산업 지원의 필요성 및 해외사례
        • 3.2.2. 방송 제작 및 유통 지원정책 현황
        • 3.2.3. 정부차원 방송한류 지원체계의 문제점
      • 3.3. 방송한류 해외진출의 문제점
        • 3.3.1. 지리적 및 장르적 편중
        • 3.3.2. 해외 진출국가 규제강화
        • 3.3.3. 국내외 사업자간 규제 형평성
      • 3.4. 방송한류 제작인력 수급의 문제점
        • 3.4.1. 창작 및 제작인력 현황
        • 3.4.2. 제작인력 중국유출
    • 4. 방송한류 경쟁력 강화방안
      • 4.1. 방송한류 지원체계 정비
        • 4.1.1. 방송한류 전담 상시 지원체계 수립
        • 4.1.2. 지원사업의 유연성 강화 및 기금 통합 관리
        • 4.1.3. 민관협력의 중심 이동 및 인프라 지원 강화
      • 4.2. 창작 및 제작인력 기반 강화
        • 4.2.1. 창작 및 제작인력 처우개선 및 인력양성 구조 개선
        • 4.2.2. 창작물 지적재산권 확보 및 스토리 ․ 아이디어 마켓 활성화
        • 4.2.3. 영상 콘텐츠 인력양성 지원 다변화
      • 4.3. 해외 유통 경쟁력 강화
        • 4.3.1. 신유형 매체 활용 유통지원
        • 4.3.2. 해외진출 지원 강화방안
      • 4.4. 해외 사업자 대응 및 역차별 해소
        • 4.4.1. 국제 규제변화 및 분쟁 대응력 강화
        • 4.4.2. 국내 규제 정비
    • 5. 결론 및 제언
      • 5.1. 연구의 결론
      • 5.2.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개요

- 방송콘텐츠 산업은 타 서비스 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투자비용으로 높은 고용유발 효과 및 고수익을 얻을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성공적인 방송콘텐츠는 국가 브랜드 이미지 재고와 연관 산업의 수출에도 기여도가 높다고 평가받고 있기 때문에 방송콘텐츠 산업은 21세기의 먹거리 산업으로 각광받는 분야이다. 그러나 최근 한한령, 혐한류 등 문화외적인 요인으로 인해 방송한류 주요 진출 대상국이던 중국, 일본 등지에서 국산 방송콘텐츠의 유통이 차단되면서 방송한류의 지속 성장 가능성 여부 자체가 불투명하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방송한류의 경쟁력 강화와 지속성장 기반 마련을 목적으로 한류 방송콘텐츠 제작 및 국내외 유통과 관련된 정책방안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PDF)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