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브라우저 보안정책에 따라 이미지가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Mixed Content)
한류 파급효과 연구
목차
1. 한류의 경제적 파급효과 연구
1.1. 한류지수와 국가별 현황
1.1.1. 연구개요
1.1.1.1. 한류의 개념과 범위
1.1.1.2. 설문 조사 개요
1.1.2. 한류지수의 개념과 한류의 경제적 파급효과 산출 과정
1.1.2.1. 한류지수의 개념과 측정방법
1.1.2.2. 한류지수의 개선 필요성과 보조지표 개발
1.1.2.3. 한류의 경제적 파급효과 산출 과정
1.1.3. 국가별 한류지수 현황
1.1.4. 국가별 한류지수 변화 분석
1.1.5. 한류 보조지표 분석
1.1.6. 국가별 열성적 이용자 분석
1.1.7. 국가별 한류콘텐츠 경험률, 호감도, 소비량 변화 분석
1.1.7.1. 한류콘텐츠 경험률
1.1.7.2. 한류콘텐츠 호감도
1.1.7.3. 한류콘텐츠 소비량 변화
1.2. 한류의 경제적 효과
1.2.1. 경제적 효과의 범위
1.2.2. 경제적 효과 추정 방법
1.2.3. 한류의 수출 효과
1.2.3.1. 직접수출효과
1.2.4. 한류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1.2.3.1. 산업연관분석과 유발계수
1.2.3.2. 생산유발효과
1.2.3.3. 부가가치유발효과
1.2.3.4. 취업유발효과
1.2.5. 한류지수와 소비재 수출과의 관련성 분석
1.2.6. 한류로 인한 외국인 유학생 증가의 경제적 효과
1.3. 한류 정책 방안 제언
1.3.1. 국가별 한류 촉진 및 경제적 활용 방안
1.3.2. 산업별 한류 활용 방안
1.3.3. 경제성장과 고용창출을 위한 한류 지원 정책의 필요성
2. 한류의 비경제적 가치 분석: BTS와 ARMY의 공감적 소통 사례를 중심으로
2.1. 서론
2.2. 연구내용 및 범위
2.2.1. 경제한류와 문화한류
2.2.2. 글로컬 문화로서의 한류와 K-Pop
2.2.3. 뉴미디어와 팬덤의 진화
2.2.4. K-Pop 팬덤과 초국적문화공동체
2.3. BTS 관련 디지털 데이터 분석
2.3.1. 빅데이터 분석
2.3.1.1. 빅데이터 분석 방법론
2.3.1.2. 국내외 BTS 관련 뉴스기사 검색
2.3.2. 초점집단면접조사 분석
2.3.3. 동영상 자료 분석
2.4. 연구결과
2.4.1. BTS 관련 기사 분석 결과
2.4.1.1. 국내 뉴스기사 검색
2.4.1.2. 빌보드닷컴 기사 분석
2.4.1.3. 트위터 분석
2.4.2. 문헌연구 및 정성조사 결과: K-Pop과 BTS
2.4.2.1. BTS의 스토리텔링
2.4.2.2. BTS 소통과 소셜 미디어
2.4.2.3. BTS만의 화려한 퍼포먼스와 뮤직 비디오의 영상미
2.4.2.4. 멤버들의 형제 같은 관계와 팀워크
2.4.2.5. BTS의 기록
2.4.3. ARMY 팬덤의 초국적화, 초문화화
2.4.4. BTS의 경제·외교·사회·문화적 영향력
2.4.4.1. 경제적 효과
2.4.4.2. 사회적 효과
2.4.4.3. 문화적 효과
2.4.4.4. 외교적 효과
2.5. 한류의 비경제적 효과: 한류콘텐츠를 통한 소통과 문화공감
2.5.1. 글로컬라이제이션과 공감사회
2.5.2. BTS와 ARMY의 초국적 공감
2.5.2.1. ARMY들의 세대별 특징
2.5.2.2. BTS와 ARMY의 유대감
2.5.3. 한류의 비경제적 효과
2.6. 한류의 미래를 위한 정책적 제안
2.6.1. K-Pop의 이미지 제고를 위한 콘텐츠 개발
2.6.2. 공감을 주제로 한 콘텐츠 개발
2.6.3. 새로운 문화소비층의 문화적 특성 이해
2.6.4. 아이돌 그룹 매니지먼트의 선진화
2.6.5. K-Pop 팬클럽의 하위문화 활동 지원
2.6.6. K-Pop 콘서트 공간 확보 및 티켓 관리 시스템 마련
3. 한류를 활용한 국내 소프트파워 강화방안 연구
3.1.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3.1.1. 연구배경
3.1.2. 연구목적
3.1.3. 연구방법론
3.2. 소프트파워
3.2.1. 소프트파워의 정의
3.2.2. 소프트파워에 대한 재고찰
3.2.3. 한국의 소프트파워의 현황과 문제점
3.2.4. 소프트파워 관리의 사례
3.2.4.1. 일본
3.2.4.2. 중국
3.2.4.3. 미국
3.3. 한류의 등장과 소프트파워
3.3.1. 한류의 의미와 이해 : 문화적 정체성과 한류의 발현
3.3.2. 한류의 현황과 문제점
3.3.3. 미래지향적 한류의 의미와 가능성
3.3.4. 한국의 소프트파워를 강화를 위한 한류의 발전 방향
3.4. 한국형 소프트파워 관리 모델의 구축
3.4.1. 한국형 소프트파워 모델의 필요성 및 제안
3.4.2. 한국형 소프트파워(K-Softpower)의 원천과 유형
3.4.3. 소프트파워 모델의 구성 차원의 이론적 타당성 검토
3.4.3.1. 소프트파워로서의 국가브랜드와 한류
3.4.3.2. 소프트파워로서의 공공외교와 한류
3.4.3.3. 소프트파워로서의 창의산업과 한류
3.4.3.4. 소프트파워로서의 한반도 통일브랜드와 한류
3.4.3.5. 소프트파워와 내부브랜딩
3.4.3.6. 소프트파워와 글로벌 네트워크 플랫폼
3.4.4. 한국형 소프트파워(K-Softpower) 강화와 한류의 역할
3.5. 소프트파워 제고를 위한 한류의 역할 및 전략 제안
3.5.1. 한류를 활용한 국가브랜드 가치 강화 방안 : 국가이미지와 원산지효과를 중심으로
3.5.1.1. 전반적 국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3.5.1.2. 한류를 활용한 원산지효과의 강화
3.5.2. 공공외교, 대외정책에서의 한류의 전략적 활용
3.5.3. 창의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한류의 전략적 운영
3.5.4. 국가정체성의 공유와 지속적인 재정립을 위한 한류 기회의 활용
3.5.5. 한류를 통한 글로벌 플랫폼 형성
3.5.6. 한반도 통일브랜딩에 기여할 한류의 역할과 가능성
3.6. 결론
개요
- 본 연구는 한류지수를 측정하여 주요 국가별 한류의 인기도와 성장도를 분석하고, 한류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여 한류를 국가적 자산으로 관리 육성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 는 데 목적이 있다. 한류 촉진과 국가 간 문화교류 촉진을 위한 정책 수립을 위해서는 한류 확 산 정도의 국가별 추이와 경제적 파급효과에 대한 체계적이며 다각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류지수를 활용하여 한류의 대중화 정도와 성장도에 따라 국가를 분류하고 전년 조사 대비 변화된 사항들을 분석한다. 또한 해외 소비자들의 한류콘텐츠 소비 행동, 그리고 한 류로 인한 생산유발·부가가치유발·취업유발 효과 등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