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 배경 및 목적
○ 미래 사회는 소위 ‘초연결시대’로 폭넓은 네트워크 구축은 콘텐츠산업 성장을 위해 필수적인 것으로 인식되나 네트워크 구축에 특화된 정책은 미비한 편임
- 최근 콘텐츠 제작이 이루어지는 양상은 물리적인 지역에만 종속하여 이루어진다고 보기 어렵고, 콘텐츠산업의 빠른 변화, 국내 기업의 영세성, 높은 리스크 등을 감안한 유연한 비즈니스 모델이 확립되어야 함
- 뿐만 아니라 글로벌 플랫폼을 통한 해외 콘텐츠 강자들이 국내 시장에서 함께 경쟁하는 상황이어서 다른 어떤 때보다 기업 간 연계․협력의 네트워크 구조가 필요
○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음
- 콘텐츠 제작 네트워크 구축과 관련된 다양한 이론 및 연구를 고찰하여 시사점을 도출
- 해외 콘텐츠 제작 네트워크의 사례 고찰을 통하여 우리나라 콘텐츠산업 현실에 맞는 제작 네트워크 모델을 제시
- 콘텐츠 제작 네트워크의 종류를 유형화하고 구체화
- 효과적인 제작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정책 지원 방안 제시
2. 연구 범위 및 방법
○ 연구의 범위
- 공간적 범위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주요 비교국가의 사례들을 폭넓게 검토하되 일본의 제작위원회 사례를 보다 심도있게 고찰
- 시간적 범위는 참고하는 자료의 경우 최근 5년 이내 자료를 핵심적으로 살피되 정책적 맥락 파악을 위해 그 이전 자료까지 참고
- 내용적 범위는 관련 이론 및 제도 검토, 기업 현황 자료 검토, 정책방안 제시 등
○ 연구의 방법
- 문헌 검토, 전문가 인터뷰 및 자문회의, 업계 설문조사 등
3.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제2장 콘텐츠 제작 네트워크 이론과 정책현황
제1절 초연결시대의 제작 네트워크
제2절 콘텐츠 제작 네트워크 관련 이론
제3절 콘텐츠 제작 네트워크 관련 정책 추진현황
제3장 콘텐츠 제작 네트워크의 개념화
제1절 콘텐츠 제작 네트워크의 개념
제2절 일본의 콘텐츠 제작 네트워크
제3절 콘텐츠 제작 네트워크의 정의와 유형
제4절 콘텐츠 제작 네트워크의 유형별 사례
제4장 콘텐츠 업계 조사결과
제1절 조사 개요
제2절 조사 결과
제3절 소결
제5장 콘텐츠 제작 네트워크 구축 지원방안
제1절 정책의 기본 방향
제2절 개방적 혁신 촉진형 정책
제3절 클러스터 강화형 정책
제4절 생태계 조성형 정책
제5절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형 정책
제6장 연구의 의의 및 한계
제1절 연구의 의의
제2절 연구의 한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