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2019 이스포츠 정책연구(법제도 및 활성화)

2019-12-26 한국콘텐츠진흥원

주요내용

  • 2019 이스포츠 정책연구(법제도 및 활성화)
  • 2019 이스포츠 정책연구(법제도 및 활성화)

    목차

    • 1. 이스포츠법 개정 연구
      • 1.1. 서 론
      • 1.2. 각국의 이스포츠 법제에 대한 분석
        • 1.2.1. 연구 개요 및 방법
        • 1.2.2. 중국
          • 1.2.2.1. 이스포츠 산업 현황
          • 1.2.2.2. 중국의 스포츠 및 이스포츠 정책
          • 1.2.2.3. 이스포츠 관련 정책
          • 1.2.2.4. 스포츠 행정
        • 1.2.3. 일본
          • 1.2.3.1. 스포츠 관련 입법 기조
          • 1.2.3.2. 입법 방식
        • 1.2.4. 미국
          • 1.2.4.1. 스포츠 입법
          • 1.2.4.2. 이스포츠 및 게임 이용 관련 정책
        • 1.2.5. 유럽 권역
          • 1.2.5.1. EU 일반
          • 1.2.5.2. 독일
          • 1.2.5.3. 프랑스
          • 1.2.5.4. 영국
        • 1.2.6. 러시아
        • 1.2.7. 비교법적 검토
          • 1.2.7.1. 재정 지원 측면
          • 1.2.7.2. 거버넌스
          • 1.2.7.3. 이스포츠 산업 인프라 조성
          • 1.2.7.4. 소결
      • 1.3. 현행 이스포츠 진흥에 관한 법률에 대한 고찰
        • 1.3.1. 연구 개요 및 방법
        • 1.3.2. 현행 이스포츠법의 문제점
          • 1.3.2.1. 정의
          • 1.3.2.2. 이스포츠 활성화 정책
          • 1.3.2.3. 이스포츠의 육성
          • 1.3.2.4. 그 외 현행 이스포츠법의 미비점
        • 1.3.3. 이스포츠 업계의 요구
          • 1.3.3.1. 이스포츠 단체 및 선수에 대한 법적 보호
          • 1.3.3.2. 이스포츠 시설 및 자금지원의 부족
          • 1.3.3.3. 이스포츠 관련 분쟁 조정기구의 필요성
          • 1.3.3.4. 이스포츠법의 실효성
          • 1.3.3.5. 세제 혜택 등
          • 1.3.3.6. 여가선용으로서의 이스포츠 재고
        • 1.3.4. 소결
      • 1.4. 이스포츠법 개정안 제시
        • 1.4.1. 정의
        • 1.4.2. 자금지원 등 지원책의 마련
          • 1.4.2.1. 현행 이스포츠 법상 자금 등 지원 규정
          • 1.4.2.2. 타법들의 자금 등 지원책에 관한 규정
          • 1.4.2.3. 국유·공유 재산의 대부·사용
          • 1.4.2.4. 이스포츠에 대한 세제지원책 검토
        • 1.4.3. 이스포츠 관련 기구 및 그 외 사업관련
          • 1.4.3.1. 현행법률 검토
          • 1.4.3.2. 타 진흥법 상 진흥기구 및 육성정책
          • 1.4.3.3. 이스포츠 대회의 육성ㆍ지원
          • 1.4.3.4. 구체적 육성책의 마련
          • 1.4.3.5. 이스포츠 단체 및 이스포츠 선수
          • 1.4.3.6. 이스포츠 분쟁조정위원회의 신설
        • 1.4.4. 선수의 육성 및 보호
          • 1.4.4.1. 선수 육성 및 보호의 필요성
          • 1.4.4.2. 선수 양성 및 직업능력개발
          • 1.4.4.3. 표준계약서의 제정 및 보급
        • 1.4.5. 기타 검토사항
          • 1.4.5.1. 이스포츠진흥자문위원회
          • 1.4.5.2. 이스포츠 학원 등의 설립
          • 1.4.5.3. 기타사항
        • 1.4.6. 개정의 실효성, 가능성 및 과제
          • 1.4.6.1. 개정의 실효성
          • 1.4.6.2. 개정의 가능성
          • 1.4.6.3. 장기적 과제
      • 1.5. 저작권 관련 개선안의 모색
        • 1.5.1. 이스포츠에서의 저작권 문제 논의의 출발점
          • 1.5.1.1. 게임물 제작자의 저작권
          • 1.5.1.2. 일반적인 스포츠와 이스포츠의 비교
        • 1.5.2. 이스포츠에서 저작권 문제가 발생하는 지점
          • 1.5.2.1. 이스포츠의 저작물성 문제
          • 1.5.2.2. 이스포츠 플레이어의 실연자성 문제
          • 1.5.2.3. 이스포츠 플레이어의 퍼블리시티권 및 초상권・성명권
          • 1.5.2.4. 이스포츠 중계방송 영상의 저작물성 문제
          • 1.5.2.5. 게임물 제작자의 저작권 제한 문제
          • 1.5.2.6. 이스포츠 중계・편집 영상 관련 저작권 문제
        • 1.5.3. 소결
      • 1.6. 결 론
