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2 이스포츠 실태조사
목차
- 1. 연구 개요
- 2. 이스포츠 현황
- 2.1. 이스포츠 정의
- 2.2. 국내 이스포츠 주요 동향
- 2.3. 해외 이스포츠 주요 동향
- 2.4. 국내 이스포츠 현황
- 3. 이스포츠 실태조사
- 3.1. 게임단
- 3.2. 프로선수
- 3.3. 아마추어 육성군 선수
- 3.4. 코칭스태프
- 3.5. 종목사
- 3.6. 프로덕션
- 3.7. 아카데미
- 3.8. 교육기관
- 3.9. 지원기관
- 3.10. 이용자
- 4. 이스포츠 산업 규모
- 4.1. 국내 산업 규모
- 4.2. 글로벌 이스포츠 산업 규모
- 5. 결론 및 시사점
개요
- - 2021 e 2022 년 스포츠는 항저우 아시안게임 정식종목으로 채택되며 국제 사회에서 새롭게
인식되는 출발점을 맞이하였다. 2022 , 19 그리고 년 코로나 가 완화 국면에 접어듦에 따라 대면
경제가 서서히 회복되어 가며, 몇 년간 감소하였던 이스포츠 오프라인 대회도 다시 활발히
추진되었다. , 이스포츠 산업은 비대면 사회에서 강점을 보일 수 있는 종목임에는 분명하지만
대형 후원사가 없는 소규모 기업 및 기관들은 미리 예견할 수 없었던 국제적 재난 앞에 크나큰
손실을 겪으며 운영 중단 또는 폐업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던 것도 현실이다. 금년 실태조사
에서는 우리나라 이스포츠 산업의 규모 및 잠재력을 파악할 뿐만 아니라, 산업 구조적으로
건강한 회복과 성장을 위해 중점을 두어야 하는 요소가 무엇인지 파악함으로써 향후 발전
계획 및 정책의 수립을 뒷받침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되도록 구성하였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PDF)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