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지역쇠퇴에 대응한 지역학의 역할과 문화정책적 접근에 관한 연구

2018-10-25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주요내용

정책-03. 지역 쇠퇴에 대응한 지역문화자원 보전 및 지역학의 역할 연구_1.jpg

1. 연구 배경

󰋪 지역의 위기 : 쇠퇴의 현실화와 소멸의 위협

- 저출산 ․ 고령화 등 국가 및 지역의 인구사회적 변화, 도시환경의 노후화와 쇠퇴, 경제 ․ 산업 기능유출과 일자리 감소 등으로 인해 지역은 사회 ․ 공간적으로 위기에 직면함.

- 도시쇠퇴(Urban Decline), 도시축소(Urban Shrinkage) 나아가 지방소멸의 위기가 본격적으로 논의되고 있음. 마스다 히로야(増田寛也)(2014)는 일본을 사례로 지방의 경제와 고용의 기초 자체가 붕괴되고 있는, 이른바 지방이 소멸과정을 들어섰다고 진단함.

 

󰋪 지역의 사회 ․ 공간적 변화에 있어 ‘문화’가 가지는 의미

- 지역쇠퇴 ․ 축소 ․ 소멸이라는 지역의 사회 ․ 공간적 변화에 있어 ‘문화’가 가지는 의미는 크게 두 가지로 정의할 수 있음.

- 첫째, 쇠퇴, 축소 혹은 소멸로 인해 지역의 고유한 문화정체성과 자산 또한 동시에 소실될 위기에 처하게 됨. 문화정체성과 문화경관이 훼손된 지역의 회복과 재생은 어렵거나, 이전과는 완전히 다른 공간을 창출할 수도 있음. 따라서 지역의 회복과 재생을 위해서라도 역사적으로 축적되어 형성되어온 지역의 생활문화 양식, 문화자산 및 경관을 기록, 보전하고 전승해야 할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음.

- 둘째, 유무형의 지역문화자산은 지역을 회복하거나 새롭게 재창출해내는 중요한 요소이자 동력이 될 것임. 장소마케팅(place marketing), 장소브랜딩(place branding), 지역재생(regional regeneration) 등 일련의 지역 및 장소 활성화와 발전전략은 대체로 지역의 ‘문화’를 매개로 추진되어왔음.

 

󰋪 ‘지역학’과 ‘문화정책’간의 관계 설정 필요

- 지역의 ‘쇠퇴’와 ‘재생’에 있어 문화가 가지는 의미가 무엇이든 간에 역문화자원의 체계적인 발굴 ․ 보전, 전통 및 역사문화, 주민들의 삶에 대한 체계적인 기록과 분석 그리고 이의 활용은 매우 중요함. 이러한 이유에서 지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기록 및 연구를 지칭하는 ‘지역학’(地域學) 혹은‘지역연구’(地域硏究)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음.

- 하지만 지역학의 기능과 활용에 관한 관심 증대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문화정책(cultural policies)적 접근은 미흡한 실정임.

- 따라서 지역쇠퇴, 축소 및 소멸의 위기에 대응하며 현재 지역문화정책을 점검하고, 중장기 지역문화정책 방향 정립의 일환으로 지역문화자원의 체계적 발굴 ․ 보전, 지역문화 정체성 정립을 위한 지역학의 역할과 이의 진흥에 관

한 정책연구가 요구됨.

 

2.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인구사회, 경제적 환경변화에 따른 지역의 쇠퇴, 축소 및 소멸에 대응하기 위한 문화정책의 일환으로, 지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체계적인 기록과 활용, 나아가 지역문화 진흥 및 정체성 확립을 위하여 ‘지역학’의 역할 규명과 가능성, 그리고 관련 공공정책의 방향과 과제도출에 그 목적을 둠.

- 첫째, 쇠퇴(recession) ․ 축소(shrinkage) ․ 소멸(extinction)과 같은 지역의 사회

․ 공간적 변화 양상을 분석함.

- 둘째, 이러한 사회 ․ 공간적 변화 양상의 대응에 있어 지역 문화와 공동체성의특성과 변화양상을 기록하는 ‘지역학’의 가치와 현 시대에 적합한 역할과 기능을 정립함.

- 셋째, (지역)문화 정책적 관점에서 ‘지역학’을 접근하여 지역학과 연계한 지역문화자원의 체계적 관리와 활용, 나아가 지역의 문화적 역량 제고를 위한 정부정책의 방향과 과제를 도출함.

 

3. 목 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제3절 연구 흐름

 

제2장 지역의 사회 ․ 공간적 위기와 위기극복

제1절 지역의 위기와 국가정책의 필요성

제2절 지역의 위기와 위기극복 방안

제3절 소결

 

제3장 지역사회 변화에 대응한 지역학의 가치와 현실

제1절 지역학의 개념과 접근방향

제2절 지역학 관련 법제 및 정책 계획

제3절 국내 지역학 현황 및 관계자 인식

제4절 소결

 

제4장 지역사회 변화에 대응한 지역학의 실천 사례

제1절 국외 사례 : 일본

제2절 국내 사례

제3절 소결

 

제5장 지역쇠퇴에 대응한 지역학의 역할과 문화정책적 접근

제1절 정책 방향

제2절 정책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