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국민여가활성화를 위한 문화서비스 개선 연구

2018-11-27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주요내용

국민여가활성화를 위한 문화서비스개선연구_최종_썸네일.jpg 

- 개요 -

가. 연구의 배경
  ○ (삶의 양식) 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워라밸’ 가치관 확산, 노후생활을
      의미 있게 보내기 위한 여가 욕구 상승 등 사회 전반에서 문화여가를 중시하는
      경향 확산
    - 정서적 안정과 일상의 여유에 집중하는 밀레니얼세가 사회의 핵심 인력으로 진입
    - 의미 있고, 즐거운 노후생활은 현재, 미래에 핵심 이슈로 등장할 것으로 예상
  ○ (사회적 여건) 노동시간 단축 등 문화적 삶을 가능하게 하는 사회적 여건의 성숙
    - 2018년 7월 1일부터 근로기준법 개정으로 법정 근로시간이 1주일 최대 68시간에서
      52시간으로 단축됨에 따라 늘어난 여가시간의 건강한 활용을 위한 정부의 역할 중요
  ○ (수용태세) 사회변화, 삶의 양식의 변화로 인해 그간 정체되었던 문화서비스 수용태세
      점검 및 개선의 필요성 증가
    - 사회구조의 변화, 시민들의 요구에 대응하는 문화서비스 방향 설정 필요
    - 노동시간 감소에 따른 소득감소 계층을 중심으로 문화서비스 향유의 불균형을 방지할
      대책 마련 필요


나. 연구의 목적
  ○ 문화여가 향유 여건 변화에 따라 현재의 문화서비스의 수용태세를 점검하고, 보다 많은
     수요자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개선방향 설정


- 목 차 -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제2장 문화서비스 특성분석 
  제1절 문화서비스의 개념과 범위 
  제2절 문화서비스의 의미와 쟁점 


제3장 문화서비스 수요-공급 분석 
  제1절 공공 문화서비스 수요여건 
  제2절 공공 문화서비스 수요ㆍ공급 실태 

 
제4장 문화서비스 참여여정 분석 
  제1절 문화서비스 참여여정 조사개요 
  제2절 조사 결과
  제3절 대상 특성별 문화서비스 참여 분석 
  제4절 문화서비스 참여여정 분석 


제5장 종합 진단 및 개선과제 
  제1절 문화서비스 종합진단 
  제2절 문화서비스 개선과제 
  제3절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