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10일은 오늘의 LA 한인사회를 있게 한 코리안 커뮤니티의 대부, 안창호 선생의 기일이다. 도산 선생은 1938년 3월 10일, 순국했다. LA에는 도산 안창호 선생의 발자취를 느낄 만한 장소가 여럿이다. 우선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Walk of Fame)에 도산 안창호의 아들 필립 안의 동판이 있고, 한인타운에는 도산 안창호 우체국, 대한민국민회 총회관, 도산안창호하우스가 있으며, 프리웨이(통행세가 없는 고속도로)에도 도산 안창호 교차로가 있다. 또한 LA 한인타운에서 자동차로 1시간 거리에 위치한 리버사이드 카운티(Riverside County)에는 안창호 선생의 동상이 들어서 있다. 미주 도산안창호기념사업회에서 2001년 8월 11일에 건립한 ‘도산 안창호 기념 동상(Dosan Ahn Chang-Ho Memorial)’은 리버사이드 주정부 사무소 인근의 리버사이드 보행자 몰(Riverside pedestrian mall) 초입에 위치해 있다. 주소는 3750 Main St, Riverside, CA 92501이고 메인 가(Main St.) 선상, 유니버시티 애브뉴(University Ave.)와 만나는 지점이다. 위쪽으로는 미션 인 애브뉴(Mission Inn Ave.)가 지나고 있다. 동상이 있는 공원 같은 공간에는 마하트마 간디,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목사의 동상도 함께 들어서 있다. 도산 선생의 동상 작업은 커뮤니티 디자인 그룹(Community Design Group)이 담당했는데 2016년 재단장을 통해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양복을 입은 멋진 모습의 동상과 더불어 안창호 선생님이 동료들과 오렌지를 따는 모습, 일과 후 한인들과 함께 교회에서 기도하는 모습, 한민족학교에서 작은 책상에 앉아 공부하는 모습 등 선생의 일대기를 그려넣은 부조에서 당시의 커뮤니티 활동을 엿볼 수 있다. 도산 안창호 선생(1878년 11월 9일~1938년 3월 10일)은 일제강점기 시절의 독립 운동가 겸 교육가, 사상가, 혁명가, 정치가이다. 미국인 개신교 선교사로부터 신교육을 받았던 그는 1902년 11월, 아내 이혜련과 미국으로 출국하던 길에 망망대해에 서 있는 하와이섬을 보고서 자신의 호를 도산(島山)으로 짓는다. 안창호 선생은 이후 리버사이드 카운티에 정착하여 주변 한인들을 규합한 단체를 만들어 독립운동 자금을 마련하기 시작한다. 당시 LA에서 살던 한인 동포들은 대부분 농장에서 일하거나 세탁소에서 일했다고 한다. 안창호 선생도 허름한 작업복을 입고 오렌지를 땄고 사탕수수를 수확했다. 도산 선생은 '오렌지 한 개를 정성껏 따는 것이 나라를 위하는 것이다.'고 말하곤 했다고 전해진다. 재미동포들은 그렇게 오렌지농장, 사탕수수농장에서 온갖 인종차별과 고된 노동을 견디고 땀 흘려 번 월급의 50퍼센트 이상을 기꺼이 독립자금으로 내놓았고, 그렇게 모은 돈을 상하이로 보내 대한민국임시정부 청사를 마련하고 임시정부를 수립하는 초석으로 쓰일 수 있게 했다. 이곳의 부조 조각들과 당시 사진을 보면 독립투사들은 항상 말쑥한 양복 정장을 입은 모습이다. 이는 사진 찍을 때만이라도 단벌의 양복을 입고 떳떳하고 의연한 모습으로 보이고 싶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양복입은 사진만 봐서는 독립운동가들이 돈 있는 명문가 사람들이 손에 흙 하나 안 묻히고 독립운동을 한 것으로 잘못 오해될 수도 있었다. 그러나 안창호 선생 역시 미국의 오렌지 농장에서 농부로 일했고 그렇게 고생해서 번 돈으로 독립운동을 한 것이다. 그러다 1937년 일제가 국내 흥사단을 말살하기 위해 동호회 회원 150여 명을 검거하는 ‘수양 동우회 사건’이 발생하는데 도산은 이때(6월 28일) 체포된 후, 11월 1일, 서대문 형무소에 수감돼 병을 얻게 됐다. 일제는 12월 24일, 도산을 서대문 감옥에서 억지로 나오게 한 후, 사망 직전, 당시의 경성대(현 서울대) 병원에 입원시켰다. 이때 이미 선생에게는 고문과 투옥에 병색이 짙었고 도산이 감옥 안에서 사망할 경우, 항일운동이 보다 격화되고 또 다른 독립운동의 도화선이 될 것을 막기 위해 일제는 선생을 병원으로 옮겼다. 도산은 이듬해인 1938년 3월 10일, 순국했다. 