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브라우저 보안정책에 따라 이미지가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Mixed Content)
음악산업 패러다임 전환관 지속성장을 위한 정책연구
목차
1. 연구개요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1.1.1. 완연한 성장세로 돌아선 세계 음악 산업
1.1.1.2. 글로벌 ’파워 플레이어’로 거듭나고 있는 우리나라 음악 산업
1.1.1.3. 기술과 함께 발전해 온 콘텐츠 산업
1.1.1.4. 콘텐츠 배급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킨 디지털 유통
1.1.1.5. 한류 확산과 4차 산업 기술 발전에 따른 음악 산업 입체적 분석 필요
1.1.2. 연구의 목적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2.1. 연구의 내용
1.2.2. 연구의 방법
1.2.2.1. 문헌 및 통계자료 분석
1.2.2.2. 전문가 심층인터뷰(FGI) 및 AHP 조사
2. 음악 산업 구조 분석
2.1. 한국 대중음악 산업 시기별 구조 분석
2.1.1. 한국 대중음악사와 시기별 주요 이슈
2.1.1.1. 대중음악의 출현과 초기 형태 확립
2.1.1.2. 암흑기를 지나 재건과 부흥의 시대로
2.1.1.3. 대중음악의 수난과 분화
2.1.1.4. 1990년대 신세대문화와 음악 산업의 전환
2.1.1.5. 한류의 세계화와 디지털음원 시대
2.1.2. 융합형 음악 산업 도입기의 한국 대중음악 전망
2.1.2.1. 다양해진 대중음악 장르와 음악 추천 프로그램의 진화
2.1.2.2. 소비패턴의 변화에 대응하는 트랜스미디어 세계관의 확장
2.2. 국내외 음악 산업 현황 분석
2.2.1. 한국 음악 산업 현황
2.2.1.1. 산업 규모
2.2.1.2. 최신 이슈 및 트렌드
2.2.2. 해외 음악 산업 현황
2.2.2.1. 산업 규모
2.2.2.2. 최신 이슈 및 트렌드
2.2.3. 어시스턴트 활동 형태
3. 음악 산업 가치사슬별 유통 구조
3.1. 시대별 신기술의 등장과 음악 플랫폼의 변화
3.1.1. 서설
3.1.2. 디지털 음악 시대의 등장
3.1.3. MP3 시대의 등장
3.1.4. 스마트 기기와 음원의 디지털 유통 시대
3.1.5. 글로벌 메이저 플랫폼의 음원 및 동영상 유통 시대
3.2. 국내 음악 산업의 수직·수평적 계열화 현황
3.2.1. 서비스 플랫폼의 계열화 현황
3.2.2. 대형 음악기획사의 계열화 현황
3.2.2.1. SM 엔터테인먼트
3.2.2.2. YG 엔터테인먼트
3.2.2.3. JYP 엔터테인먼트
3.2.2.4. CJ ENM
3.2.2.5. 카카오M
3.2.2.6. 빅히트 엔터테인먼트
3.2.3. 중소형(인디) 음악기획사의 계열화 현황
3.2.3.1. 미러볼뮤직
3.2.3.2. 매직스트로베리
3.2.4. CPND 생태계적 측면에서의 국내 음악 산업 계열화 현황
3.2.5. CPND 생태계적 측면에서의 국내 음악 산업 계열화 현황
3.2.5.1. K-콘텐츠의 해외 경쟁력 강화
3.2.5.2. 대기업 독점에 따른 시장의 다양성 저해
3.3. 해외 음악 산업의 수직·수평적 계열화 현황
3.3.1. 미국 독점금지법 vs. 거대기업의 역사적 사례
3.3.2. 글로벌 음악 기업의 계열화 현황
3.3.2.1. 스포티파이
3.3.2.2. 3대 메이저 음반사
3.3.3. 글로벌 디지털음악 플랫폼 현황
3.3.3.1. 아마존 뮤직(Amazon Music)
3.3.3.1. 애플뮤직(Apple Music)
3.3.3.1. 구글플레이 뮤직(Google Play Music)
3.3.3.1. 유튜브 뮤직(Youtube Music)
3.3.3.1. 판도라 뮤직(Pandora Music)
3.3.3.1. 냅스터(Napster)
3.3.3.1. 타이달(Tidal)
3.3.3.1. 사운드클라우드(Sound Cloud)
