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음악산업 패러다임 전환과 지속성장을 위한 정책연구

2019-12-30 한국콘텐츠진흥원

주요내용

  • 음악산업 패러다임 전환과 지속성장을 위한 정책연구 KOCCA19-56 한국콘텐츠진흥원 / 표지이미지
  • 음악산업 패러다임 전환관 지속성장을 위한 정책연구

    목차

    • 1. 연구개요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1.1.1.1. 완연한 성장세로 돌아선 세계 음악 산업
          • 1.1.1.2. 글로벌 ’파워 플레이어’로 거듭나고 있는 우리나라 음악 산업
          • 1.1.1.3. 기술과 함께 발전해 온 콘텐츠 산업
          • 1.1.1.4. 콘텐츠 배급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킨 디지털 유통
          • 1.1.1.5. 한류 확산과 4차 산업 기술 발전에 따른 음악 산업 입체적 분석 필요
        • 1.1.2. 연구의 목적
      •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1.2.1. 연구의 내용
        • 1.2.2. 연구의 방법
          • 1.2.2.1. 문헌 및 통계자료 분석
          • 1.2.2.2. 전문가 심층인터뷰(FGI) 및 AHP 조사
    • 2. 음악 산업 구조 분석
      • 2.1. 한국 대중음악 산업 시기별 구조 분석
        • 2.1.1. 한국 대중음악사와 시기별 주요 이슈
          • 2.1.1.1. 대중음악의 출현과 초기 형태 확립
          • 2.1.1.2. 암흑기를 지나 재건과 부흥의 시대로
          • 2.1.1.3. 대중음악의 수난과 분화
          • 2.1.1.4. 1990년대 신세대문화와 음악 산업의 전환
          • 2.1.1.5. 한류의 세계화와 디지털음원 시대
        • 2.1.2. 융합형 음악 산업 도입기의 한국 대중음악 전망
          • 2.1.2.1. 다양해진 대중음악 장르와 음악 추천 프로그램의 진화
          • 2.1.2.2. 소비패턴의 변화에 대응하는 트랜스미디어 세계관의 확장
      • 2.2. 국내외 음악 산업 현황 분석
        • 2.2.1. 한국 음악 산업 현황
          • 2.2.1.1. 산업 규모
          • 2.2.1.2. 최신 이슈 및 트렌드
        • 2.2.2. 해외 음악 산업 현황
          • 2.2.2.1. 산업 규모
          • 2.2.2.2. 최신 이슈 및 트렌드
        • 2.2.3. 어시스턴트 활동 형태
    • 3. 음악 산업 가치사슬별 유통 구조
      • 3.1. 시대별 신기술의 등장과 음악 플랫폼의 변화
        • 3.1.1. 서설
        • 3.1.2. 디지털 음악 시대의 등장
        • 3.1.3. MP3 시대의 등장
        • 3.1.4. 스마트 기기와 음원의 디지털 유통 시대
        • 3.1.5. 글로벌 메이저 플랫폼의 음원 및 동영상 유통 시대
      • 3.2. 국내 음악 산업의 수직·수평적 계열화 현황
        • 3.2.1. 서비스 플랫폼의 계열화 현황
        • 3.2.2. 대형 음악기획사의 계열화 현황
          • 3.2.2.1. SM 엔터테인먼트
          • 3.2.2.2. YG 엔터테인먼트
          • 3.2.2.3. JYP 엔터테인먼트
          • 3.2.2.4. CJ ENM
          • 3.2.2.5. 카카오M
          • 3.2.2.6. 빅히트 엔터테인먼트
        • 3.2.3. 중소형(인디) 음악기획사의 계열화 현황
          • 3.2.3.1. 미러볼뮤직
          • 3.2.3.2. 매직스트로베리
        • 3.2.4. CPND 생태계적 측면에서의 국내 음악 산업 계열화 현황
        • 3.2.5. CPND 생태계적 측면에서의 국내 음악 산업 계열화 현황
          • 3.2.5.1. K-콘텐츠의 해외 경쟁력 강화
          • 3.2.5.2. 대기업 독점에 따른 시장의 다양성 저해
      • 3.3. 해외 음악 산업의 수직·수평적 계열화 현황
        • 3.3.1. 미국 독점금지법 vs. 거대기업의 역사적 사례
        • 3.3.2. 글로벌 음악 기업의 계열화 현황
          • 3.3.2.1. 스포티파이
          • 3.3.2.2. 3대 메이저 음반사
        • 3.3.3. 글로벌 디지털음악 플랫폼 현황
          • 3.3.3.1. 아마존 뮤직(Amazon Music)
          • 3.3.3.1. 애플뮤직(Apple Music)
          • 3.3.3.1. 구글플레이 뮤직(Google Play Music)
          • 3.3.3.1. 유튜브 뮤직(Youtube Music)
          • 3.3.3.1. 판도라 뮤직(Pandora Music)
          • 3.3.3.1. 냅스터(Napster)
          • 3.3.3.1. 타이달(Tidal)
          • 3.3.3.1. 사운드클라우드(Sound Cloud)