안창호 선생은 미국과 중국, 한국 각지에서 조국의 독립을 위해 노력하는 것은 물론, 이상촌 건설 등 여러 가지 일들을 진행하지만 살아 생전 독립을 보지 못한 채 사망했고 이상촌 사업도 모두 실패했다. 그럼에도 도산 선생은 국권 회복 희망의 등불이었고 그의 삶은 오직 대한민국의 독립뿐이었다. 모두가 절망할 때 도산 선생은 끝까지 희망을 얘기했으며 명예와 권세를 탐하지 않았고 죽음조차 두려워하지 않았다. 그의 뜻을 따랐던 이광수, 김성수, 최남선 등은 말년에 친일파로 변절했지만 그는 끝까지 포기하지 않았고, 결국 대한민국은 그가 바라던 대로 독립이 되었다. 2016년, ‘도산 안창호 선생의 기념 동상’의 재단장과 때를 같이 하여, 8월 20일 《MBC》의 예능 프로그램인 <무한도전>에서는 도산 안창호의 유적지를 돌아보는 LA 특집 편이 방송됐었다. LA 특집 ‘도산 안창호’ 편은 수많은 미주 한인들로 하여금 <무한도전>이라는 프로그램을 재평가하게 만들었다. 프로그램 초반에 6명의 멤버들이 10여 분간 LA를 순회하던 무렵, 미션 하나가 떨어졌다. 할리우드인 만큼 도로 바닥에 깔린 영화배우들 동판 중에서 한국 배우 3명을 찾아 인증샷을 찍으라는 것이었다. 멤버들은 동분서주 뛰어다니며 안성기와 이병헌의 동판을 찾아냈다. 그런데 나머지 한 명은 누구인지 도저히 찾을 수가 없다. 6명의 멤버들 중 세 번째 한국인 영화배우를 찾은 이는 아무도 없다. 그들의 미션에 포함된 제3의 한국 배우는 '필립 안(Philip Ahn)', 즉 도산 안창호 선생의 장남이었다. 필립 안은 무려 200여 편의 영화에 출연한 바 있는 재미교포 2세 배우이다. 도산 안창호 선생은 '반드시 조국을 일으켜 세우겠다'라는 뜻으로 아들 이름을 안필립(安必立)이라고 지었다. 안창호 선생이 LA, 상해, 유럽, 한국 등을 넘나들면서 대한민국 독립을 위해 힘쓰는 동안 가정은 아내 이혜련 여사와 장남인 안필립의 책임이었다. 안창호 선생의 막내아들 안필영 선생 또한 <무한도전>에 출연해 100년 전 역사를 살아있는 생생한 현실로 증명해주었다. 안필영 선생은 '빼앗긴 조국을 찾기 위해 나의 아버지와 한인 동포들이 했던 노력을 잊지 않고 찾아와 주셔서 감사하다'고 인사한 후 '나는 아버지를 한 번도 뵌 적이 없다. 내가 태어났을 무렵 아버지는 상해에서 임시정부 설립을 하고 계셨다'며 '어머니께서는 아버지가 어떤 일을 하고 무엇을 위해 싸우는지 항상 말씀하셨다. 우리가 그런 아버지를 따라야 한다고 말했다'고 증언했다. 안창호 선생은 대한민국의 독립을 위해 정의롭게 헌신했고, 손발로는 대한민국의 자립을 위해 성실하게 노동을 행했다. 안창호 선생의 기일 즈음에 찾은 동상 앞에서 오늘날의 한인사회를 있게 한 선생의 값진 인생을 돌아본다.
<리버사이드 카운티에 위치한 도산 안창호 동상 – 출처 : 통신원 촬영>
<안창호 선생과 당시 동포들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부조 조각 – 출처 : https://www.publicartinpublicplaces.info/dosan-ahn-chang-ho-memorial-2001-by-community-design-group>
<도산과 간디, 마틴 루더킹 주니어 목사의 동상 – 출처 : https://www.publicartinpublicplaces.info/dosan-ahn-chang-ho-memorial-2001-by-community-design-group>
<무한도전에 나온 도산 안창호 선생의 빛바랜 사진 – 출처 : MBC 예능유튜브 채널(@MBCentertainment)>
<지도상의 리버사이드 도산 동상의 위치 – 출처 : 구글 지도 스크린샷>
※ 참고자료 공공장소 유적지 사이트 내 안창호 선생 동상 링크, https://www.publicartinpublicplaces.info/dosan-ahn-chang-ho-memorial-2001-by-community-design-group
성명 : 박지윤[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미국(LA)/LA 통신원] 약력 : 현) 마음챙김 명상 지도자. 요가 지도자 전) 라디오코리아 ‘저녁으로의 초대’ 진행자 미주 한국일보 및 중앙일보 객원기자 역임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졸업 UCLA MARC(Mindful Awareness Research Center) 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