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2023 K-콘텐츠 해외진출 현황조사

2024-01-23 한국콘텐츠진흥원

주요내용

  • 발간등록번호 11-B552644-000496-10 | OPEN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2023 K-콘텐츠 해외진출 현황조사 | KOCCA 한국콘텐츠진흥원(로고) | KOCCA23-35 | 2023 | 표지 이미지
  • 2023 K-콘텐츠 해외진출 현황조사

    목차

    • 1. 연구의 개요
      • 1.1. 연구의 기획 배경
      • 1.2. 연구의 목적
      • 1.3. 연구 진행 개요
      • 1.4. 조사 내용
      • 1.5. 조사 방법
      • 1.6. 응답자 특성
    • 2. 방송 콘텐츠
      • 2.1. 방송 콘텐츠 전반
      • 2.2. K-방송 콘텐츠
      • 2.3. OTT 플랫폼 및 광고 기반 무료 플랫폼(FAST) 이용 경향
    • 3. 게임 콘텐츠
      • 3.1. 게임 콘텐츠 전반
      • 3.2. K-게임 콘텐츠
    • 4. 만화 콘텐츠
      • 4.1. 만화 콘텐츠
      • 4.2. K-만화 콘텐츠
    • 5. 애니메이션 콘텐츠
      • 5.1. 애니메이션 콘텐츠
      • 5.2. K-애니메이션 콘텐츠
    • 6. 음악 콘텐츠
      • 6.1. 음악 콘텐츠
      • 6.2. K-음악 콘텐츠
    • 7. 캐릭터 콘텐츠
      • 7.1. 캐릭터 콘텐츠 전반
      • 7.2. K-캐릭터 콘텐츠
    • 8. 패션 콘텐츠
      • 8.1. 패션 콘텐츠 전반
      • 8.2. K-패션 콘텐츠
    • 9. 신기술 융합 콘텐츠
      • 9.1. 신기술 융합 콘텐츠 전반
      • 9.2. K-신기술 융합 콘텐츠
    • 10. K-콘텐츠와 한국에 대한 인식
      • 10.1. 한국에 대한 인식
      • 10.2. 한국에 대한 인식 변화 및 K-콘텐츠의 역할
      • 10.3. K-콘텐츠를 통한 한국산 제품/서비스 인식 및 구입 경향
      • 10.4. K-콘텐츠 IP의 확장
      • 10.5. K-콘텐츠의 공동 제작에 대한 의견
    • 11. 콘텐츠 소비자 시장 분석
      • 11.1. 콘텐츠 태도에 기반한 시장세분화
    • 12. K-콘텐츠의 위상 및 경쟁력 평가
      • 12.1. K-콘텐츠의 글로벌 위상 지수(K-GSI: K-contents’ Global Status Index)
      • 12.2. 국가별 K-콘텐츠 경쟁력
    • 13. K-콘텐츠 진출사례/형태 조사
      • 13.1. K-콘텐츠 수출 국가 및 주 소비층
      • 13.2. K-콘텐츠의 해외 수출 방식
      • 13.3. K-콘텐츠의 해외 수출 유형: TISMOS(Trade In Service by Mode of Supply)
      • 13.4. K-콘텐츠의 경쟁력 및 마케팅 활동
      • 13.5. K-콘텐츠 수출 과정의 애로사항 및 지원 정책
      • 13.6. K-콘텐츠 해외 진출 성공 사례
    • 개요

      • - 2021년 현재 우리나라 콘텐츠 산업 수출액은 124.5억 달러로, +112.5억 달러의 무역수지를 기록 하였다(CAGR 5.2%P).

※ 자세한 내용은 첨부(PDF)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