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브라우저 보안정책에 따라 이미지가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Mixed Content)
2019년 이야기산업 실태조사
목차
2. 기초 이야기산업
2.1. 기초이야기 종사자 특성
2.1.1. 주 활동 분야
2.1.2. 주 활용 이야기 종류
2.1.3. 사업자 등록 여부
2.1.4. 소속 단체
2.1.5. 협회 등록/비 등록 회원 비율
2.1.6. 이야기분야 총 경력
2.1.7. 이야기분야 경력현황
2.1.7.1. 단절 여부
2.1.7.2. 경력 단절 이유
2.1.8. 수입현황
2.1.8.1. 2018년 연간 총 소득
2.1.8.2. 이야기산업 관련 소득 비중
2.1.8.3. 이야기 분야 외, 주 소득원
2.2. 단계별 이야기산업 부문에 대한 의견
2.2.1. 이야기산업 활동 단계
2.2.2. 이야기산업 중요 단계
2.2.3. 이야기산업 활성화 단계
2.2.4. 원천소재 조사 또는 발굴 시 애로사항
2.3. 이야기산업 관련 활동 현황
2.3.1. 이야기 프로젝트/작품 완성 소요 기간
2.3.2. 일평균 이야기업무 시간
2.3.3. 개인 창작공간 보유 여부
2.3.4. 이야기 프로젝트/작품 완성 비용
2.3.5. 이야기 창작 작업 방식
2.3.6. 이야기 창작 시 애로사항
2.3.7. 이야기 유통 경로
2.4. 이야기 창작 및 계약 현황
2.4.1. 2018년간 이야기 창작 건수
2.4.2. 2018년간 이야기 판매 건수
2.4.3. 2018년간 중도해지 계약 건수
2.4.4. 계약 해지 사유
2.4.5. 2018년간 이야기 관련 계약 형태
2.4.6. 계약 작품 건별 평균 고료
2.4.7. 이야기 유통/거래 시 애로사항
2.4.8. 원고 제작 계약 형태
2.4.9. 계약 시 유의 조항
2.4.10. 제작사와 계약 시 계약 형태
2.4.11. 이야기 법률적 문제 해결 방식
2.5. 이야기 유통 플랫폼 ‘스토리움’ 이용 행태
2.5.1. 스토리움 인지도
2.5.2. 스토리움 이용률
2.5.3. 스토리움 이용 이유
2.5.4. 스토리움 만족도
2.5.5. 스토리움 중요도
2.6. 이야기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지원
2.6.1. 이야기산업 정책 중요도
2.6.2. 이야기산업 활성화 지원정책
2.7. 이야기산업 교육
2.7.1. 이야기산업 교육/훈련 경험 여부
2.7.2. 이야기산업 교육/훈련 기관
2.7.3. 이야기산업 교육/훈련 동기
2.7.4. 이야기산업 교육/훈련 비용 부담자
2.7.5. 이야기산업 교육/훈련 비 경험 이유
2.8. 이야기산업 종사 만족도
개요
- 본 조사는 2015년부터 2018년에 걸쳐 선택적으로 진행되었던 ‘이야기산업 실태조사’ 및 ‘이야기 수요자 조사’를 기반으로, 이야기산업의 주요 세 범주인 기초, 콘텐츠, 일반 이야기산업 분야에 대한 통합적 체계화를 통해 이야기산업의 수요와 공급을 유기적으로 분석하고 실효성 있는 정책의 근거를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조사의 주요 범위는 첫째, 이야기 생태계의 주요 참여자 및 그 역할, 이야기산업의 경계 및 산업기여도를 과거보다 명확하고 체계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론을 논의, 도출하고, 둘째, 도출된 방법론에 의거하여 실제 이야기 산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정확한 실태 파악을 위한 조사의 실시, 셋째, 실제 산업 현실에 맞는 실효성 있고 체계적인 맞춤형 정책방향 설정을 위한 결과의 제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