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4 콘텐츠산업 종사자 노동환경 조사연구
목차
-
1. 서론
- 1.1. 연구 배경 및 목적
- 1.2. 연구 범위 및 방법
-
2. 콘텐츠산업 종사자 노동환경 현황과 쟁점
- 2.1. 국내 콘텐츠산업 종사자 규모와 현황
- 2.2. 콘텐츠산업 종사자 노동환경의 쟁점
- 2.3. 콘텐츠산업 종사자 노동환경 조사 방향성
-
3. 콘텐츠산업 종사자 노동환경 조사 개요
- 3.1. 조사 기본 설계
- 3.2. 조사내용과 방법
- 3.3. 자료처리 프로세스
- 3.4. 주요 용어 정리
- 3.5. 응답자 일반현황
-
4. 콘텐츠산업 종사자 노동환경 조사 분석
- 4.1. 종사자 현황
- 4.2. 고용 형태
- 4.3. 임금 및 처우
- 4.4. 근로 시간
- 4.5. 유연근무제도
- 4.6. 휴가일수
- 4.7. 주 52시간 근무제
- 4.8. 크런치 모드 진행 현황
- 4.9. 근무 환경
- 4.10. 이직 실태
- 4.11. 조직문화 평가
- 4.12. 부당행위(피해) 인지율 및 대처방안
- 4.13. 직업 및 직무 인식 만족도
- 4.14. 콘텐츠산업 발전에 필요한 정부 정책
-
5. 결론 및 제언
- 5.1. 종사자 노동환경 개선을 위한 핵심 요인 발굴
- 5.2. 콘텐츠산업 종사자 노동환경 개선 분석을 위한 영향변수
- 5.3. 콘텐츠 분야별 노동환경 개선 핵심 요인 분석 및 아젠다 도출
- 5.4. 콘텐츠산업 종사자 노동환경 개선을 위한 종합결론
- 5.5. 콘텐츠산업 종사자 노동환경 조사 개선을 위한 제언
개요
- - 국내 콘텐츠산업은 문화 및 경제 발전의 초석으로, 국내·외적으로 놀라운 성장과 영향력을 보이고 있다.
- -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지속적인 성장을 기록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고, 정부는 오는 2027년까지 ‘K-콘텐츠’ 수출 250억 달러를 달성해 세계 콘텐츠 4대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기도 하였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PDF)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