          • 3.3.3.1. 스포티파이(Spotify)
          • 3.3.3.1. 샤잠(Shazam)
          • 3.3.3.1. 라스트에프엠(Last.fm)
          • 3.3.3.1. 디저(Deezer)
          • 3.3.3.1. 코부즈(Qobuz)
          • 3.3.3.1. 라인뮤직(Line Music)
          • 3.3.3.1. 죽스(JOOX)
          • 3.3.3.1. QQ뮤직
    • 4. 음악 산업 가치사슬별 변화 전망
      • 4.1. 음악콘텐츠 지속성장을 위한 변화 전망
        • 4.1.1. 글로벌 플랫폼 유튜브를 통한 비즈니스 전략 방안
        • 4.1.2. 신기술과 신규 플랫폼을 통한 음악 제작 환경의 다변화
        • 4.1.3. 신규 콘텐츠 포맷과 소비패턴의 변화에 따른 비즈니스 방안
          • 4.1.3.1. 콘텐츠 소비패턴의 변화와 스낵형 콘텐츠의 유행
          • 4.1.3.2. 라이브 전문 채널을 통한 아티스트와 팬의 소통 창구 다양화
      • 4.2. 신기술의 등장과 음악콘텐츠 변화에 대한 전망
        • 4.2.1. 인공지능과 스마트스피커
        • 4.2.2. 5G와 AR‧VR
          • 4.2.2.1. 가상현실과 360도 실감형 콘텐츠
          • 4.2.2.2. AR‧VR 체험관
        • 4.2.3. 블록체인을 활용한 불법유통 방지 기술
        • 4.2.4. 음악콘텐츠와 이종 산업의 결합
          • 4.2.4.1. 커넥티드 카
          • 4.2.4.2. IoT TV
          • 4.2.4.3. 음악 플랫폼과 전자기기 제조사의 결합
    • 5. FGI 및 AHP 설문조사 결과
      • 5.1. FGI 결과
        • 5.1.1. 제1차 FGI 결과
          • 5.1.1.1. 음악 산업 내 최신 현황에 대한 의견
          • 5.1.1.2. 기술발달로 인한 콘텐츠 소비패턴의 변화
          • 5.1.1.3. 개인화된 취향에 따른 소비패턴의 변화
          • 5.1.1.4. 정책 제안에 대한 의견
        • 5.1.2. 제2차 FGI 결과
          • 5.1.2.1. 인디레이블 현황
          • 5.1.2.2. 수직계열화
          • 5.1.2.3. 4차 산업 기술
          • 5.1.2.4. 정책 제안에 대한 의견
        • 5.1.3. 제3차 FGI 결과
          • 5.1.3.1. 최근의 합종연횡이 갖는 의미
          • 5.1.3.2. 5G 및 iOT의 기술의 발전에 따른 업계의 동향
          • 5.1.3.3. 정책 제안
      • 5.2. AHP 설문조사 및 결과
    • 6. 시사점 및 정책 제언
      • 6.1. 시사점
        • 6.1.1. 음악 산업 구조 분석에 대한 시사점
        • 6.1.2. 음악 산업 가치사슬별 유통 구조에 대한 시사점
        • 6.1.3. 음악 산업 가치사슬별 변화 전망에 대한 시사점
      • 6.2. 정책 제언
        • 6.2.1. 4차 산업 시대에 맞는 음악 산업 인프라 구축 및 성장 기반 강화
          • 6.2.1.1. 신규 플랫폼에 적용 가능한 저작권 관련 법‧제도 개편
          • 6.2.1.2. 음악 산업계 균형 유지와 다양성을 위한 대책 마련 필요
          • 6.2.1.3. 투명한 저작권료 배분을 위한 데이터 관리 표준화 필요
          • 6.2.1.4. 음악 산업 인력양성제도 신설 필요
          • 6.2.1.5. 음악정책 전담부서 신설 필요
        • 6.2.2. 한국 대중음악의 해외 진출 확대를 위한 지원
          • 6.2.2.1. 해외 저작권 문제 발생 시 법률자문 지원
          • 6.2.2.2. 해외 투어콘서트 활성화
          • 6.2.2.3. 해외 플랫폼 진출을 위한 외국어 자막 및 표기 지원
          • 6.2.2.4. 인디 아티스트의 해외시장 진출 지원
        • 6.2.3. 한국 대중음악의 다양성과 인디 음악 활성화를 위한 지원

개요

- 세계 음악 산업은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불법 다운로드의 등장 등으로 10년 넘게 하락세를 보여 왔다. 이러한 하락세는 유료 스트리밍 서비스가 확대되면서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했다. 2018년에는 전년 대비 9.7%의 성장률을 기록했는데, 이는 IFPI가 글로벌 음악 산업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1997년 이후 가장 큰 성장률이다. 그러나 산업계 전문가들은 세계 음악시장 내 밸류 갭 현상이 여전히 크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향후 성장 여력이 여전히 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PDF)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