3.3.3.1. 스포티파이(Spotify)
3.3.3.1. 샤잠(Shazam)
3.3.3.1. 라스트에프엠(Last.fm)
3.3.3.1. 디저(Deezer)
3.3.3.1. 코부즈(Qobuz)
3.3.3.1. 라인뮤직(Line Music)
3.3.3.1. 죽스(JOOX)
3.3.3.1. QQ뮤직
4. 음악 산업 가치사슬별 변화 전망
4.1. 음악콘텐츠 지속성장을 위한 변화 전망
4.1.1. 글로벌 플랫폼 유튜브를 통한 비즈니스 전략 방안
4.1.2. 신기술과 신규 플랫폼을 통한 음악 제작 환경의 다변화
4.1.3. 신규 콘텐츠 포맷과 소비패턴의 변화에 따른 비즈니스 방안
4.1.3.1. 콘텐츠 소비패턴의 변화와 스낵형 콘텐츠의 유행
4.1.3.2. 라이브 전문 채널을 통한 아티스트와 팬의 소통 창구 다양화
4.2. 신기술의 등장과 음악콘텐츠 변화에 대한 전망
4.2.1. 인공지능과 스마트스피커
4.2.2. 5G와 AR‧VR
4.2.2.1. 가상현실과 360도 실감형 콘텐츠
4.2.2.2. AR‧VR 체험관
4.2.3. 블록체인을 활용한 불법유통 방지 기술
4.2.4. 음악콘텐츠와 이종 산업의 결합
4.2.4.1. 커넥티드 카
4.2.4.2. IoT TV
4.2.4.3. 음악 플랫폼과 전자기기 제조사의 결합
5. FGI 및 AHP 설문조사 결과
5.1. FGI 결과
5.1.1. 제1차 FGI 결과
5.1.1.1. 음악 산업 내 최신 현황에 대한 의견
5.1.1.2. 기술발달로 인한 콘텐츠 소비패턴의 변화
5.1.1.3. 개인화된 취향에 따른 소비패턴의 변화
5.1.1.4. 정책 제안에 대한 의견
5.1.2. 제2차 FGI 결과
5.1.2.1. 인디레이블 현황
5.1.2.2. 수직계열화
5.1.2.3. 4차 산업 기술
5.1.2.4. 정책 제안에 대한 의견
5.1.3. 제3차 FGI 결과
5.1.3.1. 최근의 합종연횡이 갖는 의미
5.1.3.2. 5G 및 iOT의 기술의 발전에 따른 업계의 동향
5.1.3.3. 정책 제안
5.2. AHP 설문조사 및 결과
6. 시사점 및 정책 제언
6.1. 시사점
6.1.1. 음악 산업 구조 분석에 대한 시사점
6.1.2. 음악 산업 가치사슬별 유통 구조에 대한 시사점
6.1.3. 음악 산업 가치사슬별 변화 전망에 대한 시사점
6.2. 정책 제언
6.2.1. 4차 산업 시대에 맞는 음악 산업 인프라 구축 및 성장 기반 강화
6.2.1.1. 신규 플랫폼에 적용 가능한 저작권 관련 법‧제도 개편
6.2.1.2. 음악 산업계 균형 유지와 다양성을 위한 대책 마련 필요
6.2.1.3. 투명한 저작권료 배분을 위한 데이터 관리 표준화 필요
6.2.1.4. 음악 산업 인력양성제도 신설 필요
6.2.1.5. 음악정책 전담부서 신설 필요
6.2.2. 한국 대중음악의 해외 진출 확대를 위한 지원
6.2.2.1. 해외 저작권 문제 발생 시 법률자문 지원
6.2.2.2. 해외 투어콘서트 활성화
6.2.2.3. 해외 플랫폼 진출을 위한 외국어 자막 및 표기 지원
6.2.2.4. 인디 아티스트의 해외시장 진출 지원
6.2.3. 한국 대중음악의 다양성과 인디 음악 활성화를 위한 지원
개요
- 세계 음악 산업은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불법 다운로드의 등장 등으로 10년 넘게 하락세를 보여 왔다. 이러한 하락세는 유료 스트리밍 서비스가 확대되면서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했다. 2018년에는 전년 대비 9.7%의 성장률을 기록했는데, 이는 IFPI가 글로벌 음악 산업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1997년 이후 가장 큰 성장률이다. 그러나 산업계 전문가들은 세계 음악시장 내 밸류 갭 현상이 여전히 크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향후 성장 여력이 여전히 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