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보도자료] ‘글로벌 콘텐츠 허브 도약을 위한 정책 모델 발굴’ 콘진원, 〈글로벌 영상 제작 허브화 해외 사례 연구〉 발간

2024-01-05 한국콘텐츠진흥원

주요내용

‘글로벌 콘텐츠 허브 도약을 위한 정책 모델 발굴’
콘진원, <글로벌 영상 제작 허브화 해외 사례 연구> 발간


- 해외 주요국의 영상 제작 지원 정책 인프라 분석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
- 고용효과 등 부가가치 창출하는 해외 프로덕션 유치 위한 인센티브 제도 활발
- 시설, 편의성, 인센티브 등 한국형 글로벌 영상 제작 허브화 정책 모델 제시


  • 한국콘텐츠진흥원(원장 조현래, 이하 콘진원)은 <글로벌 영상 제작 허브화를 위한 해외 사례 연구> 보고서를 3일 발간했다고 전했다.
◆ 미국, 영국, 캐나다 등 주요국 영상 제작 지원 정책 분석
  • 이번 보고서는 국내 영상 제작사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한국 내 해외 프로덕션 유치를 목적으로 해외 주요국 및 한국과 경쟁할 가능성이 있는 아시아 국가의 영상 제작 지원 정책 인프라를 분석한 내용을 담았다. 전문적인 분석을 위해 인바운드·아웃바운드 영상 제작 경험이 있는 산업계 전문가와 영화진흥위원회, 한국영상위원회 등 관련 기관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했다.
  • 대표적으로 미국의 경우, 해외 영상 제작 수요가 연간 440억 달러(약 58조 원) 규모에 달한다. 유럽, 캐나다, 뉴질랜드, 호주 등 지원제도 및 인프라가 갖춰진 국가들은 이 수요를 유입해 2020년에는 영국 총 영상제작비용의 75%, 캐나다 총 영상제작비용의 90%에 달하는 170억 달러의 영상 제작 순유입을 기록했다.
◆ 해외 프로덕션 유치 위한 인센티브 제도와 경제적 효과
  • 전 세계적으로 해외 영상 제작 유치를 위한 인센티브 제도도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다. 60개국에서 112개의 인센티브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며, 평균 20~30% 수준을 인센티브로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미국(조지아, 뉴욕, 캘리포니아), 영국, 캐나다, 프랑스, 호주 등은 주로 지출금의 일정 비율을 환급해 주는 ▲현금 리베이트나 세금을 크레딧으로 제공해 자유롭게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세금 크레딧을 인센티브 제도로 운영한다. 영국은 연간 1.6억 달러(약 2조 원), 캐나다는 1.25억 달러(약 1.6조 원)를 인센티브 예산으로 집행하고 있다.
  • 이처럼 전 세계적으로 해외 영상물 유치에 노력을 기울이는 이유는 ▲고용 효과 ▲창업 증가 ▲기업 수익성 향상 ▲소프트파워 향상 ▲관광객 유치 등 부가가치 창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은 세금 경감(tax relief) 프로그램을 통해 2017년 약 18만 1천 명, 2019년 약 21만 9천 명의 고용 유발 효과를 거뒀다.
  • 미국 캘리포니아주는 2020년까지 6년간 약 15배의 부가가치 창출 효과를, 영국(180억 달러), 캐나다(140억 달러), 호주(10억 달러) 또한 2019년 기준 전년 대비 15% 이상의 부가가치 창출 효과를 얻은 것으로 추정된다. 호주 시드니의 베어 아일랜드 포트는 영화 <미션 임파서블 2>의 촬영지로 알려지면서 방문객 수가 200% 증가했다.
◆ 글로벌 영상 제작 허브가 되기 위한 정책 방안 모색
  • 연구진은 한국형 글로벌 영상 제작 허브화를 위해서는 IP 발굴 및 지원뿐만 아니라 영상 제작 기반을 다지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주요 정책 모델은 ▲제작 시설·프로덕션 서비스 라이브러리 및 언어지원 체계 구축 ▲영상 제작 편의성 증대를 위한 현장 지원체계 수립 ▲영상 제작 인센티브 예산 확보 ▲인센티브 관련 법적 인프라 마련 ▲유관기관 협업을 통한 거버넌스 체계 구축 등이다.
  • 한편, 글로벌 영상 제작 허브화를 위한 해외 사례 연구 보고서는 콘진원 누리집(www.kocca.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사진. <글로벌 영상 제작 허브화를 위한 해외 사례 연구> 표지

사진. <글로벌 영상 제작 허브화를 위한 해외 사례 연구> 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