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브라우저 보안정책에 따라 이미지가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Mixed Content)
저작권 동향
2025년 제11호
미국
소니-텐센트 「Horizon」 클론 게임 논란, 저작권 경계 쟁점 부각
1. 개요
2025년 7월,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SIE, 이하 ‘소니’)는 미국 캘리포니아 북부 연방지방법원(United States District Court for the Northern District of California)에 중국 게임 기업 텐센트(Tencent Holdings Ltd.)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였다. 이번 소송은 소니의 인기 게임 『호라이즌(Horizon)』 시리즈와 텐센트의 신작 모바일 게임 『라이트 오브 모티람(Light of Motiram)』 사이의 유사성을 쟁점으로 다루고 있다.
소니는 텐센트의 신작 『Light of Motiram』이 자사의 대표적인 플레이스테이션(PlayStation) 게임 시리즈 『Horizon』을 “노골적으로 모방(slavish clone)”했다고 주장하였다. 이 소송은 글로벌 게임 산업에서 반복되어 온 ‘클론 게임(clone game)’ 논란이 다시금 본격화된 사례로 국가 간, 대규모 게임사 간의 분쟁이라는 점에서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2. 주요 내용
1) 소니의 주장
소니는 자사 게임 『Horizon』의 주인공을 포스트 아포칼립스(Post Apocalypse) 세계에서 인류를 수호하는 붉은 머리 여전사로 설정했다. 그런데 텐센트의 『Light of Motiram』이 이와 매우 유사한 설정을 했다고 주장하였는데, 이 게임 역시 붉은 머리 여자 주인공, 거대한 로봇 동물, 생존을 위해 싸우는 부족 집단이 등장하여, 소니 게임 『Horizon』의 세계관과 게임플레이 테마를 거의 그대로 모방했다는 것이다.
또한 그림 스타일, 배경과 건축 이미지, 색상 톤, 글꼴, 카메라 시점, 음악적 분위기 등 ‘법적으로 보호되는 구체적 표현물(protected audiovisual elements)’이 침해되었다는 점도 지적하였다. 즉, 이번 사건은 단순한 아이디어 차원의 유사성이 아니라, 소니가 독창적으로 창출한 시청각적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침해되었다는 것이다.
2) 글로벌 게임 시장의 맥락
클론 게임(Clone Game) 문제는 글로벌 게임 산업에서 오랫동안 반복되어 온 핵심 분쟁 사안이다. 최근 플랫폼 중심의 게임 유통 구조가 확 대되면서 이 문제가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예컨대, 로블록스(Roblox) 플랫폼에서 인디 게임(Indie Game) 『Peak』이 흥행하자, 이를 본뜬 AI가 생성한 저품질의 복제품인 ‘AI 슬롭(AI slop)’이 다수 생성되었다. 원작자의 창작 가치를 훼손하는 복제물이 플랫폼의 제재를 피해 유통된다는 사실은 저작권 보호 체계의 한계와 취약성을 드러낸다. 결국 클론 게임은 대형 게임사의 수익성만이 아니라, 소규모 창작자의 권리 보호와 창작 생태계 지속성에도 심각한 위협을 가하는 문제로 확대되고 있다.
3) 국제적 분쟁 양상
이번 소송은 미국·일본의 대형 게임사와 중국의 대형 게임사가 정면으로 충돌한 사례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과거 클론 게임 분쟁은 주로 인디 vs. 대기업, 혹은 중소 개발사 간 갈등에 국한된 경우가 많았다. 반면, 이번 사건은 플레이스테이션 대표작 『Horizon』을 보유한 소니와 세계 최대 게임 퍼블리셔인 텐센트라는 글로벌 메이저 기업 간 법적 공방으로 전개되고 있다. 따라서 이번 분쟁은 개별 기업의 이해관계를 넘어, 국제 게임 저작권 규범의 방향성에 큰 파급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4) 법적 쟁점
게임 산업에서는 흔히 ‘아이디어 자체는 보호되지 않는다’는 통념이 존재한다. 이번 소송의 경우, 부족 세계관, 포스트 아포칼립스 배경, 로봇 생명체와의 전투 같은 추상적 아이디어만으로는 저작권 보호를 받기 어렵다는 것을 소니도 인지하고 있다. 그래서 소니가 강조하는 지점은 ‘법적으로 보호되는 구체적 표현물’의 침해 여부이다.
따라서 이번 소송은 법원이 게임의 표현물 보호 범위를 어디까지 인정할 것인지 시험하는 중요한 사례가 될 것으로 보인다. 만약 법원이 소니의 손을 들어줄 경우, 이는 향후 클론 게임 규제 강화, 국제 저작권 보호 협력, AI 슬롭 대응에서 새로운 판례로 기능할 가능성이 크다.
3. 결론 및 시사점
이번 분쟁은 게임 산업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온 저작권 보호 범위의 불명확성을 다시 보여주고 있다. 특히 최근 확산되고 있는 AI 기반 도구는 AI 슬롭의 등장을 가속화하여, 대형 게임사뿐 아니라 인디 개발자와 같은 소규모 창작자들에게도 새로운 위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관찰된다.
미국 법원이 이번 사건에서 ‘법적으로 보호되는 구체적 표현물’의 보호 범위를 어떻게 해석할지는 기업 간 이해관계 차원을 넘어, 글로벌 게임사와 인디 개발자 모두에게 영향을 미칠 판례적 기준이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번 소송은 향후 국제 게임 저작권 체계의 방향성을 가늠할 수 있는 사례로 주목된다.
참고자료
-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LLC v. Tencent Holdings Ltd. (3:25-cv-06275) : https://deadline.com/wp-content/uploads/2025/07/SONY-TENCENT-CLONE-SUIT.pdf》
- 《Sony sues Tencent for allegedly ripping off 'Horizon' video games : https://www.reuters.com/legal/litigation/sony-sues-tencent-allegedly-ripping-off-horizon -video-games-2025-07-28/》
- 《AI Slop Is Ripping Off One of Summer’s Best Games. Copycats Are Proving Hard to Kill: https://www.wired.com/story/ai-slop-is-ripping-off-one-of-summers-best-games-fighting-back-is-harder-than-you-thi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