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미디어분야 자료의 통합 연계 및 활용방안 연구
2019-06-10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원문보기
주요내용
브라우저 보안정책에 따라 이미지가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Mixed Content)
방송미디어분야 자료의 통합 연계 및 활용방안 연구
목차
1. 서 론
2. 방송미디어 분야의 통계
2.1. 연구 배경
2.1.1. 방송산업 실태조사
2.1.2. 방송매체 이용행태 조사
2.1.3. 방송사업자 시청점유율 조사․산정
2.1.4. 방송통신광고비 조사
2.1.5. KADEX-Q(분기별 광고비 추정조사)
2.1.6. 글로벌 한류 실태조사
2.1.7. 언론산업 실태조사
2.1.8. 잡지산업 실태조사
2.1.9. 언론수용자 의식조사, 10대 청소년 미디어 이용 조사
2.1.10. 언론인 의식조사
2.1.11. 인터넷 이용 실태조사
2.1.12.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2.2. 행정 자료(보고 통계)
2.2.1. 방송사업자 재산상황 공표
2.2.2. 방송사업자 편성현황 조사
2.3. 가공 자료
2.3.1. 국제 방송시장 조사
2.3.2. 시청자평가지수(KI) 조사
2.3.3. KAI(Korea Advertising Index)
2.3.4. 방송콘텐츠에 대한 시청자의 인터넷 반응 정보
2.4. 소 결
3. 자료 통합 방법
3.1. 개념 및 용어
3.1.1. 자료 통합의 종류
3.1.2. 용어
3.2. 자료 통합 연계 사례
3.2.1. 해외 사례
3.2.2. 국내 사례
3.3. 소 결
4. 통계적 자료 통합
4.1. 자료 통합의 전제
4.1.1. 조건부 독립성(CIA: Conditional Independence Assumption)
4.1.2. 공통변수의 동질성
4.2. 통계적 자료 통합의 수행과정
4.2.1. 자료의 준비
4.2.2. 매개 변수(Matching variable)의 선택
4.2.3. 근사성 측정
4.3. 통계적 자료 통합의 방법
4.3.1. 매크로 통합
4.3.2. 모수적 방법을 이용한 마이크로 통합
4.3.3. 비모수적 방법을 이용한 마이크로 통합
4.3.4. 제한적 통합과 비제한적 통합
4.3.5. 혼합 통합(Mixed Matching)
4.4. 통계적 자료 통합의 모의실험
4.4.1. 모의실험 개요
4.4.2. 자료 통합 및 모의실험 평가 방법
4.4.3. 모의실험 결과
4.5. 소 결
5. 통합연계자료 실증 분석
5.1. 통합 연계 배경 및 자료
5.1.1. 통합 연계 배경
5.1.2. 한국미디어패널조사
5.1.3.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5.1.4. 통합 연계자료 비교
5.2. 통합 연계 방법 설계 및 결과
5.2.1. 공통 변수
5.2.2. 매개 변수의 선정
5.2.3. 자료 통합 연계 결과 및 통합자료의 선정
5.3. 통합 자료의 분석
5.4. 소 결
6. 결 론
개요
- 정책수립 과정에서 증거 기반의 의사결정이 중요해지면서, 다양한 분야에 걸친 복합적 통계 생산에 대한 요구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반면, 새로운 조사를 설계하고 수행하는 것은 숙련된 인력이 필요할 뿐 아니라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된 통계의 적시성이 담보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인건비 상승, 개인정보 보호 강화, 1인 가구의 증가 등 사회적 변화는 조사환경의 악화와 연결되고 있으며, 복합적 통계 생산을 위한 설문 문항의 증가는 무응답 비율의 증가로 이어져 자료의 질을 떨어뜨리는 요소로 작용한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PDF)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