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문화정책/이슈] 말레이시아 독립기념일과 말레이시아의 날

2025-09-05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주요내용

  
지난 8월 15일 한국은 광복 80주년을 맞았다. 한국의 광복절과 마찬가지로 말레이시아에도 8월에 독립기념일, 하리 메르데카(Hari Merdeka)가 있다. 1957년 8월 31일 쿠알라룸푸르 므르데카 광장에서 툰쿠 압둘 라흐만(Tunku Abdul Rahman) 초대 수상이 "메르데카(Merdeka)"를 일곱 차례 외치며 영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한 날이다. 말레이시아의 독립기념일은 말레이어로 '하리 메르데카'라고 부르며, 여기서 '하리(Hari)'는 '날', '메르데카'는 '독립' 혹은 '자유'를 뜻한다. 또한 역사적으로 뜻깊은 날이라는 의미에서 국경일(Hari Kebangsaan)로도 기념된다. 

이처럼 한국과 말레이시아 모두 8월에 광복을 맞았다는 것은 같지만 말레이시아의 독립기념일은 또 다른 의미를 지닌다. 다민족 사회인 말레이시아에서 이 시기는 인종 화합을 강조하는 시기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말레이시아 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기준 말레이시아 인구는 말레이계 약 69%, 중국계 약 23%, 인도계 약 7% 등으로 이뤄져 있다. 이러한 다양성은 말레이시아 사회의 중요한 자산이지만 동시에 1960년대 인종 폭동으로 수많은 말레이시아인들이 사망한 아픈 과거를 남겼다. 그래서 8월 31일 독립기념일부터 9월 16일 말레이시아의 날(Hari Malaysia)까지는 통합과 화합을 다지는 다양한 행사가 이어진다. 말레이시아의 날은 말레이시아 연방 성립 기념일로 현재 사라왁, 사바, 싱가포르(1965년탈퇴)가 연방에 합류하면서 말레이시아 연방이 결성된 1963년 9월 16일을 기념하는 날이다.
 독립기념일과 말레이시아의 날을 함께 기념하는 문구 독립기념일과 말레이시아의 날을 함께 기념하는 문구

< 독립기념일과 말레이시아의 날을 함께 기념하는 문구 - 출처: 통신원 촬영 >

올해는 '마다니 말레이시아: 국민을 존중하는 나라(Malaysia MADANI: Rakyat Disantuni)' 슬로건을 중심으로 미디어 업계에서 다양한 화합 프로그램을 준비했다. 말레이시아 대표 미디어 기업 《Astro(아스트로)》는 독립기념일과 말레이시아의 날을 기념해 8월 15일부터 9월 16일까지 '이것이 바로 우리, 한마음으로 함께(Inilah KITA, Sehati Bersama)' 캠페인을 펼치고 있다. 아스트로는 이번 기간 동안 특별 편성된 채널(KITA)을 통해 영화, 다큐멘터리, 현지 아티스트 콘서트 등 50여 개 프로그램과 영화 4편을 방영한다. 8월 23일과 24일에는 현지 배우와 가수들이 참여하는 방송이 마련되며, 8월 31일부터는 전국 13개 주를 순회하는 라디오 생방송 투어 'KITA FM'도 시작된다. 

이처럼 말레이시아에서의 8월과 9월은 서로 다른 뿌리를 가진 이들이 하나의 국가에서 살아가기 위한 화합의 시간으로 만들어진다. 한국의 광복절이 되찾은 자유를 상징한다면 말레이시아의 독립기념일과 말레이시아의 날은 '다양성 속의 하나 됨'을 향한 여정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 기간에는 작은 실수도 쉽게 사회적 논란으로 번질 수 있기 때문에 말레이시아의 전통과 상징을 존중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제로 지난 8월 1일 말레이시아 항구도시 포트 딕슨의 한 중국계 초등학교에서 국기를 거꾸로 게양한 사건은 단순한 해프닝을 넘어 인종 갈등으로 번졌다. 소셜미디어에는 "또 중국계네... 이게 그들의 본모습이다.(@srilayang.srilayang)", "분명 의도한 것이다. 국기를 거꾸로 게양하는 것이 말이 되나?(@shahis.othman)"등 부정적 댓글이 쏟아졌다.  
(상)교촌른당 시리즈, (하)쿠쿠의 멀티쿡 챌린지 - 출처: (상)말레이시아 교촌치킨 인스타그램 계정(@mykyochon), (하)말레이시아 쿠쿠 홈페이지

< ((상)교촌른당 시리즈, (하)쿠쿠의 멀티쿡 챌린지 - 출처: (상)말레이시아 교촌치킨 인스타그램 계정(@mykyochon), (하)말레이시아 쿠쿠 홈페이지 >

말레이시아 독립기념일과 말레이시아의 날은 단순한 기념일이 아니라 다민족 사회가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고 존중하며 미래를 함께 그려가는 상징적인 날이다. 따라서 이 시기에는 국내 기업뿐만 아니라 문화 관계자와 공연 및 행사 주최 측에서도 문화적 민감성을 지키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궁극적으로 현지 공휴일에 담긴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고 이해를 기반으로 한 노력이 양국 간 더 깊은 신뢰와 협력의 토대를 마련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사진출처 및 참고자료    
- 《Malay Mail》 (2025. 8. 13). Terengganu Umno Youth apologises for wrong ‘Jalur Gemilang’ in Facebook post, saysdesigner was affected by inverted flag saga, https://www.malaymail.com/news/malaysia/2025/08/13/terengganu-umno-youth-apologises-for-wrong-jalur-gemilang-in-facebook-post-says-designer-was-affected-by-inverted-flag-saga/187376
- 《Marketing-Interactive》 (2025. 8. 8). Astro launches month-long celebratory campaign forMerdeka and Malaysia Day, https://www.marketing-interactive.com/astro-launches-month-long-celebratory-campaign-for-merdeka-and-national-day
- 《Free MalaysiaToday》 (2025. 8. 3). Port Dickson school apologises forupside down Jalur Gemilang, https://www.freemalaysiatoday.com/category/nation/2025/08/03/port-dickson-school-apologises-for-upside-down-jalur-gemilang
- 《Bernama》 (2025. 6. 11). ‘Malaysia MADANI: RakyatDisantuni’, Theme Of 2025 National Day, Malaysia DayCelebrations, https://www.bernama.com/en/news.php?id=2433043
- 월드 오브 버즈(WORLD OF BUZZ) 페이스북 계정(@worldofbuzz), https://www.facebook.com/worldofbuzz
- 페이스북 계정(@srilayang.srilayang),https://www.facebook.com/srilayang.srilayang
- 페이스북 계정(@shahis.othman),https://www.facebook.com/shahis.othman
- 말레이시아 통계청, https://open.dosm.gov.my/dashboard/kawasanku
- 틱톡 계정(@infiru.my),https://www.tiktok.com/@infiru.my
- 말레이시아 교촌치킨 인스타그램 계정(@mykyochon), https://www.instagram.com/mykyochon/
- 말레이시아 쿠쿠 홈페이지, https://www.cuckoo.com.my/about/events-happenings/cuckoo-rasakurasamu-merdeka-multicook-challenge

통신원 정보

성명 : 홍성아[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말레이시아/쿠알라룸푸르 통신원]
약력 : USM(Universiti Sains Malaysia) 전략적 인적자원관리(SHRM) 박사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