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방송미디어분야 자료의 통합 연계 및 활용방안 연구

2019-06-10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주요내용

방송미디어분야 자료의 통합 연계 및 활용방안 연구

  • 목차

    • 1. 서 론
      • 1.1. 연구 배경
      • 1.2. 주요 연구 내용
    • 2. 방송미디어 분야의 통계
      • 2.1. 연구 배경
        • 2.1.1. 방송산업 실태조사
        • 2.1.2. 방송매체 이용행태 조사
        • 2.1.3. 방송사업자 시청점유율 조사․산정
        • 2.1.4. 방송통신광고비 조사
        • 2.1.5. KADEX-Q(분기별 광고비 추정조사)
        • 2.1.6. 글로벌 한류 실태조사
        • 2.1.7. 언론산업 실태조사
        • 2.1.8. 잡지산업 실태조사
        • 2.1.9. 언론수용자 의식조사, 10대 청소년 미디어 이용 조사
        • 2.1.10. 언론인 의식조사
        • 2.1.11. 인터넷 이용 실태조사
        • 2.1.12.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 2.2. 행정 자료(보고 통계)
        • 2.2.1. 방송사업자 재산상황 공표
        • 2.2.2. 방송사업자 편성현황 조사
      • 2.3. 가공 자료
        • 2.3.1. 국제 방송시장 조사
        • 2.3.2. 시청자평가지수(KI) 조사
        • 2.3.3. KAI(Korea Advertising Index)
        • 2.3.4. 방송콘텐츠에 대한 시청자의 인터넷 반응 정보
      • 2.4. 소 결
    • 3. 자료 통합 방법
      • 3.1. 개념 및 용어
        • 3.1.1. 자료 통합의 종류
        • 3.1.2. 용어
      • 3.2. 자료 통합 연계 사례
        • 3.2.1. 해외 사례
        • 3.2.2. 국내 사례
      • 3.3. 소 결
    • 4. 통계적 자료 통합
      • 4.1. 자료 통합의 전제
        • 4.1.1. 조건부 독립성(CIA: Conditional Independence Assumption)
        • 4.1.2. 공통변수의 동질성
      • 4.2. 통계적 자료 통합의 수행과정
        • 4.2.1. 자료의 준비
        • 4.2.2. 매개 변수(Matching variable)의 선택
        • 4.2.3. 근사성 측정
      • 4.3. 통계적 자료 통합의 방법
        • 4.3.1. 매크로 통합
        • 4.3.2. 모수적 방법을 이용한 마이크로 통합
        • 4.3.3. 비모수적 방법을 이용한 마이크로 통합
        • 4.3.4. 제한적 통합과 비제한적 통합
        • 4.3.5. 혼합 통합(Mixed Matching)
      • 4.4. 통계적 자료 통합의 모의실험
        • 4.4.1. 모의실험 개요
        • 4.4.2. 자료 통합 및 모의실험 평가 방법
        • 4.4.3. 모의실험 결과
      • 4.5. 소 결
    • 5. 통합연계자료 실증 분석
      • 5.1. 통합 연계 배경 및 자료
        • 5.1.1. 통합 연계 배경
        • 5.1.2. 한국미디어패널조사
        • 5.1.3.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 5.1.4. 통합 연계자료 비교
      • 5.2. 통합 연계 방법 설계 및 결과
        • 5.2.1. 공통 변수
        • 5.2.2. 매개 변수의 선정
        • 5.2.3. 자료 통합 연계 결과 및 통합자료의 선정
      • 5.3. 통합 자료의 분석
      • 5.4. 소 결
    • 6. 결 론

개요

- 정책수립 과정에서 증거 기반의 의사결정이 중요해지면서, 다양한 분야에 걸친 복합적 통계 생산에 대한 요구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반면, 새로운 조사를 설계하고 수행하는 것은 숙련된 인력이 필요할 뿐 아니라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된 통계의 적시성이 담보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인건비 상승, 개인정보 보호 강화, 1인 가구의 증가 등 사회적 변화는 조사환경의 악화와 연결되고 있으며, 복합적 통계 생산을 위한 설문 문항의 증가는 무응답 비율의 증가로 이어져 자료의 질을 떨어뜨리는 요소로 작용한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PDF)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20190608150318.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