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현지 편의점의 한국화가 눈길을 끈다. 2013년 인도네시아에서 잡화와 일상용품을 판매하는 편의점으로 시작한 케이3 마트(K3 Mart)는 2023년부터 본격적으로 한국식 매장으로 변화를 꾀했다. 케이3 마트는 한국 라면, 간편식품, 화장품, 의류 등 다양한 한국 제품을 판매할 뿐만 아니라 매장 내부를 한국적인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공간으로 꾸며 한류의 매력을 강조하고 있다. 케이3 마트는 한국 라면, 구운 달걀, 어묵, 떡볶이, 찐빵 등 다양한 한식을 제공하고 있다. 그중 약 50%를 한국에서 수입해 인도네시아 소비자들에게 인기 있는 한국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이 같은 한국화 전략은 인도네시아 소비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어 2025년까지 케이3 마트는 자카르타를 비롯한 수도권 반둥(Bandung), 말랑(Malang), 수라바야(Surabaya) 등지에 33개 매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올해 점포 수를 50개로 확대할 계획이다. 케이3 마트의 성공은 한국 제품과 한류에 대한 인도네시아의 높은 수요를 반영하며 앞으로도 한국문화 및 관련 브랜드가 인도네시아 시장에서 더욱 널리 퍼질 가능성을 시사한다.
< 한국식 구운 달걀을 판매하는 케이3 마트 – 출처: 케이3 마트 인스타그램 계정(@k3mart.id) >
그러나 케이3 마트의 특별한 점은 단순히 한국 제품과 한국 음식을 판매하는 데 그치지 않고 공간 구성을 통해 독특한 고객 경험을 선사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케이3 마트는 모든 매장 공간을 화려한 한글 네온사인으로 장식하고 포토존을 마련하는 등 한국적인 분위기를 강조해 고객들이 한국을 연상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하지만 여기서 더 중요한 것은 리처드 스탠리(Richard Stanley) 케이3 마트 설립자의 설립 목표인 '고객들에게 잊을 수 없는 경험을 선사하는 것'을 실현하며 인도네시아인들에게 한국문화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한류 콘텐츠에 열광하는 젊은 인도네시아 소비자들을 타깃으로 케이팝 아이돌 뮤직비디오를 상영하고 에스파, BTS 등 유명 케이팝 음악을 함께 부르며 즐길 수 있는 노래방 이벤트를 주기적으로 개최하고 있다. 또한 케이3 마트는 한류 콘텐츠 속 한국 라면을 직접 체험하고 싶은 소비자들을 위해 오픈형 주방을 마련해 라면과 간단한 즉석식품을 직접 조리하고 먹을 수 있는 공간을 운영하고 있다. 방문객들은 "노래방 이벤트라니 나와 함께 가자.(@sridwi_k)", "케이3 마트에서 사진을 찍을 때는 이런 자세가 예쁘게 나와요.(@trimaaar)" 등의 반응을 보였다. 이 같은 경험적 요소는 케이3 마트가 단순히 한국 제품을 파는 상점이 아니라 한국문화를 체험하는 공간으로서 현지인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고 한류와 한국문화를 인도네시아에 더욱 확산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 한글 네온사인으로 꾸며진 케이3 마트 – 출처: 샤피라 틱톡 계정(@kuliner_sby) >
최근 케이3 마트는 넷플릭스에서 인기 있는 드라마에서 영감을 받은 신제품을 출시하며 한류 드라마 팬층을 겨냥한 마케팅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최근 흥행한 넷플릭스 오리지널 한국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에서 금명(배우 아이유)과 관식(배우 박보검)이 즐겨 먹은 완두콩밥을 삼각김밥 형태로 출시했다. 해당 제품은 드라마 팬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으며 인도네시아인들은 "<폭싹 속았수다> 삼각김밥이라니 먹으면서 관식이가 생각나요.(@jemyjunhadevi88)", "한 입 먹으면 드라마 속 도동리로 순간이동한 것 같아요.(@loveluckyluckyme)" 등의 반응을 보였다.
< '폭싹 속았수다' 삼각김밥에 대한 현지 누리꾼들의 반응 – 출처: 케이3마트 인스타그램 계정(@k3mart.id) >
이처럼 케이3 마트는 젊은 소비자의 기대를 충족시키는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통해 브랜드 이미지를 각인시키고 있다. 특히 케이팝과 한국 드라마라는 콘텐츠 경험을 오프라인으로 확장해 제공하는 새로운 차원의 경험을 창출하고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인도네시아의 젊은 소비자들은 이미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케이팝 뮤직비디오를 보고 한국 드라마를 즐기는 등 한국문화를 접하고 있는데 케이3 마트는 이를 오프라인으로 확장 실현시킬 수 있는 독특한 공간을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현재 인도네시아에는 한국 편의점이 많지 않은 상황이다. 예를 들어 GS25는 2014년에 자사 법인을 설립하고 2016년에 첫 매장을 개점했지만 현재 자카르타와 수도권, 반둥 지역에 단 8개 매장만 운영 중이다. 또한 CU와 이마트24는 아직 인도네시아에 진출하지 않았다. 하지만 케이3 마트 사례처럼 한국 편의점들이 온라인에서 즐기던 한류 경험을 오프라인으로 확장해 새로운 형태의 체험을 제시한다면 성공적으로 시장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사진출처 및 참고자료 - 《Retail Asia》 (2024. 8. 16). K3Mart memadukan budaya Korea dan produk UMKM lokal dalam satu gerai, https://retailasia.com/indonesian/exclusive/k3mart-memadukan-budaya-korea-dan-produk-umkm-lokal-dalam-satu-gerai - 《IDN Times》 (2025. 4. 9). K3Mart Malioboro, Tempat Makan Korea Terbaru di Jogja, https://jogja.idntimes.com/food/dining-guide/lian-xavier/k3mart-malioboro-tempat-makan-korea-terbaru-di-jogja-c1c2 - GS 슈퍼마켓 인도네시아(GS Supermarket Indoensia) 인스타그램 계정(@gssupermarketid), https://www.instagram.com/gssupermarketid/ - 케이3 마트(K3 Mart) 인스타그램 계정(@k3mart.id), https://www.instagram.com/k3mart.id/ - 샤피라(Syafira) 틱톡 계정(@kuliner_sby), https://www.tiktok.com/@kuliner_sby
성명 : 배동선[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인도네시아/자카르타 통신원] 약력 : PT. WALALINDO 이사, 작가, 번역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