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시아 페낭주 고급 쇼핑몰 거니파라곤에서 지난 28일 '케이팝 커버댄스 경연대회 2023(K-Pop Dance Cover competition 2023)'이 열렸다. 이번 대회는 페낭주정부 산하 이니셔티브인 러브페낭(Love Penang), 위아풀라우티쿠스(We are Pulau Tikus) 그리고 페낭주정부 산하의 비정부단체 유스포퓨처(Youth for Future)가 협력사로 개최됐다. 그동안 대부분의 한류 행사가 민간 주도로 열린 가운데 이번 행사는 지방정부를 주축으로 추진된 한류 행사이기에 큰 관심을 모았다.
<'케이팝 커버댄스 경연대회 2023' 무대를 펼치는 말레이시아 참가자들 - 출처: 통신원 촬영>
케이팝 커버댄스 경연대회에는 페낭주의회 크리스 리춘킷 의원(YB Chris Lee Chun Kit), 셰리나 압둘 라시드 의원(YB Syerleena Abdul Rashid) 등 지방 의원들도 참석했다. 크리스 리 의원은 축사를 통해 "케이팝 춤은 청소년의 자신감 및 협동심을 함양할 수 있는 분야"라며 "청소년들이 문화예술 분야로 다양한 꿈을 꾸고 마음껏 끼를 표출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이날 대회에서는 총 17팀이 참가해 경합을 벌였다. 참가자들의 수준 높은 공연과 관객들의 열광적인 호응은 행사 분위기를 더욱 무르익게 했다. 특히 참가자들은 무대를 빛나게 만드는 의상을 갖추고 완성도 높은 공연을 펼쳐 관객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한 참가자는 블랙핑크 리사의 무대와 견주어 보아도 손색이 없는 무대 연출로 큰 주목을 받았다. 또 다른 참가자는 싸이가 카우보이로 변신한 <댓댓(That That)>의 의상을 그대로 재현해 꽉 찬 무대를 선보였다.
<의상과 무대 연출로 큰 주목을 받은 말레이시아 참가자들 - 출처: Oong(Senior Executive, MARCOM, Gurney Paragon Mall) 제공>
또한 케이팝 커버댄스 경연대회 심사위원으로 말레이시아 댄서들이 참석해 수많은 관객들이 호응했다. 심사를 맡은 애디(Addy)는 'K-Circle 2.0 케이팝 커버댄스 경연대회' 우승자로 장르를 넘나드는 <오징어 게임> 커버댄스로 큰 화제를 모은 댄서이다. 이외에도 '2022 케이팝 월드 페스티벌'의 말레이시아 우승자 에르니(Ereene)와 '2022 댄스 나우 케이팝 커버댄스 경연대회' 우승자 밍양(MingYang)이 심사위원으로 참여했다. 심사 기준은 안무(10%), 팀원 간 안무 일치도(25%), 경연곡 안무 일치도(25%), 케이팝 정체성(25%), 의상(15%)으로 참가자들이 무대를 얼마나 잘 표현해 내는가에 중점을 뒀다. 우승은 크랙시(CRAXY)의 <포이즌 로즈(Poison Rose)>에 맞춰 폭발적인 무대를 선보인 디퀸(D Quiinn)에게 돌아갔다. 1등은 케플러(Kep1er)의 공연을 펼친 럭시나(Luxyna), 2등은 엔믹스(XMIXX)의 <러브 미 라이크 디스(Love Me Like This)>에 맞춰 무대를 선보인 블림(Bleem)이다. 가족 및 일반 관객을 포함해 수백 명이 행사장을 가득 채워 한류의 열기를 실감케 했다. 이번 대회는 케이팝이라는 문화예술에 대한 열정으로 뭉친 말레이시아 청년들의 축제의 장이 됐다. 특히 기존 한류 관련 행사들과는 다르게 이번 행사는 말레이시아 현지 지방정부가 앞장서 케이팝 축제를 열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페낭주 의원과 참가자들의 기념사진 촬영 - 출처: Oong(Senior Executive, MARCOM, Gurney Paragon Mall) 제공>
특히 셰리나 의원은 이날 시상식에 앞서 "케이팝이 페낭주의 공연예술산업을 더욱 확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한류의 확장 가능성을 언급했다. 셰리나 의원은 "케이팝은 단순한 엔터테인먼트가 아니라 청소년들의 정신과 신체를 건강할 수 있게 하는 활동이자 페낭주를 창조적이고 혁신적인 도시로 만들어갈 하나의 문화"라고 밝혔다. 하위문화로 여겨지던 케이팝 커버댄스가 청소년들의 자신감을 키워주는 문화예술 활동이자 하나의 산업으로 정착하면서 케이팝 관련 논의가 확장되고 있다. 케이팝 물결이 지방정부 주도로 바뀌고 있는 가운데 앞으로 한류가 어떤 새로운 모습으로 나타날 것인지 기대를 모은다. 사진출처 및 참고자료 - 통신원 촬영 - Oong(Senior Executive, MARCOM, Gurney Paragon Mall) 제공 - 거니파라곤 공식 페이스북(@Gurney Paragon), https://ko-kr.facebook.com/gurneyparagon/
성명 : 홍성아[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말레이시아/쿠알라룸푸르 통신원] 약력 : 현) Universiti Sains Malaysia 박사과정(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