    • 2. 정식 체육 종목화 연구
      • 2.1. 서 론
        • 2.1.1. 연구의 필요성
        • 2.1.2. 연구 내용
        • 2.1.3. 연구 절차
      • 2.2. 이스포츠의 정식 스포츠화 추진 과정과 한계, 견해 비교
        • 2.2.1. 올림픽·아시안게임 정식종목으로서의 이스포츠
          • 2.2.1.1. 아시안게임 시범종목이 되기까지의 과정과 한계점
        • 2.2.2. 올림픽 종목화 찬반 입장 및 해결 과제
          • 2.2.2.1. 찬성 입장
          • 2.2.2.2. 반대 입장
          • 2.2.2.3. 해결 과제
      • 2.3. 올림픽과 국제환경의 변화
        • 2.3.1. 올림픽 종목의 변천 과정
        • 2.3.2. 올림픽 종목 선정 절차
        • 2.3.3. IOC 올림픽 개혁안 ‘올림픽 아젠다(Olympic Agenda) 2020'
        • 2.3.4. 2020년 도쿄 올림픽과 2024년 파리 올림픽 정식종목 선정
      • 2.4. 올림픽 종목 신규·재진입 및 유지를 위한 정책·제도 개선
        • 2.4.1. 럭비
          • 2.4.2.1. 과거 올림픽 정식종목 채택 및 제외 역사
          • 2.4.2.2. IOC 올림픽 종목 자격 조건 충족 현황
          • 2.4.2.2. 올림픽 정식종목 진입을 위한 정책적·규정적 노력
        • 2.4.2. 스쿼시
          • 2.4.2.1. IOC 올림픽 종목 자격 조건 충족 현황
          • 2.4.2.2. 올림픽 정식종목 진입을 위한 정책적·규정적 노력
        • 2.4.3. 롤러스포츠
          • 2.4.3.1. IOC 올림픽 종목 자격 조건 충족 현황
          • 2.4.3.2. 올림픽 정식종목 진입을 위한 정책적·규정적 노력
        • 2.4.4. 가라테(공수도)
          • 2.4.4.1. IOC 올림픽 종목 자격 조건 충족 현황
          • 2.4.4.2. 올림픽 정식종목 진입을 위한 정책적·규정적 노력
        • 2.4.5. 골프
          • 2.4.5.1. 과거 올림픽 정식종목 채택 및 제외 역사
          • 2.4.5.2. IOC 올림픽 종목 자격 조건 충족 현황
          • 2.4.5.3. 올림픽 정식종목 진입을 위한 정책적·규정적 노력
        • 2.4.6. 야구·소프트볼
          • 2.4.6.1. 과거 올림픽 정식종목 채택 및 제외 역사
          • 2.4.6.2. 올림픽 정식종목 진입을 위한 정책적·규정적 노력
        • 2.4.7. 스포츠클라이밍
          • 2.4.7.1. IOC 올림픽 종목 자격 조건 충족 현황
        • 2.4.8. 서핑
          • 2.4.8.1. IOC 올림픽 종목 자격 조건 충족 현황
        • 2.4.9. 레슬링
          • 2.4.9.1. 올림픽 재진입을 위한 규정 변경
        • 2.4.10. 소결
          • 2.4.10.1. 제도 개선
          • 2.4.10.2. 젊은 세대 유입을 위한 전략
          • 2.4.10.3. 보편성
      • 2.5. 저작권 관련 개선안의 모색
        • 2.5.1. 대회 유형의 전략적 다양화
        • 2.5.2. 올림픽 선수 출전 제도의 변화
        • 2.5.3. 경기의 공격적 전개를 위한 운영 제도 마련
        • 2.5.4. 여성 이스포츠 선수 비율의 신장
        • 2.5.5. VR/AR 기반 게임의 이스포츠대회 강화
        • 2.5.6. 이스포츠의 신체적심리사회적 건강 연구 활성화
      • 2.6. 결 론
        • 2.6.1. 결과 요약
        • 2.6.2. 결과 활용 방안 및 기대 효과
          • 2.6.2.1. 참신함 : 실험적 대회 추진
          • 2.6.2.2. 여성 중심 이스포츠대회 추진
          • 2.6.2.3. 학교 클럽 스포츠 활동으로의 추진
          • 2.6.2.4. 대회에서의 게임 외적 요소의 실험적 적용
          • 2.6.2.5. VR/AR 이스포츠에 대비한 트레이너 양성 추진
          • 2.6.2.6. 이스포츠 학술연구 및 교육기관의 커리큘럼 활용
        • 2.6.3. 정책적 제언

개요

- 대한민국은 2012년 세계 최초로 이스포츠 진흥에 관한 법률이라는 이스포츠에 관한 법제를 만드는 등 세계 시장에서 선도적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러나 이스포츠 진흥에 관한 법률은 급변하는 현실에 맞지 않는 부분들이 있고, 구체적인 부분에 대한 내용 정비가 부족한 부분도 있어, 개정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행 이스포츠 진흥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개정안이나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PDF)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