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일인 미디어 시대의 중국 영상콘텐츠산업 발전 연구보고

2021-05-17 한국콘텐츠진흥원

주요내용

  • 중국(북경) 콘텐츠 산업 동향 | 일인 미디어 시대의 중국 영상콘텐츠산업 발전 연구보고 | 2021년 4호 | KOCCA /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로고 | 표지 이미지
  • 일인 미디어 시대의 중국 영상콘텐츠산업 발전 연구보고

    목차

    • 1. 심층이슈
      • 1.1 중국 영상콘텐츠산업 현황
      • 1.2 중국 영상콘텐츠 산업사슬 분석
      • 1.3 중국 영상콘텐츠 플랫폼 사례 분석
      • 1.4 중국 영상콘텐츠산업의 향후 발전전망
    • 2. 장르별 차트
      • 2.1 드라마 시청률 TOP10
      • 2.2 예능 시청률 TOP10
      • 2.3 박스오피스 TOP10
      • 2.4 온라인·모바일 게임 TOP10
      • 2.5 음원 1 TOP10
    • 3. 한국콘텐츠진흥원 북경비즈니스센터 소개
      • 3.1 북경 비즈니스센터 안내
      • 3.2 북경 비즈니스센터 현지 통역 서비스 지원 안내
      • 3.3 2020 중국 문화산업 비즈니스 가이드
      • 3.4 재중국한국콘텐츠사업자협의회 회원가입 안내
      • 3.5 한국콘텐츠진흥원 북경현지자문단 운영안내
      • 3.6 북경비즈니스센터 위챗 공식계정 운영안내

    개요

    - 최근 20 년 동안, 텔레비전을 대표로 하는 전통적인 영상매체의 이용층은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옴. 기존의 이용자 수는 2001 년의 8,800 만 가구에서 2019 년 2 억 1,200 만 가구로 많이 늘어났지만 전체적인 시청률의 변화와 집중도 그리고 인기 콘텐츠의 대중평가도는 지속 하락세를 보임. 이는 전통적인 영상매체가 기존의 시공간적인 제한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한계에 기인함. 이런 점에서부터 광고는 지금까지도 전통매체의 주요 수입원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다른 자본화 방식은 아직 발굴되지 못했음. 따라서, 사회 주류가치관을 형성하는 데 힘쓰는 것 외에도 시청자들의 관심사를 반영해 주는 콘텐츠의 비중도 점차 늘어나고 있음. 이는 2001 년~2019 년 기간 동안 시청률 TOP 5 의 드라마 장르별 분포에서 엿볼 수 있음. 이 외에, 이용자 집단의 관심사가 세분화되며 유입되는 콘텐츠의 종류도 다양해지고 있어 절대적인 '대중적인 콘텐츠'라는 개념은 점차 퇴색되고 있음. 다만, 대중은 전통매체에 대한 시청수요가 여전히 존재하므로 사업모델은 업그레이드할 필요가 있음.

※ 자세한 내용은 첨부(PDF)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