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술발달에 따른 콘텐츠 여가 확산과 억압 정책
목차
- 제1장 대중문화 억압의 역사
- 1. 한국 오락의 역사: 유흥거리와 여가로서의 미디어
- 2. 중문화에 대한 제도적 억압의 역사: 새로운 미디어와
캐주얼 오락에 대한 규제
- 제2장 대중문화의 의료화: 역사와 함의
- 1. 억압을 정당화하는 건강 담론
- 2. 건강 담론에서 대중문화의 의료화로
- 3. 게임에 관한 의료화의 역사
- 제3장 게임의 의료화: ‘개인’에 대한 억압구조
- 1. 개인에 대한 진단/처방이 불러온 ‘게임의 악마화’
- 2. 즐거움과 사회구조를 비가시화하는 억압 기제
- 3. 과잉 의료화의 한 사례: 도파민 중독 담론
- 제4장 억압 역사의 극복: ‘즐거움’의 이론화/제도를 향해
- 1. 현재진행형인 ‘즐거움’ 억압의 역사
- 2. ‘생존과 건강’ 담론의 무한 권력에 대한 저항
- 3. 근본적인 질문으로: ‘즐거움’이란 무엇이며, 왜 중요한가?
- 참고 문헌
※ 자세한 내용은 첨부(PDF)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