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브라우저 보안정책에 따라 이미지가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Mixed Content)
음악산업 패러다임 전환관 지속성장을 위한 정책연구
목차
2. 음악 산업 구조 분석
2.1. 한국 대중음악 산업 시기별 구조 분석
2.1.1. 한국 대중음악사와 시기별 주요 이슈
2.1.1.1. 대중음악의 출현과 초기 형태 확립
2.1.1.2. 암흑기를 지나 재건과 부흥의 시대로
2.1.1.3. 대중음악의 수난과 분화
2.1.1.4. 1990년대 신세대문화와 음악 산업의 전환
2.1.1.5. 한류의 세계화와 디지털음원 시대
2.1.2. 융합형 음악 산업 도입기의 한국 대중음악 전망
2.1.2.1. 다양해진 대중음악 장르와 음악 추천 프로그램의 진화
2.1.2.2. 소비패턴의 변화에 대응하는 트랜스미디어 세계관의 확장
2.2. 국내외 음악 산업 현황 분석
2.2.1. 한국 음악 산업 현황
2.2.1.1. 산업 규모
2.2.1.2. 최신 이슈 및 트렌드
2.2.2. 해외 음악 산업 현황
2.2.2.1. 산업 규모
2.2.2.2. 최신 이슈 및 트렌드
2.2.3. 어시스턴트 활동 형태
개요
- 세계 음악 산업은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불법 다운로드의 등장 등으로 10년 넘게 하락세를 보여 왔다. 이러한 하락세는 유료 스트리밍 서비스가 확대되면서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했다. 2018년에는 전년 대비 9.7%의 성장률을 기록했는데, 이는 IFPI가 글로벌 음악 산업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1997년 이후 가장 큰 성장률이다. 그러나 산업계 전문가들은 세계 음악시장 내 밸류 갭 현상이 여전히 크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향후 성장 여력이 여전히 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