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19년 이야기산업 실태조사
목차
- 7. 결론 및 제언
- 7.1. 기초 이야기산업
- 7.1.1. 신진 창작자의 창작 활동을 위한 재정지원식
- 7.1.2. ‘개인’ 창작 공간 지원
- 7.2. 콘텐츠 이야기산업
- 7.2.1. 원천소재 발굴을 위한 지원 사업 개발
- 7.2.2. 공정한 계약 관행 정착을 위한 정책 지원: 콘텐츠공정상생센터 운영 활성화
- 7.2.3. 전문적인 에이전시 육성
- 7.2.4. 해외 유통 지원
- 7.2.5. 주52시간제와 이야기 창작자의 근로 환경
- 7.3. 일반 이야기산업
- 7.3.1. 전문 창작자 고용 지원과 안정적인 일자리 창출의 연계
- 7.3.2. 일반 기업 대상 이야기 활용 교육 지원
- 7.4. 이야기산업 활성화를 위한 제언
- 7.4.1. ‘이야기산업’에 대한 인지도 제고 절실
- 7.4.2. 스토리움 인지도 제고
- 7.5. 후속 연구 제안
- 7.5.1. 이야기산업의 모집단 재정의
- 7.5.2. 이야기산업별 표준화된 규모추정 방법 제안
- 7.5.3. 그 외 실태조사 진행에 대한 추가 의견
개요
- 본 조사는 2015년부터 2018년에 걸쳐 선택적으로 진행되었던 ‘이야기산업 실태조사’ 및 ‘이야기 수요자 조사’를 기반으로, 이야기산업의 주요 세 범주인 기초, 콘텐츠, 일반 이야기산업 분야에 대한 통합적 체계화를 통해 이야기산업의 수요와 공급을 유기적으로 분석하고 실효성 있는 정책의 근거를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조사의 주요 범위는 첫째, 이야기 생태계의 주요 참여자 및 그 역할, 이야기산업의 경계 및 산업기여도를 과거보다 명확하고 체계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론을 논의, 도출하고, 둘째, 도출된 방법론에 의거하여 실제 이야기 산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정확한 실태 파악을 위한 조사의 실시, 셋째, 실제 산업 현실에 맞는 실효성 있고 체계적인 맞춤형 정책방향 설정을 위한 결과의 제시이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PDF)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