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개요
ㅇ 운영목적
- 지역전문가의 저작권 교육 기회 제공으로 지역 예비창업자 및 1인·중소기업의 올바른 저작권 인식 제고
- 애니메이션, 웹툰, 영화, 음악, 게임, ICT, SW 등 장르별 저작권 실무 능력 강화
ㅇ 운영기간 : 2023. 3. ~ 11. ※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
ㅇ 운영예산 : 14,600천원
ㅇ 교육대상 : 광주 지역 예비창업자 및 기업 등
ㅇ 운영내용 : 저작권 교육(대면 ‧ 비대면), 저작권 e배움터(온라인)
ㅇ 운영문의 : 콘텐츠기반팀 이송홍 선임, 김문선 선임
(062)610-2972, 2973 / copyright@gicon.or.kr
교육운영 안내
ㅇ 저작권 교육(대면 ‧ 비대면)
- 운영기간 : 2023. 3. ~ 11. ※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
- 교육강사 : 분야별 저작권 전문가
- 교육내용
·저작권 개념, 법령이해, 침해사례 및 예방 방법 등 저작권에 대한 기본적인 교육
·신청자(기업, 기관, 대학교 등) 요청에 따른 장르별 수요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
- 교육방법
·대면 교육 우선
·화상회의시스템을 활용한 비대면 교육
- 교육장소 : 협의 후 결정
- 지원사항 : 강사료 전액, 교재 및 저작권 자료집 제공
- 교육과정(예시)
1 웹툰과 애니메이션 제작 기업을 위한 저작권 가이드 2H
2 실감콘텐츠 기업을 위한 저작권 가이드 2H
3 영화 · 영상인을 위한 저작권 가이드 2H
4 음악제작자를 위한 저작권 가이드 2H
5 성공적인 창업을 위한 저작권 가이드 2H
6 게임개발자를 위한 저작권 가이드 2H
7 1인 미디어 기업을 위한 저작권 가이드 2H
8 1인 창조 · 중소기업 대상 SW 라이선스 관리 2H
9 4차 산업혁명 시대와 저작권 2H
10 SW 개발자를 위한 오픈소스 SW와 저작권 2H
※ 교육 운영 상황에 따라 내용 변경될 수 있음
ㅇ 저작권 e배움터(온라인)
- 운영기간 : 2023. 3. ~ 11.
- 교육내용 : 산업별 맞춤형 온라인 저작권 교육
- 교육방법 : 한국저작권위원회 홈페이지 내 저작권 e배움터 강의 이수 후 이메일로 이수증 제출
신청방법
ㅇ 저작권 교육(대면 ‧ 비대면)
- 신청기간 : 2023. 3. ~ 11. ※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
- 신청서(붙임 1)를 작성하여 이메일 접수
- 신청절차
[신청자] 이메일을 통한 저작권 교육 신청서 제출 → [광주저작권서비스센터] 신청서 접수 및 확인 → [광주저작권서비스센터] 저작권 교육 강사 섭외 및 일정조율
→ [저작권 교육] 신청자 맞춤형 저작권교육 진행
ㅇ 저작권 e배움터(온라인)
- 신청기간 : 2023. 3. ~ 11.
- (붙임 2 참고)한국저작권위원회 홈페이지 → 교육체험 → 온라인 교육(저작권 e배움터) → 회원가입 및 로그인 → 교육 → 산업종사자
→ 원하는 교육과정 선택 →‘연수신청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