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도 AI반도체글로벌역량강화 신규과제 예고(디지털혁신인재단기집중역량강화사업)
2025-04-03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주요내용
브라우저 보안정책에 따라 이미지가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Mixed Content)
2025년도 AI반도체글로벌역량강화 신규과제 예고(디지털혁신인재단기집중역량강화사업)
2025년도 AI반도체글로벌역량강화 신규과제 예고 - 디지털혁신인재단기집중역량강화사업 - / 「국가연구개발혁신법」제9조 및 동법 시행령 제6조에 따라 2025년도 디지털혁신인재단기집중역량강화사업 신규지원 대상과제 및 공모일정을 안내합니다. / □ 사업목적 ㅇ 디지털 혁신기술* 분야 해외 최고 수준 대학에 맞춤형 교육과정을 개설하고 ICT 분야 국내 대학원생들을 파견·교육하여 고급인력 양성 * 디지털 혁신기술 : AI, AI반도체, 메타버스, 사이버보안, 양자정보통신, 5G·6G / □ 공고기간 : 2025.4.10.(목)~5.21.(수) * 상기일정은 변경될 수 있음 / □ 신규지원 과제 : 1개 과제 ㅇ AI반도체 글로벌 고급인재(석‧박사급) 양성을 위한 위탁 교육과정(AI반도체 분야 해외 최고 수준 대학) 개설‧운영, 파견 인력 선발‧교육‧관리‧성과홍보 등 지원 - (예산규모) ’25년, 총 5억원 ※ 정부지원연구개발비는 ’25년에 한정하여 확정(’26∼’30년 매년 21억원 예정), ‘26년부터는 정부예산 상황 및 국회 심의결과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 (지원기간) 총 6년(1단계 : 3년, 2단계 : 3년) ※ 총 6년을 협약·지원하되 과제 수행 3년 후 단계평가를 통해 추가 3년 지원 여부를 결정하며, 연구개발과제가 변경‧중단되거나, 정부지원연구개발비 향후 예산 상황에 따라 감액·증액될 수 있음 / < 해외 파견 교육 지원(안) > / ㅇ 교육인원* : 연간 30명 내외 * 정부지원연구개발비, 해외 파견 환경 변화 등에 따라 연구관리전문기관 및 부처 협의를 통해 필요시 변동될 수 있음 / 해외 파견 교육지원안을 년도, 위탁교육기간, 교육인원, 연구비, 지원내용으로 나타낸 표 / 년도, 위탁 교육 기간, 교육인원, 연구비, 지원 내용 / [‵25년] 해외 교육 과정 개설 등, 5억원, · 교육과정 개설‧운영, 파견 인력 선발‧교육‧관리‧성과홍보 등 / [‵26년∼‵30년] 6개월, 연간 30명 내외, 연간 21억원 규모 / [합계] 150명 내외, 약 110억원 / ㅇ 하기 신규 과제 추진 방향에 부합하도록 지원기관에서 글로벌 위탁 교육과정 제안 /추진 방향 / [ 인재상 ] AI 반도체 아키텍처 인력(AI 반도체 시스템 설계, 개발에 특화된 전문가) · AI 반도체 아키텍처 인력에게 필요한 역량 ① AI Framework* ② System AI 적용 이해 및 분석 ③ AI 반도체 설계 최적화 ④ AI 기능 검증 등 (①, ④ 한국 학생 역량 다소 부족, ② 산학 연계형 교과목 필요, ③ 필수역량) * 머신러닝과 딥러닝 모델을 개발, 학습, 배포하는데 사용하는 SW Library와 Tools [ 협력 우선 대학 ] Stanford, UC Berkeley, MIT, CMU 등에 준하는 대학(원) * 상기 대학(원)은 산‧학‧연 AI반도체 전문가 회의 통해 커리큘럼, 교수진, 인프라, 한국과의 협력, 글로벌 순위, 산학연 연계 등 적합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으며, 이외 준하는 대학(원)은 지원기관이 자발적 검토‧제안 [ 교육 과정(안) ] Architecture(NPU, 경량화 또는 최적화 알고리즘) + AI/ML + System SW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